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안전기사 시험정보
실시기관 한국산업인력공단
실시기관 홈페이지 http://www.q-net.or.kr
개요
건설업은 공사기간단축, 비용절감 등의 이유로 사업주와 건축주들이 근로자의 보호를 소홀히 할 수 있기 때문에 건설현장의 재해요인을 예측하고 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건설 안전 분야에 대한 전문지식을 갖춘 전문인력을 양성하고자 자격제도 제정.
시험과목
필기
산업안전관리론
산업심리 및 교육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공학
건설시공학
건설재료학
건설안전기술
실기 건설안전실무
검정방법
필기 객관식 4지 택일형
과목당 20문항(과목당 30분)
실기 복합형 [필답형(1시간 30분, 60점) + 작업형(50분 정도, 40점)]
합격기준
필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과목당 40점 이상, 전과목 평균 60점 이상
실기 100점을 만점으로 하여 60점 이상
종목별 검정현황
연도
필기 실기
응시 합격 합격률(%) 응시 합격 합격률(%)
2024 31,594 15,477 49.0% 22,247 12,341 55.5%
2023 34,908 17,932 51.4% 19,937 12,564 63%
2022 26,556 12,837 48.3% 14,674 10,321 70.3%
2021 17,526 8,044 45.9% 10,653 5,539 52%
2020 12,389 6,607 53.3% 8,995 4,694 52.2%
2019 13,212 6,388 48.3% 7,584 4,607 60.7%
2018 10,421 3,806 36.5% 5,384 3,244 60.3%
2017 9,335 4,026 43.1% 5,869 3,077 52.4%
2016 8,931 3,956 44.3% 4,941 2,692 54.5%
필기시험 출제기준
직무분야 안전관리 자격종목 건설안전기사 적용기간 2021.1.1. ~ 2025.12.31
직무내용
건설현장의 생산성 향상과 인적ㆍ물적 손실을 최소화하기 위한 안전계획을 수립하고, 그에 따른 작업환경의 점검 및 개선, 현장 근로자의 교육계획 수립 및 실시, 작업환경 순회감독 등 안전관리 업무를 통해 인명과 재산을 보호하고, 사고 발생시 효과적이며 신속한 처리 및 재발 방지를 위한 대책 안을 수립, 이행하는 등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관리 업무를 수행하는 직무이다.
필기검정방법 객관식 문제수 120 시험시간 3시간
필기
과목명
출제
문제수 주요항목 세부항목
산업안전관리론 20
1. 안전보건관리 개요
1. 기업경영과 안전관리 및 안전의 중요성
2. 산업재해 발생 메커니즘
3. 사고예방 원리
4. 안전보건에 관한 제반이론 및 용어해설
5. 무재해운동 등 안전활동 기법
2. 안전보건관리 체제 및 운영
1. 안전보건관리조직 형태
2. 안전업무 분담 및 안전보건관리규정과 기준
3. 안전보건관리 계획 수립 및 운영
4. 안전보건 개선계획
3. 재해 조사 및 분석
1. 재해조사 요령
2. 원인분석
3. 재해 통계 및 재해 코스트
4. 안전점검 및 검사
1. 안전점검
2. 안전검사ㆍ인증
5. 보호구 및 안전보건표지
1. 보호구
2. 안전보건표지
6. 안전 관계 법규
1. 산업안전보건법령
2. 건설기술관리법령
3. 시설물안전관리특별법령
4. 관련 지침
산업심리 및 교육 20
1. 산업심리이론
1. 산업심리 개념 및 요소
2. 인간관계와 활동
3. 직업적성과 인사심리
4. 인간행동 성향 및 행동과학
2. 인간의 특성과 안전
1. 동작특성
2. 노동과 피로
3. 집단관리와 리더십
4. 착오와 실수
3. 안전보건교육
1. 교육의 필요성
2. 교육의 지도
3. 교육의 분류
4. 교육심리학
4. 교육방법
1. 교육의 실시방법
2. 교육대상
3. 안전보건교육
인간공학 및 시스템안전 공학 20
1. 안전과 인간공학
1. 인간공학의 정의
2. 인간-기계체계
3. 체계설계와 인간 요소
2. 정보입력표시
1. 시각적 표시장치
2. 청각적 표시장치
3. 촉각 및 후각적 표시장치
4. 인간요소와 휴먼에러
3. 인간계측 및 작업
1. 인체계측 및 인간의 체계제어
2. 신체활동의 생리학적 측정법
3. 작업 공간 및 작업자세
4. 인간의 특성과 안전
4. 작업환경관리
1. 작업조건과 환경조건
2. 작업환경과 인간공학
5. 시스템위험분석
1. 시스템 위험분석 및 관리
2. 시스템 위험 분석 기법
6. 결함수 분석법
1. 결함수 분석
2. 정성적, 정량적 분석
7. 위험성 평가
1. 위험성 평가의 개요
2. 신뢰도 계산
8. 각종 설비의 유지 관리
1. 설비관리의 개요
2. 설비의 운전 및 유지관리
3. 보전성 공학
건설시공학 20
1. 시공일반
1. 공사시공방식
2. 공사계획
3. 공사현장관리
2. 토공사
1. 흙막이 가시설
2. 토공 및 기계
3. 흙파기
3. 기초공사
1. 지정 및 기초
4. 철근콘크리트공사
1. 콘크리트공사
2. 철근공사
3. 거푸집공사
5. 철골공사
1. 철골작업공작
2. 철골세우기
6. 조적공사
1. 벽돌공사
2. 블록공사
3. 석공사
건설재료학 20
1. 건설재료 일반
1. 건설재료의 발달
2. 건설재료의 분류와 요구 성능
3. 새로운 재료 및 재료 설계
4. 난연재료의 분류와 요구 성능
2. 각종 건설재료의 특성, 용도, 규격에 관한 사항
1. 목재
2. 점토재
3. 시멘트 및 콘크리트
4. 금속재
5. 미장재
6. 합성수지
7. 도료 및 접착제
8. 석재
9. 기타재료
10. 방수
건설안전기술 20
1. 건설공사 안전개요
1. 공정계획 및 안전성 심사
2. 지반의 안정성
3.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4. 사전안전성검토(유해위험방지 계획서)
2. 건설공구 및 장비
1. 건설공구
2. 건설장비
3. 안전수칙
3. 양중 및 해체공사의 안전
1. 해체용 기구의 종류 및 취급안전
2. 양중기의 종류 및 안전수칙
4. 건설재해 및 대책
1. 떨어짐(추락) 재해 및 대책
2. 무너짐(붕괴) 재해 및 대책
3. 떨어짐(낙하), 날아옴(비래) 재해 대책
4. 화재 및 대책
5. 건설 가시설물 설치 기준
1. 비계
2. 작업통로 및 발판
3. 거푸집 및 동바리
4. 흙막이
6. 건설 구조물공사 안전
1. 콘크리트 구조물공사 안전
2. 철골 공사 안전
3. PC(Precast Concrete)공사 안전
7. 운반, 하역작업
1. 운반작업
2. 하역작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