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스토옙스키와 “죽음의 집”의 경험
≪가난한 사람들≫로 엄청난 문학적 성공을 거둔 28세의 다소 오만한 젊은 작가는 페트라솁스키 서클에서 당대 인텔리겐차 사이에 유행하던 유토피아적 사회주의에 대한 이론에 접하게 된다. 그는 푸리에주의, 그리고 공산적 경제 원리와 그것을 기반으로 한 지상에서의 이상 국가 건설 이론에 심취해 전 민중이 하나같이 잘 사는 사회에 대한 꿈과 그들의 이론에 크게 공감한다. 그러나 자유주의 사상과의 이 같은 짧은 놀음은 도스토옙스키로 하여금 저 유명한 가짜 처형극과 시베리아 감옥에서의 4년간의 수감, 시베리아 도시에서의 6년의 유형이란 가혹한 대가를 치르게 한다.
4년간의 수감 생활은 도스토옙스키에게 그를 둘러싸고 있던 밀수꾼, 화폐 위조자, 어린이 강간범, 부친 살해범, 강도 등과 같이 일상생활에서는 마주치기 어려운 인간상과 그들이 저지른 거의 모든 형태의 범죄에 대해서 깊이 있게 관찰할 기회를 제공했다.
도스토옙스키는 죄수를 보며 그들의 범죄와 이에 대해 죄수들이 갖는 심리적인 태도, 그리고 그들 하나하나의 심리적 메커니즘을 이해하려 노력했다. 이러한 관찰을 통해 시베리아 유형 전 도스토옙스키가 갖고 있던 이데올로기는 많은 변형을 거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첫째, 작가는 인간 본성의 어둡고 야만적인 면을 발견하게 된다. 시베리아의 감옥은 작가에게 악을, 그것도 추상적인 원리가 아닌, 매일매일 한 사람 한 사람의 실제적 행동으로 나타나는 구체적인 악과 대면시켰다. 인간 본성의 심연 속에 있는 선과 악의 카오스와 악마적 요소의 우세를 보고 난 후, 푸리에주의의 인간 본성 이론으로부터 작가가 자신의 신념으로 받아들였던 ‘본성적인 선’에 대한 믿음을 갖는다는 것은 더 이상 불가능했다.
둘째, 인간이 이성적인 존재라는 것에 대한 작가 자신의 신념에 대한 수정이 가해졌다. 도스토옙스키는 죄수들의 병적으로 야심 있는 성질이 때로는 자아의 이성에 반대되는 행동과 결과를 낳음을 보았고, 인간의 행위는 더 이상 이성으로 예측할 수 있는 그 어떤 것이 아님을 깨닫게 되었다.
셋째. 죄수들 간의 힘의 역학 관계에 대한 관찰을 통해, 그는 자신의 이전의 신념, 즉 인류가 어떤 지배자도 피지배자도, 또 가해자도 피해자도 없이 평등하고 동등한 관계에서 조화로이 살아갈 수 있다는 신념에 대한 명백한 반증들을 발견했다. 죄수들 간의 격렬한 우위 다툼을 목격하고 가해자이며 피해자가 되고자 하는 인간 본성의 모순을 발견하게 된다. 이 발견은 도스토옙스키로 하여금 동등한 권리를 누리는 개인들이 평화로이 공존할 수 있다는 이전의 믿음을 지지할 수 없게 했다.
이렇게 시베리아 유형이라는 개인적인 불행은 후일 세상을 깜짝 놀라게 할 만한 천재 작가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없어서는 안 될 소중한 경험이 된다. 범죄 심리와 심리 분석의 대가로 일컬어지는 작가 도스토옙스키의 많은 부분이 온갖 형태의 죄수들과 부대끼며 보낸 4년간의 시베리아 유형 생활에 빚지고 있음은 분명하다. 또한 이런 시베리아 경험과 성서 읽기를 통해, 종교 작가로서의 도스토옙스키가 태어나는 것이다. 도스토옙스키가 경험한 4년간의 “죽음의 집”의 경험은 물론 개인적이고 현실적인 차원에서는 벌이요, 고통이었겠으나, 예술적 차원에서는 위대한 작가로 태어나기 위한 산고의 세월이었으며, 철학적 차원에서는 민중과 러시아성에 대한 깊은 깨달음의 기회였고, 종교적 차원에서는 길을 잃고 헤매던 어린 양이 다시 하느님의 품으로 돌아오는 여정이었으며, 작가가 자신을 죽음을 통해 부활한 나자로와 동일시하게 되었던 대사건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