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Climate Change and a More Sustainable Society

Climate Change and a More Sustainable Society

  • Jang Moo Lee
  • |
  • 지식마을
  • |
  • 2025-07-15 출간
  • |
  • 190페이지
  • |
  • 142 X 211 X 14mm / 431g
  • |
  • ISBN 9791198240934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However, in the last 200 years, CO₂ levels have risen rapidly due to increased fossil fuel consumption, exceeding 400 ppm in recent years-a level not seen in 3 million years. _p.11
지난 200년 동안 화석 연료 소비의 증가로 인해 CO₂ 농도가 급격히 상승하여, 최근에는 400ppm을 초과하게 되었으며, 이는 300만 년 동안 한 번도 관측된 적이 없는 수준이다.


The UNFCCC considers a carbon dioxide concentration of 450 ppm the upper limit that humans can tolerate. _p.19
UNFCCC는 인간이 견딜 수 있는 이산화탄소 농도의 상한선을 450ppm으로 보고 있다. 이 한계를 전 세계적인 대응 없이 초과할 경우, 인류 멸종을 포함한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하고 있다.


To avoid such catastrophic outcomes, Stern recommended investing over 1% of global GDP (approximately $550 billion) annually to transition to a low- carbon economy. _p.20
이러한 재앙을 피하려면, 영국의 스턴(Stern) 교수는 전 세계가 저 탄소 경제로 전환하기 위해 매년 전 세계 GDP의 1%($5500억) 이상을 투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The Climate Change Center strives to foster collaboration among local and global leaders and organizations from various sectors, including civil society, government, business, and academia, to build a sustainable low-carbon future. _p.40
기후변화센터는 지속 가능한 저탄소 미래를 구축하기 위해 시민사회, 정부, 기업, 학계를 포함한 다양한 분야의 국내외 리더와 기관 간의 협력을 촉진하는 데 힘쓰고 있다.


The Climate Change Leadership program featured 10 weeks of intensive training, consisting of two lecture days per week with two-hour evening sessions. Two executive programs were held each year, attracting significant participation from Korea"s top leaders. The inaugural executive leadership program was a resounding success, drawing prominent lecturers and an exceptional cohort of participants, including top executives from major corporations, former Ministers, high-ranking officials, the Mayor of Seoul, congressmen, lawyers, and NGO leaders. _p.41
기후변화 리더십 프로그램은 10주간의 집중 교육 과정으로, 주 2회 2시간씩 저녁 강의로 구성되어 있었다. 매년 두 차례의 최고위 과정이 열렸으며, 한국의 주요 리더들이 대거 참여하였다. 첫 번째 최고위 리더십 프로그램은 저명한 강사진과 주요 대기업 임원, 전직 장관, 고위 공직자, 서울시장, 국회의원, 변호사, NGO 리더 등이 참여하여 큰 성공을 거두었다.


As a global university, one of the highest missions of education and research at SNU is to contribute to the sustainability of humanity. _p.51
글로벌 대학으로서 지속가능캠퍼스의 교육과 연구의 가장 중요한 사명 중 하나는 인류의 지속 가능성에 기여하는 것이다.


“We appreciate Seoul National University’s successful leadership in this program.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actively developing policies to help young people practice essential environmental values in the climate crisis era. We will continue to support the expansion of the Green Leadership Curriculum to more universities.” _p.63
“서울대학교가 그린 리더십 프로그램에서 보여준 성공적인 리더십에 감사드린다. 환경부는 기후 위기 시대에 청년들이 필수적인 환경 가치를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앞으로 더 많은 대학으로 그린 리더십 교과과정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


As we know, the monumental challenge of climate change cannot be addressed by a single discipline, region, or limited societal engagement. It demands a comprehensive, multidisciplinary, and socially inclusive approach. From this perspective, the Korean Society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was established as an academic organization uniting diverse fields, including solar energy, wind power, hydrogen fuel cells, bioenergy, ocean energy, and energy policy. The Society bridges expertise from the natural and social sciences, academia, industry, government, and civil society. _p.76
기후변화라는 중대한 과제는 단일 학문, 특정 지역, 제한된 사회적 참여만으로는 해결할 수 없다. 이는 포괄적이고 다양한 학문의 협동적 노력과 사회적으로 포용적인 접근을 요구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한국신재생에너지학회는 태양에너지, 풍력, 수소연료전지, 바이오에너지, 해양에너지, 에너지 정책 등 다양한 분야를 아우르는 학술 단체로 설립되었다. 이 학회는 자연과학과 사회과학, 학계, 산업계, 정부, 시민사회의 전문성을 연결하는 가교 역할을 하고 있다.


Smart Green Cities are to be implemented through effective integration with the help of layer maps. The layers used are smart grid, heat island, renewable energy, micro grid and urban open space, green ways, traffic, public transportation, pedestrian/bicycle maps along with creation of communities, mixed use and diversity in density. Systematic integration of such layer maps should be made in the earliest stages of urban planning. _p.144
스마트 그린 시티 설계는 레이어 맵을 활용한 효과적인 통합을 통해 구현되어야 한다. 사용되는 레이어는 스마트 그리드, 열섬 현상, 재생에너지, 마이크로그리드, 도시 개방 공간, 녹지축, 교통, 대중교통, 보행자/자전거 지도뿐만 아니라 커뮤니티 형성, 복합 용도, 밀도의 다양성 등을 포함해야 한다. 이러한 레이어 맵들의 체계적인 통합은 도시 계획의 초기 단계부터 이루어져야 한다.


These complex global issues pose serious threats to the sustainability and mutual prosperity. Nevertheless, history has repeatedly demonstrated that humans can overcome such challenges through scientific and technological progress. _p.182
이러한 복잡한 글로벌 문제들은 지속 가능성과 상호 번영에 심각한 위협을 가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역사는 과학기술의 발전을 통해 인류가 이러한 도전을 극복해 왔음을 반복해서 보여주고 있다.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오랫동안 활동해 온 저자들은 기후변화에 관한 최신의 연구 성과를 종합하면서 지속가능한 사회로 가기 위한 대안과 처방을 이 책에서 제시한다. 이 책에는 도표, 이미지, 사진을 다수 수록하여 독자들의 이해를 돕고 있다. 기후변화는 인류가 당면한 근본적인 문제이며 지구적 차원의 긴급한 공동의 노력으로만 기후 재앙을 극복할 수 있다. 저자들은 국제연합 기구인 UN을 위시한 국제기구들의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범 세계적인 조치와 성과를 논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우리나라의 학계, 산업계, 정부, 비영리 사회단체들의 활동을 소개하고 있다. 저자들은 대학 재직 중에 지속가능한 사회 구현을 최고의 교육, 연구 이념으로 정하고, 그린 캠퍼스 선언과 백서 발간, 청년들을 위한 그린리더십 인증 프로그램 도입, 지속가능연구소 및 기후변화대응연구원 창립 등 기후 관련 활동을 해온 이야기를 소개하고 있다. 또한, 탄소 저감을 위한 신재생에너지 학회 창립과 (재) 기후변화센터의 성공적 운영 등을 흥미롭게 소개하였다. 특히 저자들은 지구 표면적의 2%를 차지하지만, 세계 온실가스의 80%를 배출하는 도시들이 저탄소 도시로 변화되어야 한다고 강조하면서 도시 설계와 기후변화 과학기술이 통합된 스마트 그린 시티 설계를 제안하고 있다. “리더들이 변해야 세상이 변한다”고 하였듯이, 저자들은 (재)기후변화센터 이사장, 환경대학원 원장 등을 역임하면서 국·내외 각 분야의 많은 리더와 만나고 이들과 함께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해 활동한 이야기들을 이 책에 담았다. 미래의 주역인 청년들과 사회를 이끌어가는 리더들에게 일독을 권하고 싶다. 영문으로 된 이 책은 우리나라에서도 기후변화 대응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사실을 외국에 알리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목차

Preface ㆍ 5

01 Introduction ㆍ 11

02 The Climate Change Response ㆍ 24
2.1 Greenhouse Gases 24
2.2 The New Climate Regime 32

03 Influence of the New Climate Change Regime ㆍ 37
3.1 Climate Change Center and Climate Change Leadership Academy 38
3.2 Sustainable Campus, AIEES, Green Leadership Program and RICCR 48
3.3 Society for New and Renewable Energy 76
3.4 Renewable Energy 100 (RE100) Initiative 80

04 Industrial Approach to the Climate Change Response ㆍ 83
4.1 Smart Green Cities 85
4.2 Smart Green Transportation 87
4.3 Smart Green Factories and Machines 91
4.4 New and Renewable Energy 93

05 Carbon Finance and Emission Trading System ㆍ 104

06 Various Efforts for the Conservation of Nature ㆍ 110
6.1 Trees and Forests 110
6.2 Human and Wildlife 118
6.3 Water 122
6.4 Resources Circulation 126

07 The Future Direction of Urban Design for Smart Green Cities ㆍ 129
7.1 Climate Change and Urban Design 131
7.2 Vision and Definition of Smart Green Cities 132
7.3 Axiomatic Approach to Design of Smart Green Cities 139
7.4 An Integrative Method for Designing Smart Green Cities 144

08 International Cooperation for Sustainable Society ㆍ 155
8.1 Science Council of Asia 155
8.2 International Science Council 166
8.3 Speeches and Proposals at International Conferences for Climate Change Responses and Sustainable Society 168

References ㆍ 18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