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 경제의 킹핀을 찾아서

한국 경제의 킹핀을 찾아서

  • 박광기
  • |
  • 매일경제신문사
  • |
  • 2025-07-21 출간
  • |
  • 344페이지
  • |
  • 152 X 225 X 500mm
  • |
  • ISBN 9791164847914
판매가

21,800원

즉시할인가

19,6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6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포스트 수출 강국 대한민국의 새로운 지향점
현실 경제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한국 경제가 전통적인 ‘수출만이 살길’이라는 패러다임에서 벗어나 새로운 성장 모델로 전환해야 한다는 이 책은 모두 3개의 PART로 구성되어 있다.
PART 1은 현재 한국의 산업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한국은 인구·사회 변화에 뒤처진 산업구조로 인해 사회구조와 산업구조 간 괴리가 역대 최대로 확대되었다. 선진국과 후발국 사이 넛크래커 처지에 놓인 K-제조업은 한계에 직면한 상황에서 트럼프 관세전쟁과 탈세계화 흐름으로 추가적인 도전을 받고 있다.
PART 2는 해결책으로 3대 신성장 비전을 제시한다. 첫째, 국가 포지셔닝 뉴딜로 수출 강국에서 국제 개발협력 플랫폼 국가로 전환해 선진국과 후발국 간 기술 브릿징 역할을 수행하는 글로벌 산업 수도를 구축한다. 둘째, 내수경제 뉴딜로 수출 낙수효과 기반에서 글로벌 집적효과 기반 내수경제로 전환한다. 셋째, 일자리 뉴딜로 고탄소 제조·수출형에서 친환경 지식서비스 기반 일자리로 전환한다.
PART 3은 구체적 실행 수단으로는 아웃바운드 전략(국제 산업단지 사업, 산업도시·신도시 개발, 경제특구 사업)과 인바운드 전략(글로벌 집적효과 기반 내수경제 구조개혁)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국제 사회 30여 개국과 화학적 경제통합으로 편승 성장 체제를 구축하고, 압축성장의 후유증인 과밀·과잉 경쟁 구조를 해결하며, 2030년 새로운 한국 경제 모델을 실현하고자 한다.

목차

프롤로그 · 4

PART 1 | ‘수출만이 살길이다’라는 믿음은 여전히 유효한가?

사회문제의 뿌리, 인구·사회적 시대변화에 뒤처진 산업 구조 · 14
1. 사회 구조와 산업 구조 간 괴리가 역대 최대로 확대 · 14
2. 역대 최고 고용 지표의 이면은 역내 최고 일자리 질 개악 · 16
3. 경제 위기(저성장)의 실체, 생산성 저하 · 18
상품 제조·수출형 산업 모델이 지속 가능한가? · 22
1. 알고 보면 이제 수출 강국이 되어서는 안 되는 나라! · 22
2. 선·후발국 사이 넛크래커 처지에 놓인 K-제조업의 한계 · 30
3. 사회 진보를 막는 역주행 산업개혁 · 36
트럼프 발 관세전쟁과 대내적 환경변화, 위기와 기회 · 42
1. 탈세계화와 신냉전의 이면 · 42
2. 아무도 자국의 상품 시장화를 원하지 않는다 · 48
3. 글로벌 경영의 낙수효과가 사라진 내수경제 해법 · 50

PART 2 | 포스트 수출 강국, 신성장 3대 비전

[국가 포지셔닝 뉴딜] 수출 강국·제조 강국에서 국제 개발협력 플랫폼 국가로 · 54
1. 선진국 함정에 빠진 한국 경제, 초격차는커녕 초저성장이 온다 · 56
국가 전체 기회 총량(기업 일감, 국민 일자리)이 줄고 있다 · 56
선·후발국 사이 경계 국가의 운명, 피크아웃 경로 vs 신성장 경로 · 63
초격차와 축적의 시간에 낀 국가산업 · 69
2. 선·후발국 간 기술 브릿징 역할의 지경학적 국제 허브, 글로벌 산업 수도 · 90
지정학적 리스크의 지경학적 헤징(다자연대 국제 허브, 팍스코리아나) · 91
글로벌 뉴딜, 아웃바운드 ‘개발협력 플랫폼 국가’ ↔ 인바운드 ‘글로벌 산업 수도’ · 93
3. [통상정책 2.0] 상품 제조·수출형 통상에서 산업 파트너십 통상으로 전환 · 98
경제·산업·통상·민생 개혁의 출발점 · 98
국가 단위 비교우위 기반 비대칭적 경쟁전략형·비유기적 편승성장형 신성장 · 104
경쟁 기반 상품 수출 시장에서 국제 사회 ‘개발 아젠다 시장’으로 이동 · 107
상품 제조·수출형, 도급수주형 사업에서 ‘국가 아젠다 맞춤형 개발사업’으로 전환 · 112

[내수경제 뉴딜] 수출낙수효과 기반에서 글로벌 집적효과 기반 내수경제로 · 125
1. 내수침체는 수출주도 경제의 임계점 현상 · 125
한국 내수의 태생적 한계, 총수요보다 총공급 확대로 대응 · 127
2. [내수경제 2.0] 신경제 시스템, 국제 허브형 내수경제 체제로 전환 · 133
3. 국제 사회 자본과 인재가 모여드는 글로벌 집적효과 환경조성 · 137

[일자리 뉴딜] 고탄소 제조·수출형에서 친환경 지식서비스 기반 일자리로 · 142
1. 일자리 대란 시대, 역대급 고용률은 역대급 불완전 고용 · 143
불완전 고용 확대는 곧 고용의 불안정성 확대다 · 143
최고 업스트림 개혁과제, 산업개혁은 곧 국민 일자리 혁신 · 144
산업개혁의 최대 걸림돌, 법안규제보다 사회 통념 · 150
2. 포스트 수출 강국의 미래산업 조건 · 155
반도체, 배터리, 바이오 등 첨단 제조가 우리의 미래인가? · 155
선진형 경제는 축적된 자산운용 · 156
지식사회는 인적자원의 경험 노하우를 활용하는 지식서비스 기반 일자리 · 157
3. 본사 일감 기반 지식서비스 일자리 환경으로 전환 · 159
경쟁우위 혁신에서 운용 혁신으로 전환 · 159
축적된 자본·기술·경험 노하우를 부가가치화시키는 운용 혁신 · 160
지식서비스산업으로의 전환 로드맵 · 165
산업전환을 위한 포용적 구조개혁 · 176

PART 3 | 실효적 정책 수단의 글로벌 뉴딜,
‘신통상 3대 플랫폼 + 내수경제 개혁’

[아웃바운드] 국제 사회 개발 아젠다 맞춤형 ‘산업단지’ 사업 · 187
1. 지역경제 기반에서 밑 빠진 독으로 전락한 국가산단 · 187
국내 과밀구조 해소 및 공급 과잉력 출구 · 187
각자도생 탈한국이 산업공동화 초래 · 189
국민 기피 제조 업종 글로벌 재배치 및 일감 업그레이드 · 191
2. 전통제조산업 경쟁력 재건 전략, K-국제 산단 조성 · 193
취약 경제 주체들이 보유한 중·저위 적정기술 기반 맞춤형 산단 기획 · 193
국제 개발 아젠다와 국내 문제를 매칭시켜 동시에 해결 · 200
대·중소기업 간, 중견·중소기업 간 납품 관계 기반 동반 진출 · 203
3. 국제 산단 기획 예시 · 213
세대 상생형+경험 활용형+부가가치 창출형 일자리 창출 · 213

[아웃바운드] 국제 사회 ‘산업도시·신도시’개발 및 ‘경제특구’ 사업 · 220
1. 한국 경제 피크아웃, 유기적 성장한계 봉착 · 221
인구구조·잠재성장률 추락·주력산업 경쟁력 등 피크 코리아 돌파구 · 221
[FTA 2.0] FTA 국가 수를 늘리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 222
중소기업과 서민층에게 새로운 성장 공간 제공 · 224
제조업 따로 건설업 따로 각자도생식 통상의 비교우위 상실 · 225
2. 국제 사회 30여 개국과 화학적 경제통합으로 편승 성장 체제 구축 · 228
‘한국(K-)을 소비’하려는 글로벌 수요를 플랫폼화 · 229
내수 시장 확장형 K-경제공동체 · 232
한국 내수 시장의 확장으로 개발되는 K-경제특구 · 244
3. [미래 한국] 신성장이 가져올 2030 대한민국은 이미 오고 있다 · 249

[인바운드] 구조적 내수 침체, 글로벌 집적효과 기반 내수경제로 구조개혁 · 253
1. 내수 개혁 최우선 과제, 압축성장 최대 후유증 과밀·과잉 경쟁 구조 · 253
공급력 과잉→과당경쟁 유발→생산성 저하→초저성장 단계 진입 · 254
에너지 과소비 중화학공업 글로벌 재배치 · 262
제조업을 국내에 지키려 하면 제조기업을 잃는다 · 277
2. [민생해법 2.0] 민생위기와 통상연계형 내수정책 · 282
경기적 요인이 아닌 구조적 민생위기 · 284
기존 민생정책의 한계, 돈을 쥐어주는 것만이 능사가 아니다 · 286
[민생정책 2.0] 통상연계형 내수 정책 · 288
3. 국제 허브 국가의 국토환경 재정비 · 293
서울은 진정한 수도도 국제 도시도 아닌 기형적 과밀도시다 · 293
서·경·인 통합 수도 광역화 및 전국 5대 글로벌 메가시티 체제 · 300
[균형발전 2.0] 지역 균형발전 플랫폼으로써 글로벌 산업 수도 · 310

[부록]
민생위기 극복 긴급 구제사업-기업 일감·국민 일자리 창출 국책사업 · 330

도서소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