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병(未病)의 신호에 귀 기울이는 현대인의100세 건강을 위한 지혜로운 《한의사 사용법》!
서양의학과 동양의학은 병원의 풍경부터 다르다. 응급실에 들어서는 순간부터 피 냄새와 소독약 냄새가 풍겨오는 병원의 모습과 달리, 한의원은 들어서는 순간부터 뭔지 모를, 태초부터 먼 조상들이 즐겨왔을 건강한 자연의 냄새가 난다.
냄새뿐만이 아니다. 치료기구 역시 다르다. 같은 병원의 범주에 묶여 있지만, 양의학 병원과 달리 한의원에서는 사소한 사혈이나 하는 외에는 피를 볼 일이 거의 없다. 서양식 병원에서 받았을 치료의 풍경에 익숙한 환자라면 ‘찢고 자르고 꿰매고’ 하는 과정이 거의 없으니 한의원에서의 치료란 드라마틱한 변화가 아니라, 다만 내 몸이 원래 있었던 그 상태 그대로를 찾아 최대한 제자리에 돌려놓는 것에 가깝다.
여기까지만 읽어봐도 그럼 한의원을, 그리고 한의사를 어떤 자세로 ‘사용해야’ 현명한 현대인으로서 건강을 지킬 수 있을지 답이 나오지 않는가? 한의원은 병을 심각하게 키워서 가는 곳이 아니라, 평소부터 친구네 집처럼 자주 방문하고(필자의 표현에 따르면 목욕탕 가듯) 가까이하며 나의 건강 상태를 미병(未病), 즉 병이 아닐 때부터 관리해주는 곳으로 습관화해야 한다.
100세 시대가 도래한 지 이미 오래다. 반대로 말하면, 100가지 병을 가지고 천천히 늙어가는 시대가 될 수도 있다. 우리 인체 역시 유기물로 만들어진 이상 노화란 피할 수 없는 운명이며, 100세 시대란 곧 60~70년 사용하던 몸을 최대한 더디게 늙도록 100세까지 잘 사용하는 것에 지나지 않을 수 있다. 그만큼 평소의 관리가 필요하며, 우리에게는 긴급한 수술이 필요한 중병을 해결하는 의사도 중요하겠지만, 평소 ‘건강한 노화’라는 여정에 동반자 역할을 해줄 의사의 역할이 긴요하며, 한의사는 바로 그 역할에 꼭 부합하는 존재이다.
그런 맥락에서 이 책 《한의사 사용법은》 100세 시대를 살아갈 준비를 해야 하는 현대인이 근거리 의료기관으로서 한의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현명한 방법을 알려주는 충실한 가이드북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