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꽃마주치다(옛시와옛그림그리고꽃)

꽃마주치다(옛시와옛그림그리고꽃)

  • 기태완
  • |
  • 푸른지식
  • |
  • 2013-11-04 출간
  • |
  • 320페이지
  • |
  • ISBN 978899828206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6,500원

즉시할인가

14,8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85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들어가는 글

천상의 향기 서향화
서향화의 고향 | 강희안의 벗 서향화 | 천향의 국색

수로부인의 꽃 철쭉
신라 절세의 미인 | 서시에 비견되는 일본 철쭉 | 금과도 바꾸지 않은 꽃

이부인의 환신 오얏꽃
오얏에 얽힌 몇몇 이야기 | 이부인의 환생

형제의 우애 박태기나무
전씨 형제의 나무 | 박태기나무에 봄빛이 이르니

사철 피는 장미 사계화
동아시아의 장미 | 사시사철 피는 꽃 사계화

운향의 일사 찔레꽃
도미라는 이름 | 향낭에 넣어 간직하고픈 향기 | 요대에서 내려온 선녀 |옥빛 얼굴과 붉은 얼굴

꽃의 정승 작약
사랑과 이별의 정표 | 4500년 전부터 이어진 인연 | 꽃의 왕과 꽃의 정승 | 서시의 후신
| 푸른 소매와 얇은 비단 옷을 걸친 미인

미인의 입술 앵두
종묘에 바치는 열매 | 임금이 신하에게 하사한 과일 | 앵두 같은 입술, 버들 같은 허리

동장군을 이겨내는 인동초
겨우사리넌출 | 초야에 버려진 꽃 | 태양이 흰 꽃을 잉태하여 품으니

용이 변한 등나무
지팡이 나무| 오월의 보라색 꽃 | 조선에서 가장 등나무를 사랑한 문인

봉황의 화신 봉숭아
봉황이 내려와 꽃으로 피어나다 | 저 높은 산에서 봉황이 우네 | 손톱에 봉선화 물을 들이고

수놓은 둥근 공 수국
수를 높은 둥근 공처럼 피는 꽃 | 조선의 수국 | 수국과 불두화

닭의 벼슬 맨드라미
투계의 혼령 | 하얀 맨드라미와 양색 맨드라미 | 맨드라미의 별칭 후정화 | 스승과 제자의 맨드라미 시

새벽을 알리는 나팔꽃
나팔꽃의 별칭 | 직녀의 눈물 | 일찍 일어나는 것은 견우화를 보기 위해서라네

화중소년 패랭이꽃
석죽화는 소년이라 | 시골 노인의 꽃 | 비단옷에 핀 패랭이 꽃

부부의 금실 자귀나무
분노를 막는 묘약 | 정을 지닌 나무

천상을 꿈꾸는 능소화
연경에서 온 기이한 꽃 | 『시경』의 꽃 | 하늘을 찌르는 기상

정승 나무 회화나무
세 그루 회화나무와 아홉 그루 멧대추나무| 남가일몽 | 청운의 꿈

남국의 나무 파초
바나나 나무 | 파초 잎에 시와 글씨를 쓰고 | 파초 잎의 빗소리와 바람

궤안 위의 벗 석창포
단오의 상징인 창포 | 선비와 승려의 벗인 석창포

중앙아시아에서 온 포도
포도의 고향| 굳이 술을 빚을 필요가 있겠는가 | 열 말이면 한 고을을 살 수 있던 포도주 | 다산과 풍요의 상징| 바람에 흔들리는 흑수정들

이국의 신비한 과일 비파
중국 남방에서 처음 본 열매 | 살구도 아니고 매실도 아닌데

항아의 나무 계수나무
잃어버린 이름| 항아의 나무

건곤의 정기 금전화
금불초란 이름 | 하늘과 땅의 기운으로 빚어낸 꽃

서리 속에 피는 부용 거상화
부용꽃만 홀로 향기롭네 | 봄을 다투지 않는 꽃

양귀비의 열매 여지
망국의 열매 | 여지의 동래 | 여지를 먹다

도서소개

놀랍게도 이들은 많게는 수천 년, 적어도 오백 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이름을 가지고 사랑받아 왔다. 옛 문인들의 사랑을 받았던 꽃이라 하여 매난국죽만 떠올리는 것은 오산이다. 패랭이꽃, 봉숭아, 작약, 오얏(자두), 나팔꽃, 맨드라미, 앵두나무, 수국 등 친근한 꽃들에 대한 옛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은 대단하였다. 이 책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들의 이야기를 따라가면서 그와 관련된 옛 시와 그림도 같이 살펴보는 매혹적인 꽃 탐방기다.
우리 일상에서 2500년 동안 피어 온 꽃들의
유래와 역사를 담고 있는 흥미롭고 매혹적인 책

담장 밑 꽃들은 언제부터 이름을 가지게 된 것일까?

놀랍게도 이들은 많게는 수천 년, 적어도 오백 년 이상의 역사를 갖고 있다.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오래전부터 이름을 가지고 사랑받아 왔다. 옛 문인들의 사랑을 받았던 꽃이라 하여 매난국죽만 떠올리는 것은 오산이다. 패랭이꽃, 봉숭아, 작약, 오얏(자두), 나팔꽃, 맨드라미, 앵두나무, 수국 등 친근한 꽃들에 대한 옛 사람들의 관심과 사랑은 대단하였다. 이 책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들의 이야기를 따라가면서 그와 관련된 옛 시와 그림도 같이 살펴보는 매혹적인 꽃 탐방기다.

고려시대 여인들도 봉선화로 손톱을 물들였을까?
안색을 아름답게 하기 위해 부녀자들이 즐겨 먹은 꽃과
청춘남녀의 사랑의 메신저였던 꽃은 무엇일까?


아가씨가 말하네 “우리 구경 갈까요?” 女曰觀乎
청년이 대답하네 “난 벌써 갔다 왔는데.” 士曰旣且
“또다시 구경 가는 게 어때요? 且往觀乎
유수 너머는 洧之外
정말 넓고도 즐겁다는데!” 洵且樂
청년과 아가씨 維士與女
서로 깔깔대며 伊其相謔
작약을 주고받네 贈之以勺藥

- 《시경》, 「정풍鄭風」, 「진유溱洧」 중

무려 4500년 전, 중국 주나라 시대부터 재배되어 온 작약은 당시 젊은 남녀들의 사랑과 이별의 징표였다. 매년 삼월 삼짇날이 되면 봄을 맞이하는 행사가 있었는데, 당시의 엄격한 법도에도 불구하고 그날만은 청춘남녀가 작약을 주고받으며 마음을 자유롭게 표현했다고 한다. 꽃잎이 크고 색이 고우며, 아름다운 자태를 가진 작약과 잘 어울리는 풍경이다.

빗속에서 어린 계집종 바쁜데 雨中忙殺小
파모종과 가지모종 옮겨 심으라고 분부했네 吩咐披蔥又別茄
나이 어려 동약의 뜻을 들어본 적 없어서 生少不聞?約指
화단에 올라 먼저 봉선화부터 심는구나 上臺先揷鳳仙花

- 정약용

또한 손톱에 봉선화 물을 들이는 것은 동아시아 여인들의 오랜 풍속이었다. 우리나라에서는 고려 때 이미 널리 퍼져 있었고, 조선시대에는 단오의 한 풍속이었다. 그래서 봉선화를 염지갑초(染指甲草) 혹은 아녀화라고 부르기도 했다. 송나라 주밀이 쓴 ?계신잡지癸辛雜識?에 ‘봉선화의 붉은 꽃잎을 찧어서 거기에 명반(明礬)을 조금 넣어 손톱에 물을 들이는데, 비단 조각으로 동여서 밤을 지낸다. 이와 같이 서너 차례 물을 들이면 그 색이 진홍이어서 씻어도 지워지지 않고, 손톱이 자라남에 따라 점점 밀려나게 된다’ 는 구절이 있다. 명반이란 백반과 같은 것으로 우리가 익히 알고 있는 봉선화 물을 들이는 풍경과 별반 다르지 않다. 위에 인용한 정약용의 시에는 제 손톱에 물을 빨갛게 들이고 싶어서 주인의 말을 어기고 봉선화부터 심는 계집종이 나온다. 이 귀여운 소녀를 바라보는 정약용의 따뜻한 시선이 느껴진다.

꽃에 대한 옛 사람들의 면모를 살펴볼 수 있는 일화는 풍부하다. 오얏을 먹으면 안색을 아름답게 할 수 있다 하여, 부녀자들은 여름이 되면 ‘이회李? (오얏 모임)’를 가졌다고 한다. 이들은 오얏즙을 술에 섞어서 마셨는데 이를 ‘주색주(駐色酒)’라고 했다는 기록이 ?원지설림元池?林?에 나온다. 지금과 그 형태만 다를 뿐 피부에 좋은 꽃으로 젊음을 유지하려는 옛 여인들의 모습을 보니 친근함이 느껴진다.

나라를 기울게 할 만큼 치명적인 아름다움을 가진 꽃

곱게 화장한 두 볼은 취기로 붉고 嚴粧兩醉潮勻
모두 서시의 옛날 모습을 끌어왔네 共導西施舊日身
웃음으로 오나라를 망치고도 오히려 부족하여 笑破吳家猶不足
다시 와서 또 누구를 괴롭히려는가 却來還欲惱何人

- 이규보, 「홍작약紅芍藥」

옛 문인들은 일상의 꽃들을 이용하여 생각을 표현하곤 하였다. 꽃의 상징에 자신의 생각을 이입해 시나 산문으로 표현하는 데 능했던 것이다. 이규보의 시는 작약을 술에 취한 서시로 표현하고 있다. 서시는 빼어난 미모로 중국 오나라 왕 부차를 유혹해 나라를 멸망시키는 결정적인 역할을 한 여인이다. 작약의 화사한 자태에서 위태로울 만큼 아름답던 서시의 모습을 본 것이다.

비단결 피부 옥즙액이 상쾌히 목구멍을 자극하니 錦膚瓊液爽焦喉
냄새와 맛이 오월의 서늘함을 머금었네 氣味中含五月秋
이 과일이 유명하여 백성들 불행했으니 此物知名民不幸
영원과 천보 연간에 남쪽 고을을 병들게 했네 永元天寶病南州

- 이회보, 「여지」

.
이희보의 시에 나오는 여지는 우리나라에는 없는 과일이다. 그럼에도 여지에 대한 시가 우리나라에 무척 많은데, 양귀비가 좋아했던 과일이라고 알려졌기 때문이다. 중국의 4대 미녀 중 한 명인 양귀비는 여지를 무척 좋아했는데, 이 과일을 바치기 위해 수많은 사람이 희생되었다고 한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