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경제 대개혁 킹핀 솔루션
수출 강국의 피크아웃 경로에서 제조 강국의 신성장 경로로
트럼프 발 세계 관세전쟁 시대, 한중 기술역전 시대, AI 대전환 시대를 맞아 한국의 성장 모델이자, 통상 모델, 산업 모델인 상품 제조·수출형 경제시스템이 송두리째 흔들리고 있다. 이제는 이러한 ‘현실의 문제’를 직시하고 이를 해결하는 ‘진짜 성장’을 만들어야 할 때다.
국가 산업 솔루션에 정통한 저자가 쓴 포스트 수출 강국 시리즈 두 번째 책, 《킹핀 이후 K-산업 2.0》은 한국 경제의 근본적 대개혁을 위한 신경제 시스템을 제시한다. 아웃바운드 대외 전략을 주요 내용으로 한 첫 책 《한국 경제의 킹핀을 찾아서》에 이어, 이 책은 인바운드 대내 전략을 주요 내용으로 소개했다.
이 책은 제조 강국·과학기술 강국·문화 강국 비전을 구현할 K-지식서비스 5대 플랫폼, 고령층의 기술과 경험을 경제적 가치로 전환하는 K-시니어노믹스, 자영업과 소상공인 구조 개편 및 민생 위기 극복을 위한 일자리 창출형 긴급 구제사업까지 포괄하며, 경제·산업·통상·사회 전반을 아우르는 통합적 안목의 해법을 제안한다. 한 사회의 안정성과 지속가능성을 뒷받침하는 중간층과 서민층이 산업 활동에 폭넓게 참여할 수 있도록 이들을 적극적으로 포용하는 성장 비전과 산업정책, 통상 전략을 새롭게 마련해 ‘국가 단위의 기업가 정신’을 바탕으로 비대칭성을 활용한 신성장 전략을 과감히 설계해야 할 시점임을 역설한다. 제조·수출에서 K-지식서비스 경제로 나아가는, 포스트 수출 강국의 길이 궁금하다면 이 책을 읽어보자.
선진형 경제는 후발국과의 경쟁에서 벗어나
축적된 자산을 운용한다
대한민국의 산업정책 전환과 경제성장 모델의 혁신 방안을 제시하는 이 책은 모두 3개의 PART로 구성되어 있다.
PART 1에서는 기존 산업정책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산업정책 2.0’을 제안한다. 포용성장을 위한 투 트랙 성장전략을 통해 국가 단위 비교우위를 재구축하고, 포트폴리오 대체식 신산업 육성에서 포트폴리오 운용 기반 산업 진화로 전환을 설명한다. 재벌그룹의 제2 창업을 국가산업개혁의 핵심 동력으로, 기업 간·세대 간 동반성장 플랫폼을 구축해 양극화 해법과 잠재성장률 제고 방안을 모색한다.
PART 2에서는 관세전쟁 시대에 대응하는 FTA 2.0 통상 모델을 다룬다. 상품 수출 시장에서 국가 아젠다 맞춤형 개발 시장으로 전환해 신남방정책 2.0과 한·아세안 경제협력 뉴 프레임워크를 구축하고, 미국 불법이민 해법과 연계한 경제성장 기회를 모색한다. 경제공동체형 K-경제특구 사업을 통해 내수시장을 확장하고, 팀코리아 투자 조직화를 통한 종합개발 모델을 제시한다.
PART 3에서는 지식서비스 기반 5대 선진형 산업 플랫폼을 구체화한다. 지식산업에서는 산업현장 기술 기반 제조 지식·엔지니어링·위탁경영 서비스와 K-시니어노믹스를 통한 세대 상생형 일자리 사업을 제안한다. 금융산업에서는 국제 개발협력 플랫폼 기반 개발금융 허브를 구축하고, 첨단산업에서는 상용·응용 R&D 기반 글로벌 테스트베드를 조성한다. 문화산업에서는 한류 콘텐츠 기반 엔터테인먼트 산업과 교육 콘텐츠 IP 산업을 육성하고, 관광산업에서는 세계 목적성 관광의 허브로서 테마 관광대국을 지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