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는 왜 끝없이 달려야 하는가?
‘움직이는 모순’으로서 자본에 맞서는 비판이론
자본주의는 마치 트레드밀 위를 달리듯 제자리에 머무르기 위해 계속해서 더 빨리 달려야 한다. 동일한 가치를 생산하기 위해 끊임없이 생산성을 높여야만 하는 벗어날 수 없는 조건이 자본주의의 역사적 동역학을 규정한다. 이러한 현실 앞에서 본질과 현상, 진실과 거짓의 이분법에 기초한 비판이론은 무력하다. 가치와 시간에 의한 추상적 지배, ‘움직이는 모순’으로서 자본에 어떻게 맞서야 할까? 그 실마리는 모이셰 포스톤의 ‘비판이론을 비판하는 비판이론’에 있다. 포스톤은 노동을 비판의 입지점이 아니라 비판 대상으로 삼으며 자본의 논리 자체를 거부한다. 자본주의 사회에 내재하는 역동적 모순을 분석할 새로운 이론적 지평을 연다.
이 책은 비판이론과 마르크스주의 연구에서 20세기 최고의 학자 중 하나로 꼽히지만 아직 한국에 충분히 소개되지 않은 포스톤의 사유를 해설한다. 포스톤의 주저 ≪시간과 노동 그리고 사회적 지배≫를 중심으로 비판적 사유가 위기에 처한 이 시대에 비판이론을 새롭게 읽는다. 포스톤의 비판이론이 전통적 마르크스주의의 비판 양식과 구체적으로 어떻게 다른지, ‘추상적 시간과 역사적 시간의 변증법’과 ‘변형과 재구성의 변증법’ 등 포스톤의 핵심 테제들이 현대 자본주의 사회를 어떻게 그리는지 등을 상세히 살필 수 있다. 우리에게 현재의 ‘있는 것’에서 미래의 ‘있어야 할 것’으로 이행하는 역사적 가능성을 보여 주는 포스톤을 따라 자본주의 사회의 모순적 동역학에서 벗어나 총체적 해방의 기획으로 나아가 보자.
모이셰 포스톤(Moishe Postone, 1942∼2018)
캐나다 출신의 유대계 역사학자이자 사회이론가. 현대 마르크스주의와 비판이론 분야에서 독보적 위치를 차지한 학자다. 프랑크푸르트 괴테대학교에서 정치학과 사회학 박사 학위를 취득한 후 1987년부터 시카고대학교에서 역사학 교수로 일하며 유럽 지성사와 비판적 사회이론을 가르쳤다. 마르크스의 가치론을 재해석해 자본주의의 역사적 특수성을 분석하는 데 주력했다. 대표작 ≪시간과 노동 그리고 사회적 지배(Time, Labor, and Social Domination)≫(1993/2003)는 이러한 연구의 정수를 담고 있으며, 전 세계적으로 번역되어 학계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현대 반유대주의와 홀로코스트에 관한 혁신적 연구로 전후 독일의 기억과 정체성 논쟁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마르크스주의와 비판이론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으며, 가치비판, 자본과 시간성, 노동의 위기와 생태계 파괴, 글로벌 자본주의와 금융화, 포스트노동사회와 포스트자본주의 등에 관한 후속 연구에도 지속적인 자극을 주고 있다. 뇌종양으로 수년간 투병하다 2018년 3월 19일 시카고에서 75세의 나이로 서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