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새 고려 왕조사

새 고려 왕조사

  • 한정수
  • |
  • 세창출판사
  • |
  • 2025-06-13 출간
  • |
  • 956페이지
  • |
  • 159 X 231 X 49mm / 1562g
  • |
  • ISBN 9791166843914
판매가

44,000원

즉시할인가

43,56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3,56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태조 왕건은 어떻게 왕위에 올라 삼한을 일통할 수 있었을까?
그가 운영한 고려는 어떤 왕조였을까?
그는 어떠한 천하를 세우려 했고 어떤 족적을 남겼을까?
고려는 우리 역사에서 어떠한 위치를 차지할까?

다채로운 시각으로 진입하는 새로운 고려 왕조사!
34명 고려 제왕의 치적과 5백 년 왕조의 흥망을 읽는다

『새 고려 왕조사: 제왕의 나라 고려 역사 읽기』는 고려를 ‘제왕의 나라’로 조망하는 본격 왕조사이다. 삼한 일통의 위대한 왕 즉 신성 대왕이 통치한 나라, 제불신기의 가호를 받는 신성 군주가 다스린 왕조, 천명을 받은 성인 군주가 아우른 국가, 동국과 해동천하를 구축하고 태평의 시대를 연 나라, 때로는 황제로 호칭되면서도 국왕 책봉을 받은 국가 등의 다채로운 시각을 ‘제왕의 나라’로 함축하였다.

이 책은 고려 왕조에 대한 다양한 물음에서 출발한다. 태조 왕건은 어떻게 후삼국의 전란을 수습하고 삼한을 일통할 수 있었는가? 고려는 과연 어떤 나라였을까? 고려의 제왕들은 누구였고 무엇을 이루었으며 어떻게 무너졌는가? 저자 한정수 교수는 이러한 문제의식에서 918년 태조 왕건의 즉위에서 시작해 1392년 공양왕의 폐위와 조선 개국에 이르기까지 34명 고려 제왕의 475년에 걸친 흥망성쇠를 깊이 있게 서술하였다.

역사의 기록, 그 행간에서 되살아나는
고려 왕조의 생생한 얼굴

918년 시작된 고려는 1392년 이성계의 즉위와 함께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졌다. 이어 1394년에 일어난 공양왕과 왕씨 일족 제거는 어떠한 명분을 갖다 붙이더라도 역사의 비극이었다. 475년 이어진 용손 혈통을 다시 부흥시키려 한다는 의혹을 빌미로 발본색원 차원의 조치가 이루어진 것이다. 후일 조선 왕조는 『고려사』와 『고려사절요』를 편찬해 고려의 역사를 정리하고 조선 건국의 명분을 정당화하였다. 이러한 조선판 고려 역사 세우기로 인해 고려의 역사는 조선의 관점에서 각색되었고, 그로 인해 고려사에는 왜곡과 단절이 남았다.

그럼에도 정사, 문집, 금석문, 각종 문서, 불경 등에 고려의 역사 유산은 고스란히 남아 있다. 또 『고려사』와 『고려사절요』의 행간에도 보인다. 이를 통해 신성한 용손 혈통의식에 따른 왕위계승, 제불신기의 가호와 그에 대한 보은, 사회통합을 위한 팔관회 개최와 보살계 수계, 장경도량 등 호국 불교 도량 설행, 유불도 문명의식과 선랑 등에 기초한 해동천하 건설, 고려 왕조의 자주성 유지를 위한 외교적 노력, 왕조 중흥을 위한 다양한 개혁 정책의 추진 등 고려의 복합적이고 역동적인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왕조의 흥망과 문명의 깊이를 다시 사유하게 할
새로운 고려 왕조사

이 책은 각 군주의 즉위 과정과 왕실 구성 및 공신, 정치와 업적, 죽음과 시대 과제라는 틀로 고려 왕조사를 재구성하였다. 제1장 천수(天授) 혁명 왕건과 고려, 제2장 5백 년 왕조의 토대 만들기(혜종~목종), 제3장 위기 극복과 해동천하(현종~숙종), 제4장 12세기 대전환 속 고려의 선택(예종~인종), 제5장 제왕과 무신정권(의종~원종), 제6장 고려와 원 그리고 부마고려국왕(충렬왕~충정왕), 제7장 왕조의 가을과 역성혁명(공민왕~공양왕)으로 나눠 고려 건국부터 왕조 멸망과 조선에서의 고려 역사 세우기에 이르기까지를 정리했다. 책의 말미에는 고려 제왕 일람표와 고려 제왕 세계도를 부록으로 실어 고려사 전체의 흐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고려는 천명과 제불, 천지산천의 신기, 풍수지리와 도참 등에 가탁하여 왕실 신성화와 왕업의 중흥 및 연장을 도모했다. 수많은 사찰을 세우고 제불 도량을 열었으며, 천지산천의 신기에 대한 제사를 지내고 천명에 의지하는 덕치, 풍수에 의한 정도 및 천도론 등을 추구했다. 왕실은 용손 혈통의 황가로 신성화했으며 팔관회를 열어 왕실이 천령과 제불신기의 가호를 받고 있음을 대내외적으로 천명했다. 그러면서도 유교 정치를 끊임없이 추구했다. 신성한 성인 군주인 제왕이 다스리는 나라라는 인식은 이를 토대로 점차 강화되었다. 그 결과 고려는 문종 대에 고려 중심의 해동천하 인식과 문명의식을 가지게 되었다.

이후 고려는 쇠퇴했다. 그렇지만 삼한 일통과 해동천하 등은 고려를 상징하는 문명 및 자존의식의 토대로 작용했다. 그렇기에 고려 왕조는 무신정변, 여몽 전쟁, 원 간섭기 부마제후국 단계를 거치면서도 왕조를 유지할 수 있었다. 반면 선왕 정치 모델로의 지나친 개혁과 회귀 시도는 독이 되기도 했다. 궁예가 암군으로 쫓겨나고 태조 왕건이 추대로 즉위했듯이, 공양왕 역시 혼암한 군주라는 명분으로 축출되었다. 이성계 등은 이미 수명을 다한 고려 왕실의 혈통을 발본색원 단절함으로써 강제로 그 명분을 세웠다. 제왕의 나라 고려는 이로써 마무리되었다. 고려는 살아남기에도 급급해진 나라가 되었고, 그마저도 민심을 헤아리지 못하면서 천명은 다른 선택을 하기에 이르렀다. 아쉬움이 남는 대목일 수밖에 없다. 그러나 그 또한 역사의 일부일 따름이었다.

목차

머리말

제1장 천수(天授) 혁명 왕건과 고려

1. 분열 속 새로운 시대로의 여명
1) 후삼국의 정립과 관계
2) 새로운 후삼국 정립과 시대 과제
3) 신성한 왕건 가문 만들기
4) 풍수도참과 왕건, 그리고 불교

2. 삼한 일통 전쟁과 「훈요십조」
1) 천명 수수와 삼한 일통 전쟁
2) 전쟁 후 사회통합 노력과 질서 재편
3) 왕조 안정책의 시행
4) 삼한 일통의 의미와 시대 과제로서의 「훈요십조」

제2장 5백 년 왕조의 토대 만들기

1. 혜종, 정종과 왕자의 난
1) 혜종의 즉위와 고명대신
2) 흔들리는 왕권과 왕규
3) 정종과 왕식렴
4) 시대 과제

2. 광종의 못 이룬 꿈과 대성(大成)
1) 광종의 즉위와 꿈
2) 왕권 강화의 앞면: 1기
3) 개혁과 의문: 2기
4) 개혁의 뒷면과 시대 과제: 3기

3. 경종의 내선(內禪)과 성종의 지치(至治)
1) 경종의 즉위와 개령군 왕치
2) 성종의 즉위와 최승로
3) 중흥군주의 정치와 거란과의 전쟁
4) 성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4. 목종과 흔들리는 왕실
1) 목종의 혈통과 즉위
2) 목종의 정치와 대거란 문제
3) 천추태후와 대량원군
4) 목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제3장 위기 극복과 해동천하

1. 수난의 용손 현종 즉위와 새로운 고려 왕실
1) 현종의 용비와 왕실
2) 신성한 왕실 새로 세우기
3) 위기의 연속과 태평 시대
4) 현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2. 형제 계승이 만든 해동천하와 문종의 정치
1) 덕종의 즉위와 아쉬운 응천(應天)
2) 정종의 즉위와 "선계선술(善繼善述)"의 정치
3) 촉유(燭幽) 문종의 즉위와 정치 방향
4) 성수만세(聖壽萬歲)로 이룬 소중화(小中華)
5) 문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3. 순종, 선종, 헌종, 숙종의 왕위계승과 정치
1) 36년간의 후계자 교육 대 4개월의 재위 기간, 순종
2) 왕실의 위기와 계천(繼天), 선종
3) 강성한 종실과 유약한 군주, 헌종
4) 숙종의 즉위와 10년간의 천하 운영
5) 23년의 세월이 남긴 시대 과제

제4장 12세기 대전환 속 고려의 선택

1. 덕치와 모화(慕華)로 이룬 예종의 문물
1) 예종의 즉위와 왕실
2) 예종의 정치와 여진 정벌
3) 예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2. 국제질서의 대전환과 인종
1) 인종의 즉위와 왕실
2) 금과의 통교와 남송과의 외교
3) 왕실을 흔든 조선국공 지군국사 이자겸
4) 인종의 개혁 정치와 묘청의 서경 천도, 칭제건원
5) 인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제5장 제왕과 무신정권

1. 의종과 총행 세력의 태평호문
1) 의종의 즉위와 왕실
2) 의심왕 의종
3) 지나친 사불사신(事佛事神)
4) 간유폐첩(姦諛嬖妾)
5) 의종의 정치와 죽음, 그리고 시대 과제

2. 명종의 왕권과 무신 시대 개막
1) 명종의 즉위와 왕실
2) 유응규와 명종 책봉
3) 무신정권이라는 괴물의 탄생
4) 명종의 정치와 시대 과제

3. 고려 왕실과 최씨 무신정권: 신종, 희종, 강종, 고종
1) 네 군주의 즉위와 왕실 구성
2) 최씨 무신정권
3) 여몽 전쟁과 강도(江都) 시대
4) 네 명의 군주와 시대 과제

4. 무신정권의 종식과 왕권 회복: 원종
1) 원종의 즉위와 왕실
2) 무신정권과 출륙환도
3) 삼별초의 항전과 의미
4) 원종의 죽음과 시대 과제

제6장 고려와 원 그리고 부마고려국왕

1. 원과의 관계 정립과 충렬왕의 정치
1) 충렬왕의 즉위와 왕실
2) 원과의 관계 설정: 황제를 이용하라
3) 풍속과 제도의 변화
4) 충렬왕의 죽음과 정국 운영이 남긴 시대 과제

2. 두 얼굴의 개혁 군주 충선왕
1) 충선왕의 두 번 즉위와 왕실
2) 개혁인가 권력 지키기인가, 변질된 개혁
3) 충선왕의 죽음과 과제

3. 부자상이(父子相夷) 탕욕(湯浴) 군주 충숙왕
1) 충숙왕의 즉위와 왕실
2) 음울한 충숙왕의 정치
3) 심왕 옹립 운동
4) 입성책동론과 그 저지 운동
5) 충숙왕의 죽음과 과제

4. 아야마고지나(阿也麻古之那) 악양망고지난(岳陽亡故之難) 충혜왕
1) 충혜왕의 즉위와 왕실
2) 탐음무도 충혜왕의 폐행정치
3) 충혜왕의 죽음과 시대 과제

5. 유충(幼沖) 군주와 왕실의 위기: 충목왕과 충정왕
1) 충목왕의 혈통과 즉위
2) 4년간의 치세와 12살의 죽음
3) 충정왕의 즉위와 3년 재위 그리고 강화로의 축출
4) 충정왕의 죽음과 강릉대군의 숙제

제7장 왕조의 가을과 역성혁명

1. 원명교체기 속 공민왕 대 개혁 정치의 명암
1) 공민왕의 즉위와 왕실
2) 여전한 폐행과 환관의 세상
3) 개혁 추진과 분기점들
4) 1기 개혁과 한계
5) 2기 개혁과 한계
6) 3기 개혁과 한계
7) 명에 대한 사대와 불편한 관계
8) 공민왕의 죽음과 과제

2. 우왕, 창왕의 실정과 혁명의 단초
1) 우왕의 즉위와 왕실
2) 명덕태후와 경복흥, 이인임
3) 명 사신 채빈 살해 사건과 그 후폭풍
4) 철령위 설치와 요동 정벌
5) 위화도 회군과 창왕 즉위
6) 우왕, 창왕의 죽음과 시대 과제

3. 공양왕의 즉위와 역성혁명
1) 탐주로 즉위한 공양왕과 왕실
2) 새로운 권력의 탄생과 집권 세력 간 갈등
3) 공양왕과 정몽주의 군신연대
4) 정몽주 제거와 더 결속된 이성계 세력
5) 공양왕의 마지막 한 수, 군신동맹
6) 혁신의 시대 속 공양왕
7) 이성계의 사직론과 명분 쌓기
8) 공양왕의 시대착오와 폐위 명분
9) 공양왕의 폐위와 천인감응적 역성혁명의 논리
10) 명에서의 이성계 세력 방조와 "자주자요(自做自要)", "성교자유(聲敎自由)"
11) 공양왕의 죽음과 고려 왕실 세력 발본색원
12) 건국의 합리화와 고려 왕씨 자손 보존론

부록 1: 고려 제왕 일람표
부록 2: 고려 제왕 세계도
사진 목록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