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APTER 01 간호관리의 이해
01 간호와 관리의 개념
01 관리(management)와 행정(administration) ·
02 관리과정과 관리기능
03 생산성 : 효과성과 효율성
02 간호관리의 특성
01 간호관리의 정의와 특성
02 간호관리자의 유형
03 카츠(Katz)의 관리기술
04 민츠버그(Mintzberg)의 관리자의 역할
03 관리이론
01 분류
02 고전적 관리이론
03 신고전적 관리이론
04 현대적 관리이론
05 간호관리학의 이론적 모델
CHAPTER 02 기획
01 기획의 이해
01 기획의 개념과 목적
02 기획의 특성
03 기획의 원칙
04 기획의 계층화
05 기획의 과정
06 기획 방법
07 기획의 유형
02 목표관리(MBO)
01 목표관리(MBO)의 의의
02 목표관리(MBO)의 과정
03 목표관리(MBO)의 장․단점
03 의사결정
01 의사결정(decision making)의 의의와 특성
02 의사결정과 문제해결과정
03 의사결정의 유형
04 의사결정의 수준
05 비판적 사고와 창조적 사고
06 창조적 의사결정방법
07 의사결정도구
04 재무관리
01 재무관리(financial management)
02 재무제표(financial statement)
03 예산
04 진료비 지불제도
05 간호수가와 간호원가
06 간호관리료 차등제
07 간호․간병통합서비스·
05 시간관리
01 시간관리의 의미와 중요성
02 시간관리의 단계
03 시간관리 도구의 준거 및 시간관리 방법
CHAPTER 03 조직
01 조직과 조직화
01 조직(organization)의 개념과 기능
02 조직화(organizing)의 개념과 과정
03 조직화의 원리
02 조직 및 조직구조
01 권력, 권한, 권한 위임
02 집권화와 분권화
03 조직구조 구성요인
04 조직구조 결정요인
05 공식조직과 비공식조직
06 조직기구표(organization chart)
03 조직구조 유형
01 간호조직구조의 유형
02 병원조직
04 직무관리
01 직무관리의 개념·
02 직무설계(job design)
03 직무분석(job analysis)
04 직무평가(job evaluation)
05 간호전달체계
01 간호전달체계의 개념
02 간호전달체계의 유형
06 조직문화와 조직변화
01 조직문화(organization culture)
02 조직변화(organizational change)
03 조직유효성
CHAPTER 04 인적자원관리
01 인적자원관리의 이해
01 인적자원관리의 개념
02 인적자원관리의 중요성
03 인적자원관리의 과정
02 확보관리
01 확보관리의 개념·
02 인적자원 예측 및 계획
03 간호업무량(nursing workload)
04 환자분류체계
05 간호인력 산정에 대한 접근방법
06 모집 및 선발
07 배치(placement)
03 개발관리
01 개발관리의 의의
02 인력개발(staffing development)
03 인사이동
04 경력개발(career development)
05 직무수행평가
04 유지관리
01 유지관리의 의의
02 보상관리
03 직원훈육(discipline)
04 결근 및 이직관리
05 노사관계와 노동조합
06 협상(Bargaining negotiation)
CHAPTER 05 지휘
01 지휘의 이해
01 지휘의 개념
02 지휘의 기능
02 리더십
01 리더십의 의의
02 특성이론(trait theory)
03 행동이론(behavioral theory)
04 상황이론(contingency theory and
situational leadership theory)
05 거래적 리더십․변혁적 리더십
06 리더십의 새로운 패러다임
07 리더십과 간호
03 동기부여
01 동기부여의 의의와 중요성
02 동기부여이론의 두 분류
03 내용이론(content theories of motivation)
04 과정이론(process theories of motivation)
05 동기부여 전략
04 의사소통
01 의사소통의 의의
02 의사소통의 과정과 일반원칙
03 의사소통의 분류
04 의사소통 네트워크
05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안
06 조직 내 효과적인 의사소통 방안
07 지지적 의사소통의 전략
05 주장행동
01 주장행동의 의의
02 주장행동의 구성요소와 주장훈련
03 자기주장 전략
06 갈등관리 및 스트레스 관리
01 갈등관리
02 직무 스트레스 관리
07 임파워먼트
01 임파워먼트(empowerment)의 의의
02 성공적인 임파워먼트
03 임파워먼트 리더십
08 조정과 협력
01 협력(cooperation)
02 조정(coordination)
03 팀의 이해
CHAPTER 06 통제
01 통제의 이해
01 통제(controlling)의 의의
02 통제의 원칙
03 통제의 범위
04 통제과정
05 통제기법
02 의료의 질 관리
01 질 관리의 이해
02 질 보장(QA)․질 향상(QI)․총체적 질 관리
(TQM)
03 의료의 질 향상·
04 간호의 질 관리(간호업무평가)의 접근법
05 간호의 질 평가시기에 따른 분류
06 간호의 표준개발
07 간호 질 관리의 자료분석도구
08 의료기관의 질 관리사업 및 평가 유형
03 의료기관인증제도
01 Joint Commission International
Accreditation
02 의료기관인증제도의 의의
03 의료기관 인증기준과 인증절차
04 환자경험평가
04 환자안전
01 환자안전의 개념
02 환자안전 관련 용어
03 환자안전의 원칙
04 환자안전 관리
05 환자안전 향상 활동
06 근본원인분석(RCA)
07 오류유형과 영향분석(FMEA)
08 환자안전 문화
09 환자안전 전략 및 대처방안
10 환자안전법
CHAPTER 07 간호단위관리
01 간호단위관리의 이해
01 간호단위관리의 의의
02 간호단위관리와 구조
03 간호단위관리자
02 환경관리
01 환경관리의 의의
02 입원실 시설기준
03 소음
04 조명
05 온도와 습도
06 환기
07 심미적 환경
08 사생활 유지
03 안전관리
01 안전관리의 개념과 위험요소
02 간호단위 안전관리
04 감염관리
01 의료관련감염관리
02 표준전파주의
03 접촉전파주의(접촉격리)
04 공기전파주의
05 비말전파주의
06 격리종류에 따른 격리방법
07 COVID-19 대응전략
08 의료법상 의료관련감염관리
05 물품관리
01 물품관리의 개념과 중요성
02 물품관리 원칙과 방법
03 물품의 청구․구매․공급․보관
06 약품관리
01 약품관리와 투약관리지침
02 약품관리 방법
07 환자관리
01 환자간호관리의 개념
02 입원환자 간호관리
08 기록 및 보고 관리
01 기록의 개념과 목적
02 간호기록의 원칙과 간호사의 책임
03 기록의 유형
04 간호기록의 작성
05 간호보고
CHAPTER 08 간호관리의 법적 의무와 책임
01 간호관리의 법적 고찰
01 대상자의 법적 권리와 의무
02 대상자의 법적 권리 보호방안
03 간호사의 법적 의무
04 간호사와 간호업무 관련 법적 고찰
02 간호사고와 법적 책임
01 간호사고의 개념과 유형
02 불법행위
03 간호사고에 대한 법적 책임
04 간호사고의 예방방안
05 간호사고 시 대응방안
CHAPTER 09 간호서비스 마케팅
01 마케팅의 이해
01 마케팅의 개념
02 마케팅과 관련된 주요 개념
02 서비스 마케팅
01 서비스 마케팅의 의의
02 서비스 마케팅 믹스(marketing mix)
03 의료 및 간호서비스 마케팅
01 의료서비스 마케팅의 특성
02 간호서비스 마케팅의 의의
03 간호서비스 마케팅 과정
CHAPTER 10 간호정보의 이해
01 간호와 정보기술
01 정보(information)의 개념과 특성
02 데이터베이스(database)
03 정보시스템(information system)
02 병원정보시스템과 간호정보시스템
01 병원정보시스템(HIS ; Hospital Information
System)
02 간호정보시스템(NIS ; Nursing Information
System)의 의의
03 간호정보시스템의 활용
04 정보기술 발전 동향과 간호정보관리
05 환자개인정보 보호
CHAPTER 11 간호윤리
01 윤리의 이해
01 윤리의 개념
02 윤리이론
03 도덕발달이론
02 간호윤리학
01 간호윤리와 윤리적 개념으로서의 돌봄
02 생명윤리와 생명윤리위원회
03 생명윤리의 원칙
04 한국간호사 윤리강령
05 국제간호사 윤리강령
06 윤리적 의사결정
07 윤리적 문제상황
08 인간 대상 연구에 영향을 준 역사적 사건
09 연구 부정행위
03 간호전문직
01 전문직의 이해
02 간호전문직의 특성과 필요성
03 전문간호분야
부록 최근 기출문제
01 2023년도 서울시(2023. 6. 10.)
02 2023년도 지방직(2023. 6. 10.)
03 2024년도 지방직(2024. 6. 22.)
04 2025년도 지방직(2025. 6. 21.)
◐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