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외침

아우구스티누스의 외침

  • 변종찬
  • |
  • 분도출판사
  • |
  • 2025-08-12 출간
  • |
  • 932페이지
  • |
  • 153 X 225mm
  • |
  • ISBN 9788941925088
판매가

38,000원

즉시할인가

34,2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4,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나는 있는 나다. Ego sum qui sum.” - 『고백록』 7,10,16

이 문장은 고대 철학자의 고백만은 아니다. 어쩌면 오늘을 살아가는 이들에게 여전히 유효한, 존재의 가장 깊은 차원에서 울려 나오는 물음이자 외침이다. 그 외침이 이제 고(故) 변종찬 마태오 신부의 유고를 통해 새롭게 되살아났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외침: 현대를 비추는 지혜』는 한 사제의 영성과 지성이 일생에 걸쳐 이룬 열매인 동시에 그가 후학에게 남긴 마지막 유산이다. 이 책을 통해 독자들은 아우구스티누스라는 ‘위대한 영혼’을 단순히 연구의 대상으로서가 아니라, 오늘의 동반자로 다시 만나게 된다.

동료 신학자들의 지성으로 재탄생한 유고
이 책은 특별한 방식으로 기획되었다. 변종찬 신부의 선종 이후, 유품으로 남은 컴퓨터에서 완성되지 않은 초고 원고들이 발견되었다. 변 신부는 생전, 한국 사회와 한국 가톨릭의 맥락 속에서 “왜 지금 아우구스티누스인가?”라는 물음을 던졌고, 그에 대한 응답으로 꾸준히 글을 쓰고 있었다. 단순히 성인의 사상을 정리하는 데 머무르지 않고, 그를 오늘의 독자에게 어떻게 ‘현재화’할 수 있을지를 고심해 왔다. 이런 문제의식을 공감한 서울대교구와 수도회 소속의 여러 신학자는 변 신부의 유고를 분담하여 정독하고 보완하였으며, 아우구스티누스 성인의 정체성에 따라 책을 철학자, 신학자, 수도자, 사목자라는 네 부분으로 구성하였다.

그 결과, 한 저자의 글을 넘어 아우구스티누스를 향한 한국 가톨릭 신학 연구자들의 공동 결실로 이 책이 탄생했다. 학술적으로는 변 신부의 또 다른 논문집인 『혼돈 속의 질서』와 짝을 이루며 교부학의 초석이 되었고, 신앙적으로는 성인의 고백을 오늘의 언어로 되살려낸 새로운 통로가 마련되었다.

하느님을 찾는 삶의 여정
책의 첫 장은 성인의 생애를 따라가며, 그의 사상과 신앙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를 조망한다. 북아프리카 타가스테에서 태어난 아우구스티누스는 수사학을 공부하고 마니교를 거쳐 회의주의에 빠졌으며, 플라톤주의와 성경, 암브로시우스와의 만남을 통해 회심의 여정을 시작했다.
『고백록』에서 묘사되는 감동적인 오스티아의 환시, 카시치아쿰 공동체의 성찰, 타가스테에서의 은둔, 히포에서의 사목과 치열한 논쟁, 그리고 평화로운 선종에 이르기까지 그의 삶은 ‘하느님을 찾는 여정’이었다. 이 장은 단순한 연대기 이상의 의미를 지닌다. 성인의 체험과 회심, 그 속에서 발전한 사유와 믿음은, 오늘날의 독자에게도 영적 회심의 여운을 남긴다.

철학자이자 신학자, 깊이 있는 사유의 인간 아우구스티누스
변 신부는 아우구스티누스를 단순한 ‘신학자’로 다루는 데 그치지 않았다. 오히려 그는 아우구스티누스를 철학과 신학, 수사학과 설교, 고전과 성서가 한데 얽힌 복합적 인물로 이해하려 했다.
『호르텐시우스』를 통한 철학의 개종, 플라톤 학파의 서적을 통해 깨달은 감각과 지성의 이원성, 지혜(sapientia)를 향한 갈망은 모두 철학자로서의 아우구스티누스를 형성하는 핵심 요소다. 특히 하느님의 존재와 본성, 인간의 자유와 예지, 시간과 역사에 대한 관념 등의 철학적 주제는 성인의 사유 깊이를 보여준다. 그는 단순히 고대의 철학을 흡수한 것이 아니라, 신앙의 관점에서 이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신학의 언어로 통합했다.

저자는 또한 아우구스티누스가 삼위일체의 신비, 예정과 은총, 교회론과 종말론 등 수많은 주제에서 일관되게 ‘사랑’이라는 키워드를 놓지 않았음에 주목한다. 또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유 궤적을 따라가면서, 아우구스티누스가 ‘진리와 지혜’를 향해 어떻게 나아갔는지 풍성하게 드러내며, 신학자로서 중세 신학과 이후 교의 발전에 미친 영향을 고찰한다. 『신국론』, 『삼위일체론』, 펠라기우스주의에 대한 반론 등은 단순한 교의 정립이 아니라, 교회와 세상, 인간과 구원에 대한 존재론적 신학의 지평을 열어준다. 이러한 부분에서 저자는 단순한 해석을 넘어서, 아우구스티누스 사상의 통합성과 발전성을 강조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수사학자의 언어로 철학을 말하고, 철학자의 정신으로 성경을 읽으며, 신학자의 겸손으로 사랑을 정의한 인간 아우구스티누스를 보여준다.

공동체의 영성과 삶
제4장에서 아우구스티누스를 수도자, 공동체의 일원으로서 조명한다. 이 측면은 대부분의 아우구스티누스 연구서에서 간과되기 쉬운 부분이지만, 저자는 오히려 여기에 특별한 무게를 둔다. 왜냐하면 아우구스티누스의 모든 사상은 결국 ‘하느님을 찾고, 그분을 살며, 그분을 공동체 안에서 사랑하는 것’으로 귀결되기 때문이다.

수도자로서의 아우구스티누스는 초대교회의 예를 따라 공동체 중심의 삶을 선택했고, 청빈과 정결, 순명의 삶을 통해 하느님을 살아내고자 했다. 그래서 저자는 『수도 규칙』의 토대, 공동체의 영적 친교, 기도소와 절제의 윤리, 사랑과 용서의 실천은 성인에게 있어 단순한 이상이 아니라 실천적 진리였음을 강조한다. 성인이 “하느님을 찾는 것(interioritas)”을 수도 생활의 본질로 보고, 철학과 신학 역시 이 내향성에서 자양분을 얻는다고 보고 있음을 지적한다.
이런 시각에 따라 책에서는 수도원은 단순한 제도나 건물이 아니라, 사랑과 일치의 영성에서 탄생한 ‘살아 있는 교회’임을 되짚는다. 특히 순명의 개념을 장상에 대한 맹종이 아니라, 공동체의 일치를 위한 사랑의 실천이자 공동체 전체의 책임을 함께 짊어지는 형태로 재해석하고 있다.이는 오늘날 교회가 당면한 권위의 문제, 공동체의 책임과 위기 앞에서 아우구스티누스가 여전히 강력한 질문을 던지고 있음을 보여준다.

현재 독자를 향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외침

책의 마지막 장은 아우구스티누스를 사목자로서, 즉 사회와 정치에 발 딛고 선 신앙인으로 조명한다. 히포의 주교로서 그는 교히 안에 머물지 않고, 서로마제국의 혼란과 위기 속에서 하느님의 정의와 평화를 찾고자 했다. 그의 정치사상은 고전 철학과 교회의 가르침 사이에서 균형을 추구했고, 법과 정의, 전쟁과 평화, 국가와 교회의 관계에 대해 탁월한 통찰을 제시하였다.

“사랑하라. 그리고 네가 원하는 것을 행하라.” 이 말은 모든 윤리와 정치, 종교를 꿰뚫는 명제이자, 아우구스티누스의 전 생애를 관통하는 신앙 고백이다. 주교법정의 제도화, 정의로운 전쟁론, 공동선의 개념 등은 시대를 초월한 응답이며, 오늘날의 사회 갈등과 정치적 긴장 속에서 신앙이 어떻게 발언해야 하는지를 다시금 고민하게 만든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외침』은 단지 고대 철학자의 소개서도, 신학 안내서가 아니다. 앞서간 그리스도인이 남긴 고백이며, 한 지성인이 전하고자 했던 시대를 관통하는 외침이다. 변종찬 신부는 그 외침을 독자에게 들려주고 싶어 했고, 이제 그 소리를 들을 차례다. 아우구스티누스의 지성, 영성, 사목, 공동체가 하나로 융합된 ‘살아 있는 신학’과 만남 속에서 오늘의 교회와 사회, 개인의 내면 속에서 어둠을 헤치고 나갈 빛이자 ‘지혜’가 될 수 있길 기대한다.

목차

차례
책머리에
I. 아우구스티누스의 생애
1. 북아프리카 상황
2. 타가스테의 가정
3. 교육
4. 마니교와의 만남
5. 우정
6. 첫 작품: 『아름다움과 알맞음』(De pulchro et apto)
7. 마니교에 대한 회의
8. 회의주의(scetticismo) 단계
9. 암브로시우스와의 만남
10. 밀라노교회
11. 신앙으로 돌아오는 여정의 시작
12. 회의주의의 극복: 신앙과 이성이라는 방법론
13. 플라톤 학파의 서적(Libri platonicorum)
14. 사도 바오로와의 만남
15. 안토니우스의 예
16. 카시치아쿰(Cassiciacum) 공동체
17. 오스티아(Ostia)의 환시(visio)
18. 타가스테(Tagaste) 공동체
19. 아우구스티누스의 사제 수품
20. 신학적 양성
21. 주교직의 짐(sarcina episcopatus)
22. 말씀의 분배자: 설교가로서의 아우구스티누스의 봉사
23. 논쟁가
24. 거창하고도 험난한 과제 (Magnum opus et arduum)
25. 지칠 줄 모르는 활동가
26. 선종(善終)

II. 철학자로서의 아우구스티누스
1. 철학의 의미
2. 신앙과 이성: 해석학적 순환
3. 지식과 지혜(scientia et sapientia)
4. 아우구스티누스 철학의 원천
5. 하느님의 존재
6. 하느님의 본성
7. 하느님과 세상 창조
1) 한처음에 하느님께서 하늘과 땅을 창조하셨다(창세 1, 1)
2) 하느님의 모상으로서의 인간 창조
3) 창조의 지속성
8. 하느님과 인간
1) 영혼과 육체로 구성된 인간
2) 영혼의 불멸성
3) 영혼의 영신성(靈神性)
4) 영혼의 기원
9. 인간: 인식
1) 행복한 삶과 연결되는 진리에 대한 인식 가능성
2) 인식의 단계
10. 인간의 자유와 신의 예지
1) 인간의 자유
2) 자유의지와 윤리적 악
3) 하느님의 예지와 윤리적 악 그리고 자유
11. 세기들의 질서(ordo saeculorum): 시간과 역사
1) 시간의 본성
2) 역사의 시간
3) 두 사랑(Duo amores): 두 도성(duo civitates)

III. 신학자로서의 아우구스티누스
1. 아우구스티누스 신학의 일반적 특징
2. 신학 방법론
1) 성경과 전승 그리고 교회 안에서 나타나는 신앙의 권위, 곧 그리스도의 권위에 대한 온전한 결합
2) 신앙의 이해에 도달하고자 하는 생생한 원의, 따라서 성경의 가르침을 인식하기 위해 모든 인간적 도구들을 사용하는 것
3) 모든 이들, 곧 이교인들, 이단자들 그리고 유다화한 이들 안에서 옹호되고 인정되는 그리스도교 가르침의 독창성에 대한 굳건한 확신
4) 신비에 대한 깊은 감각
5) 사랑, 따라서 교회의 삶에 대한 신학의 지속적인 종속
6) 정확한 신학 용어에 대한 끊임없는 관심
3. 삼위일체론
1) 초기 작품들 안에서의 삼위일체
2) 사제 서품 후의 삼위일체 신학의 성찰
4. 그리스도론
1) 초기 작품들 안에 나타난 그리스도론
2) “위격”(persona)과 “본체”(substantia)
5. 구원론
6. 마리아론
7. 펠라기우스
1) 생애와 작품
2) 펠라기우스의 사상
8. 펠라기우스주의에 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입장 525
1) 원죄와 의화(iustificatio)
2) 은총
9. 예정설
1) 근본적인 전제들
2) 위대한 신비인 예정
3) 선택된 이들에 대한 하느님의 사랑
4) 모든 사람을 향한 하느님의 사랑
5) 예정의 신비의 전제 조건
6) 예정과 사목 활동
10. 도나투스주의
1) 도나투스주의 역사
2) 도나투스주의의 교회론과 성사론
11. 교회론
1) 교회의 차원: 하느님 나라인 교회(Ecclesia -civitas Dei)
2) 교회: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는 신비체 -온전한 그리스도(Totus Christus)
3) 그리스도의 정배인 교회(Ecclesia -sponsa Christi)
4) 어머니요 동정녀인 교회(Ecclesia Mater et Virgo)
5) 교회의 영혼인 성령(Spiritus Sanctus anima Ecclesiae)
6) 교회의 특성
7) 하느님의 도성(civitas Dei): 지상 도성(civitas terrena)
8) 순례 중인 교회(Ecclesia peregrinans)
9) 천상 교회
12. 성사론
13. 종말론

IV. 수도자로서의 아우구스티누스
1. 아프리카 수도원의 창시자인 아우구스티누스 615
1) 아우구스티누스 수도 규칙의 친저성과 기원
2) 아우구스티누스 규칙서의 구조
2. 수도생활의 본질
3. 수도생활의 목적
1) 수도 공동체의 교회성(ecclesialità)
2) 한마음 한뜻(Anima una et cor unum)
3) in Deum
4) 향주삼덕의 친교
5) 삼위일체와 공동체
4. 수도생활의 기초인 청빈과 겸손
1) 청빈
2) 겸손
5. 기도와 그리스도교 수덕생활
1) 공동기도
2) 기도소(Oratorium)
3) 기도의 기본 법칙: 내향성(內向性)
4) 기도와 성가
5) 절제와 극기
6. 정결의 삶
1) 수도자의 복장
2) 이성을 대하는 자세
3) 형제적 교정
7. 상호 간의 봉사와 용서
1) 수도 생활의 황금률
2) 수도원 내의 여러 소임
3) 상호 간의 사랑과 용서
8. 순명과 권위
1) 아우구스티누스 수도 공동체의 특징
2) 장상의 역할
3) 순명
9. 영적 아름다움에 대한 사랑
1) 『수도 규칙』을 준수하는 정신
2) 마지막 권고

V. 사목자로서의 아우구스티누스: 아우구스티누스의 정치사상
1. 법(lex)
1) 그리스 철학자들과 로마 철학자들이 바라본 법
2) 아우구스티누스의 이론
2. 정의(Iustitia)
1) 그리스 철학자들과 로마인들이 생각하는 정의
2) 아우구스티누스의 가르침
3. 전쟁과 폭력
1) 그리스 철학자들과 로마인들이 생각하는 정의
2) 아우구스티누스의 견해
3) 심리학적 문제: 전쟁의 원인
4) 법적 문제
5) 정치적 문제: 군인의 의무
6) ‘의로운 전쟁’(bellum iustum)
4. 부와 가난 그리고 사유재산
5. 주교법정(audientia episcopalis)
1) 주교법정의 성서적 배경과 실천
2) 주교법정의 로마법적 공인
3) 바오로의 계명에 따른 아우구스티누스의 주교법정
4) 사회적 문제의 해결 장소인 주교법정
5) 로마법에 관한 아우구스티누스의 이해
6) 사제직의 의무요 사랑의 표현인 주교법정
6. 국가와 교회
1) 국가의 본성과 한계
2) 교회와 국가의 관계
7. 우정
1) 『고백록』에 표현된 아우구스티누스의 우정에 대한 첫 이해
2) 벗에게 좋은 것을 원하는 것으로서의 우정
3) 호의와 사랑이 동반된 신적인 일과 인간적인 일에 대한 동감으로서의 우정
4) 사랑의 질서(ordo amoris) 안에서의 우정
5) 우정을 통한 일치
6) 하느님을 향한 한 영혼과 한 마음으로 표현되는 그리스도인의 우정
8. 나가는 말

색인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