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성공한 리더들은 아무리 바빠도 미술관에 가는가”
제프 베이조스, 현대카드 정태영, 방탄소년단 RM…
예술에 진심인 그들이 미술관을 자주 찾는 이유
세계적인 리더들이 바쁜 일정 속에서도 뉴욕의 MoMA, 메트로폴리탄, 구겐하임, 런던의 테이트 모던, 파리의 퐁피두 센터 같은 미술관을 찾는 이유는 단순한 교양이나 취미 때문만은 아닐 것이다. 리더로서의 무게를 잠시 내려놓고 작품 앞에서 휴식을 취하려는 것일 수도 있고, 미술 작품을 바라보며 새로운 아이디어나 영감을 얻으려는 의도일 수도 있다. 하지만 평범한 우리는 그들이 작품 앞에서 무슨 생각을 하는지 정확히 알 수 없다. 그저 짐작할 뿐이다. 신간 《왜 성공한 리더들은 아무리 바빠도 미술관에 가는가》는 그런 궁금증에 답을 준다. 이 책의 저자는 도쿄예술대학의 미술관장이자 교수로, 예술을 통해 쇠락한 일본의 한 섬마을을 세계적인 아트 명소로 탈바꿈시킨 ‘나오시마 아트 프로젝트’를 성공으로 이끈 인물이다. 그는 모네의 《수련》, 구사마 야요이, 안도 다다오의 작품들을 직접 기획하고 디렉팅했으며, 세계 각국의 예술가들과 비즈니스 리더들과도 활발히 교류해왔다. 그런 그가 들려주는 ‘리더들이 미술관을 찾는 진짜 이유’는 단순한 호기심을 넘어서, 비즈니스적 관점에서 아트를 어떻게 대해야 하는지 친절히 알려준다.
“나는 이 책에서 사업가들이 미술 작품 앞에서 어떤 영감을 얻는지를 구체적으로 다뤄보려 한다. 비즈니스에서는 숫자에 중점을 두기 쉽지만, 경영자에게 이야기를 들어 보면 평소 경영에서 ‘보이는 것’에 사로잡혀 한계를 느끼는 듯하다. 그래서 ‘보이지 않는 것’을 아트에서 배워 한계를 돌파하고자 하는 것이 아닐까 싶다.”
앤디 워홀, 제임스 터렐, 요제프 보이스…
현대미술 전반에 대한 지식까지 한 차원 더 높여준다!
책은 총 다섯 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왜 성공한 리더는 아무리 바빠도 미술관에 가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해, ‘그들은 미술관에서 무엇을 보고, 어떻게 사고하며, 그것이 어떤 행동으로 이어지는가’까지 단계적으로 내용을 확장해 나간다. 특히 2장에서는 오늘날 기업을 이끄는 리더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현대미술의 거장 마르셀 뒤샹, 앤디 워홀, 요제프 보이스를 다룬다. 저자와 함께 이들의 작품을 감상하면서, 아트 작품을 비즈니스적 관점으로 어떻게 바라보고 활용할 수 있는지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살펴본다.
또한 이 책은 아트가 비즈니스의 협업을 통해 성공적인 결과를 이뤄낸 사례들도 상세히 소개한다. BMW는 예술과 기술이 결합된 아르스 일렉트로니카 페스티벌에서 미래형 자율주행차 디자인의 실마리를 얻었고, 명품 기업 로에베는 전통 공예의 감성을 현대 소비자에게 통하는 브랜드 언어로 재해석했다. 메르세데스 벤츠는 아티스트와의 협업을 통해 ‘자동차가 사람에게 말을 거는’ 개념을 디자인에 도입했다. 더 나아가 아트가 브랜딩과 디자인에 영감을 주는 차원을 넘어, 프라이머리·세컨더리 마켓의 구조, 연출화된 경매 시스템, 블록체인 기반 미술 거래 등 오늘날 미술 시장의 흐름까지 폭넓게 다룬다. 성공한 리더들은 단지 작품을 ‘보는 눈’이 아니라 주변 지식과 함께 ‘읽는 감각’을 키우며, 미술을 통해 비즈니스의 기회를 포착해낸다.
《왜 성공한 리더들은 아무리 바빠도 미술관에 가는가》는 단순한 미술 입문서도, 작품 해설서도 아니다. 이 책은 숫자에 갇힌 리더가 ‘감각의 근육’을 회복하고, 아트를 통해 생각을 정리하고, 그곳에서 기회를 발견하려는 전략서다. 책장을 넘길수록 더 많은 ‘왜’를 던지게 될 것이다. 지금, 그들은 미술관에서 무엇을 보고 있는가? 그리고 나는 왜 아직 그곳에 가지 않았는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