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확률은 애매하고 불확실한 걸까?”
확률은 모호한 개념이 아니라,
세상을 이해하는 가장 똑똑한 방식이다
“확률은 그냥 찍는 거잖아요.”
많은 사람이 이렇게 말한다. 시험에서 모르는 문제를 찍을 때나, 복권을 살 때 우리는 확률을 ‘운’처럼 생각하곤 한다. 하지만 이 책은 이런 생각이 얼마나 잘못된 것인지를 흥미롭게 설명해 준다.
이 책의 저자는 확률을 단지 주사위나 도박에만 쓰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인공지능 속에서도 확률이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말한다.
예를 들어, 알파고가 바둑을 둘 때, 어떤 수를 계산해서 ‘정답’을 고르는 게 아니다. 그 대신, “이 수를 두면 이길 가능성이 크다”라는 확률을 계산해서 선택한다. 스마트폰의 음악 추천이나 유튜브 영상도 마찬가지다. 수많은 가능성 중에서 ‘가장 그럴듯한 것’을 고르는 것이다. 이것이 바로 확률의 힘이다.
우리는 종종 ‘앞면이 5번 나왔으니, 이제 뒷면이 나올 차례야’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이건 엄청난 착각이다. 동전 던지기는 매번 결과가 독립적이기 때문에, 앞면이 몇 번 나왔든 다음 결과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확률을 정확히 알지 못하면, 이런 착각 때문에 손해를 볼 수 있다.
어떤 사람들은 확률은 엉성하고 믿을 수 없는 분야라고 말한다. 하지만 놀랍게도 확률은 인공지능이 세상을 이해하고 움직이는 방식이다. 확률은 ‘몰라서 쓰는 방법’이 아니라, ‘모르기 때문에 더 똑똑하게 선택하는 방법’인 것이다.
『확률로 바라본 수학적 일상』은 확률이라는 개념이 수학 교과서 안에 갇혀 있는 것이 아니라, 우리 주변 곳곳에서 활약하고 있음을 흥미진진하게 알려준다. 무작위처럼 보이는 현상 속에서 패턴을 찾아내고, 불확실함 속에서 최고의 선택을 하는 것, 그게 바로 확률의 진짜 역할이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아마 여러분도 이렇게 말하게 될 것이다. “확률이 이렇게 재미있고, 쓸모 있는 학문이라니!”
현대 사회를 움직이는 핵심 원리
‘확률’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
요즘 뉴스에서는 하루가 멀다 하고 ‘영끌 투자 실패’, ‘코인 폭락’, ‘선물 옵션으로 전 재산을 잃었다’ 같은 기사가 쏟아진다. 인터넷 도박 사이트에 빠진 20대, 주식 단타에 매달리다 빚더미에 앉은 청년들, 파생상품으로 한밤중에도 눈을 감지 못하는 사회 초년생까지, 불확실한 세계에서 단 한 번의 ‘대박’을 노리는 사람들이 끊임없이 나타난다.
하지만 『확률로 바라본 수학적 일상』은 이 위험한 흐름에 올라탄 사람들에게 수학적 통찰을 던진다. 이 책은 단순한 수학 교양서가 아니다. 확률이라는 렌즈로 인간의 착각을 들여다보고 AI처럼 세상을 더 현명하게 바라보는 법을 알려주는 생존형 교양서다. 책에 나오는 ‘도박꾼의 파산(Gambler’s Ruin)’ 문제는 현실의 투자 실패를 이해하는 데 놀라운 깨달음을 준다. 이야기는 이렇게 시작된다.
한 도박꾼이 있다. 그는 도박판마다 50%의 확률로 이기거나 지는 공정한 게임을 한다. 초기 자본은 10달러이고 목표는 20달러를 보유하는 것이다. 하지만 한번 잃기 시작하면 그에게 남은 선택은 하나다. “다시 따기 전까진 멈출 수 없다.” 이론적으로는 공정해 보이지만, 수학적으로는 결과가 정해져 있다. 그는 결국 파산한다. 왜일까?
확률적으로 보면, 한 판 한 판은 반반의 승부일지 몰라도 돈이 무한하지 않은 사람이 계속해서 베팅을 이어갈 경우, 결국 돈이 바닥날 수밖에 없다. 잃을 확률이 쌓일수록 파산에 도달할 확률은 1(100%)에 가까워지기 때문이다. 이길 기회는 매 판 있지만, 잃을 가능성도 계속 누적되어서 시간이 충분히 지나면 언젠가는 자금이 0원이 되는 순간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결국은 ‘파산’이 수학적으로는 ‘거의 확실한 운명’이 된다. 이는 단순한 수학 퍼즐이 아니다. “결국은 따게 될 거야”라는 자기암시는, 실제로는 확률적으로 파멸을 예약하는 선택이라는 것이다. 이 원리는 지금도 우리 사회 곳곳에서 반복되고 있다. 고수익·고위험 투자 상품에 수십 번, 수백 번 ‘몰빵’하는 행위, 모든 돈을 베팅하고 “이번만은”을 외치는 심리의 배경에는 확률에 대한 오해, 혹은 무지가 깔려 있다.
『확률로 바라본 수학적 일상』은 바로 이런 무지에서 벗어나게 해준다. 이 책은 알파고, ChatGPT, 스팸 필터, 추천 알고리즘처럼 AI가 확률을 어떻게 다루는지를 알려주는 동시에, 확률적으로 생각하는 힘이 얼마나 강력한 생존 도구인지를 알려준다. 우리의 일과 일상은 확률과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기 때문이다.
이 책을 읽다 보면 깨닫게 된다. 우리는 언제나 불확실한 세상에 살고 있고, 그 속에서 이기려면 필요한 것은 ‘감’이 아니라 확률을 이해하고 활용하는 힘이라는 것을 말이다. 확률은 단지 수학이라는 학문에 머무르지 않는다. 위험을 줄이고, 판단을 개선하고, 살아남는 법을 가르쳐주는 도구다. 그것이 바로 이 책의 메시지다. 그리고 오늘을 사는 우리에게 가장 필요한 생존 기술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