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스, 신종플루, 메르스, 코로나19…
다음에 올 신종 감염병은?
2023년 5월 5일 세계보건기구(WHO)는 전 세계적인 코로나19 바이러스 감염증으로 인한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3년 4개월 만에 해제한다고 발표했다. 이 기간 동안 코로나19 바이러스는 변이를 일으키며 최소 700만 명의 소중한 생명을 앗아 갔다. 이제 코로나19의 위력은 줄어들었지만, 우리의 무의식에는 감염병 트라우마가 여전히 줄어들지 않고 있다.
코로나19 이전에도 사스(2003), 신종플루(2009), 메르스(2015) 등 신종 감염병이 전국을 뒤흔들었다. 사람에게 전염되지는 않지만 구제역(2010), 조류독감(2014), 아프리카돼지열병(2019)도 빠르게 확산했다. 21세기가 시작되면서 한국은 "감염병의 천국"이라는 오명을 벗기가 어려워졌다. 감염병의 "끝판왕" 코로나19가 휩쓸고 지나간 자리에 또 어떤 감염병이 찾아올지 상상만 해도 불안하고 공포스럽다. 지금도 코로나 바이러스는 보이지 않는 곳에서 끊임없이 변이를 일으키며 진화하고 있을지 모른다.
기존의 감염병이 그랬듯이, 새로운 감염병도 언제, 어디서, 어떻게 나타날지 알 수 없다. 앞으로 예고 없이 찾아올 감염병에 맞서 우리가 할 수 있는 유일한 일은 확산을 늦추거나 막는 일, 곧 "방역"이다. 현대사회는 사람들이 밀도 높게 연결되어 있으므로 감염병의 확산 속도와 파급력은 상상을 초월한다. 과학기술학(STS) 연구자들이 인간의 사회구조 역시 질병을 이루는 하나의 요소로 간주하는 것이 설득력을 얻는 이유다. 따라서 개개인의 방역 노력으로 감염병 확산을 저지하는 것은 한계가 있으며, 국가가 중앙 집중적으로 주도하는 강력한 방역 정책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런 의미에서 지난 방역 정책의 사례들을 고찰하는 작업은 매우 중요하다.
성공적인 K-방역 뒤에는
뼈아픈 역사적 교훈이 있었다!
이 책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초기 대응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코로나19 발생에 대해 전혀 준비가 되지 않았던 초기 확산 단계에서 질병에 대응하는 방식은 그 국가의 공공 보건 시스템의 유지 또는 붕괴를 결정했다. 저자는 한국의 경우 초기 대응에 비교적 성공함으로써 오랫동안 보건 시스템을 유지할 수 있었다고 평가한다.
이 책에서는 중국의 극단적인 봉쇄 전략이나 서구 사회의 "행동 방역"과 비교해, K-방역의 특징을 "공간 방역"으로 규정한다. 한국은 시민들의 행동을 강제할 수는 없었지만, 집단으로 행위자들이 모이는 "공간"을 적극적으로 통제했다. 공간 방역을 추진하기 위해 "검사-추적-격리"의 3단계 전략에 기반한 진단 키트, 선별 진료소, 드라이브 스루 검사, 생활 치료 센터 등 다양한 대응 방식을 고안해 냈다.
저자는 한국이 서구 국가의 전통적인 방역 전략을 따르지 않고, 정책적 상상력과 임기응변을 발휘해 "공간 방역"이라는 비전통적인 방역 전략을 탄생시켰다고 보았다. 더불어 이러한 방역 전략을 구축하게 된 주된 요인으로 한국만의 특수한 질병 경험에 주목했다. 2015년에 발생한 메르스와 같은 실패한 과거의 질병 경험뿐 아니라 조류독감, 구제역 당시 중앙 집중적인 동원 체제 등의 경험이 역사적 교훈이 되었다는 것이다. 이 책에서는 사스, 조류독감, 구제역, 메르스 등 2000년대 이후 주기적으로 발생한 질병의 경험이 어떻게 효과적인 K-방역 전략을 탄생시켰는지 과학기술학적 관점에서 심층적이고 다차원적인 분석을 시도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