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도산잡영 - 퇴계, 도산서당에서 시를 읊다

도산잡영 - 퇴계, 도산서당에서 시를 읊다

  • 이황
  • |
  • 연암서가
  • |
  • 2013-11-15 출간
  • |
  • 268페이지
  • |
  • ISBN 9788994054469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일러두기
서문

1. 서당을 고쳐지을 땅을 도산 남쪽에서 얻다(2수)
2. 다시 도산의 남동쪽을 가서 보고 짓다
3 가을 날 높은 곳에 오르다
4. 창랑대에서 속마음을 읊음
5. 가을날 혼자 도산에 가서 놀다가 저녁에 돌아오다
6. 천연대에서
7. 도산을 여러 가지로 읊은 시의 서문
8. 절구 18수
9. 5언 절구 26수
10. 또 오언절구 네 수를 짓다
11. 탁영담의 달빛에 배를 띄우다
12. 정유일(鄭惟一)이 찾아와 함께 도산에 이르러
13. 4월 16일 탁영담의 달빛에 배를 띄우다
14. 도산에서 뜻을 말하다
15. 한가한 가운데 장난삼아 짓다
16. 저녁이 되어 개이자 높은 곳에 오르다
17. 김팔원의 시의 각운자에 맞추어. 천연대를 제목으로 삼아 절구를 짓다(2수)
18. 가을날 홀로 도산의 서당에 이르러
19. 여러 벗들에게 보이다
20. 도산서당에서 밤중에 일어나
21. 임술년 입춘날에
22. 절우사 화단의 매화가 늦봄에 비로소 피어
23. 김성일이 지은 시의 각운자를 써서(3수)
24. 달밤에 이문량이 도산으로 찾아오다
25. 강가에서 있었던 일을 그대로 써서 오건에게 보이다
26. 정자인 오건이 떠나려하여 지어주다(2수)
27. 정자인 정탁에게 이별하며 주다
28. 완락재에서 우연히 쓰다
29. 정존재 이담(李湛)이 부쳐온 시의 각운자를 써서 짓다
30. 정유일과 함께 탁영담에 배를 띄우고
31. 도산에서 매화의 초췌함을 탄식하다
32. 한밤중에 천둥번개와 비 뒤에 달빛이 휘영청하여
33. 역락재(亦樂齋) 제군들의 글 모임에 부쳐(3수)
34. 3월 보름 경에 도산의 매화와 대나무가 시들었다
35. 16일 도산에서 사물을 관조하다
36. 27일 우연히 느끼다(4수)
37. 한가로이 살라고 허락하는 은총을 입고 여덟 절구를 짓다
38. 산에서 사철 거처하며, 네 수씩 열여섯 절구를 읊다
39. 도산으로 매화를 찾다
40. 매화가 답하다

도서소개

『도산잡영(陶山雜詠)』은 ‘도산(서당)에서 이것저것을 생각나는 대로 시로 읊다’는 뜻으로, 선생 자신이 도산서당에서 거처하면서 직접 읊었던 한시 40제(題), 92수(首)를 모은 시집이다. 『퇴계잡영』이 시의 형식이나 내용면에서 모두 도연명의 영향을 많이 받은 데 반해, 『도산잡영』은 주자(朱子)에 근거하여 제자들이 연구하고 강학(講學)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따라서 한 구절도 뜻 없이 헛되이 사용되지 않고 유교의 기본 경전인 사서삼경(四書三經)에 기반하고 있어, 시적 음률을 타고 옛 선연의 말씀이 보다 쉽게 전달된다. 또한 이 시들은 퇴계 선생이 57세부터 66세까지 약 10여 년간 도산서당의 안팎에서 지은 것으로, 서당 내외의 여러 가지 건물과 시설, 그 명칭의 유래, 자연경관에 대한 느낌과 그곳 생활을 담고 있어 그 어느 책보다 도산서당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선생의 개인적이고 인간적인 면모가 돋보인다고 할 수 있다.
여백의 미학 속에 은은하게 묻어나는
대학자 퇴계 이황의 풍류와 삶의 지혜

퇴계 이황은 이(理)와 기(氣)의 관계를 바탕으로 인간의 심성과 선악의 정신 심리작용을 논하는 사단칠정(四端七情) 논쟁을 통해 조선성리학의 기틀을 잡고 6백여 년 가까이 한국의 문화와 유교적 사상에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퇴계 선생이 후세에 남긴 저술을 모은 책으로는 문집인 『퇴계선생문집』(목판본 61권, 37책, 성대 영인본 2.5책)을 비롯하여, 문집 이외의 여러 저술까지 다 모아 엮은 『퇴계전서』(위의 문집 포함, 성대 목판 영인본 5책), 『도산전서』(문집 포함, 정문연 필사 영인본 4책) 같은 것들이 있다. 이러한 책들을 보면 퇴계 선생이 평생 동안 썼던 한시가 대략 2천 수 이상, 편지가 1천 통 정도 수록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문집에 수록되지 않고 지금까지 전해오는 시만 해도 몇 백 수가 되며, 그가 썼던 편지도 위에 언급하였던 책에 수록되지 않은 것이 또한 2천 통 정도는 될 것이라고 한다.

퇴계 선생은 예안의 온혜(溫惠, 지금의 도산면 온혜동)라는 마을에서 태어나서 자랐고, 처음에는 그 마을에서 분가하여 집을 짓고 살았으나, 그 뒤로 몇 차례나 가까운 마을로 집을 옮겨가며 살다가 중년(40대 중반) 이후에 비로소 토계(兎溪, 또는 土溪, 지금의 도산면 토계동)라는 마을에 정착하여 살면서 자신의 호를 퇴계(退溪)라고 고쳤는데, 토계마을에서만 지은 시를 『퇴계잡영』, 도산서당에서 지은 시를 엮은 것을 『도산잡영』이라고 하는데, 이를 합하여 『계산잡영(溪山雜詠)』이라고 한다.

『도산잡영(陶山雜詠)』은 ‘도산(서당)에서 이것저것을 생각나는 대로 시로 읊다’는 뜻으로, 선생 자신이 도산서당에서 거처하면서 직접 읊었던 한시 40제(題), 92수(首)를 모은 시집이다. 『퇴계잡영』이 시의 형식이나 내용면에서 모두 도연명의 영향을 많이 받은 데 반해, 『도산잡영』은 주자(朱子)에 근거하여 제자들이 연구하고 강학(講學)할 것을 당부하고 있다. 따라서 한 구절도 뜻 없이 헛되이 사용되지 않고 유교의 기본 경전인 사서삼경(四書三經)에 기반하고 있어, 시적 음률을 타고 옛 선연의 말씀이 보다 쉽게 전달된다. 또한 이 시들은 퇴계 선생이 57세부터 66세까지 약 10여 년간 도산서당의 안팎에서 지은 것으로, 서당 내외의 여러 가지 건물과 시설, 그 명칭의 유래, 자연경관에 대한 느낌과 그곳 생활을 담고 있어 그 어느 책보다 도산서당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선생의 개인적이고 인간적인 면모가 돋보인다고 할 수 있다.

조선의 대유학자인 선생은 학문에 있어서 긴수작(緊酬酌, 철학 같은 어려운 학문)과 한수작(閒酬酌, 시문 예술 같은 취미활동)을 모두 강조했고, 예로부터 시작(詩作)의 교과서로 인정받아 온 『고문진보(古文眞寶)』를 2백 번 이상 읽고 암송하는 등 그 자신의 시작 향상을 위해 힘썼다. 이 책에는 퇴계 선생이 주변의 사소한 사물까지 깊이 있게 바라보고, 절제된 언어로 은근하게 돌려 표현한 작품들이 주를 이루고 있어 여백의 미학, 한시의 매력을 한껏 감상할 수 있다. 특히 세상의 부귀(富貴)를 뒤로한 채 재야에 묻혀 사는 대유학자(大儒學者)의 관조적 삶의 태도, 소박하고 운치 있는 일상의 노래는 현대인들에게 삶의 의미를 깨닫게 해주고 생존경쟁에 휩쓸린 각박한 삶에 감동과 여유를 전해줄 것이다.

∠주요 내용

서당을 고쳐 지을 땅을 도산 남쪽에서 얻다
改卜書堂得地於陶山南洞

계상서당에 비바람 부니 風雨溪堂不庇床
침상조차 가려주지 못하여,
거처 옮기려고 빼어난 곳 찾아 卜遷求勝?林岡
숲과 언덕을 누볐네.
어찌 알았으리? 백년토록 那知百歲藏脩地
마음 두고 학문 닦을 땅이,
바로 평소에 나무하고 只在平生采釣傍
고기 낚던 곳 곁에 있을 줄이야.
꽃 사람 보고 웃는데 花笑向人情不淺
정의(情誼) 얕지 않고,
새는 벗 구하면서 지저귀는데 鳥鳴求友意偏長
뜻 오로지 심장하다네.
세 갈래 오솔길 옮겨와 誓移三逕來栖息
거처하고자 다짐하였더니,
즐거운 곳 누구와 樂處何人共襲芳
함께 향기 맡으리?

◈… 퇴계 가에 지어 놓았던 서당에 비와 바람이 불어 댄다. 서당을 지은 지가 오래되어 곳곳이 낡고 허물어져 잠잘 만한 조그만 침상조차 가려주지 못하였다. 서당의 터를 옮겨 지으려고 경치가 빼어난 곳을 찾아 예안의 온 숲과 언덕을 헤매며 누비고 다녔다. 그런데 어떻게 알았겠는가? 한 평생 염두에 두고 학문을 닦고자 염원하였던 땅이 바로 평소에 나무하고 고기 낚으며 늘 자주 왕래하던 곳과 멀지 않은 곳에 있었다는 걸. 꽃을 보니 꼭 사람을 보고 웃는 듯하여 정의(情誼)가 얕아 보이지 않았고, 하늘을 나는 새는 벗을 구하면서 지저귀는 소리가 마치 『시경』의 「나무를 벰(伐木)」이라는 시에 나오는 “새 우는 소리는 지지배배, 저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