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자 권윤지는 유신 독재 체제에서 번영한 가족의 후예다. 할아버지는 ‘문세광 사건’의 주심 판사였고, ‘인혁당 사건’과 ‘민청학련 재판’에 관여한 고위 법관이었다. 그런 가문에서 태어나 특권의 테두리 안에서 성장한 어린 시절은 겉보기에 평온했지만, 저자는 그 평온함이 누군가의 고통과 죽음 위에 놓여 있었다는 사실을 자각하며 삶의 방향을 바꾸게 된다. 진보 진영의 안희정 경선 캠프의 사무원으로 근무한 것이 그 시작이었다. 하지만 가문의 몰락 이후 찾아온 가난조차 “그들에게 전하지 못한 사죄가 되기를 바란다”고 고백할 만큼 그 부채의식은 윤리의 감각으로 변해 삶 전반에 영향을 주었다.
그 과정에서 자신이 몸담았던 캠프의 안희정 지사 미투 사건이 터지게 되고, 그 사건의 재판과정을 지켜보면서 “진술만으로도 가해자가 될 수 있다”는 ‘진술의 윤리’를 공개적으로 비판하게 된다. 그 후 1년 뒤, 그녀는 성폭력 피해를 당하는 불운을 겪는다. 그 사실을 알게 된 한 법조인이 그녀의 무료 변론을 맡아 증언을 확보하고 고소를 추진했지만, 결국 그녀는 가해자를 고소하지 않는다. 그녀는 책에서 그 이유를 이렇게 말한다.
“그는 명백한 가해자다. 하지만 나는 내가 세운 원칙과 타협하고 싶지 않았다. … 만약 나의 사례가 하나의 판례가 된다면, 일관된 진술이 아닌 허위 진술조차 성폭력 사례로 인정받는 무고의 문까지 열릴 수 있다. 그렇게 된다면 수사와 처벌의 기준은 더욱 무질서해질 것이고, 되돌릴 수 없는 아노미 상태로 빠질 수도 있다.
나는 안희정 사건에 연루된 사람이다. 동시대 페미니즘의 발현 양상과 정치인의 성비위 고발, 일반인의 성범죄 고소 사건에 대해 여러 언론 등을 통해 비판해왔다. 그런 내가 단지 진술만으로 성범죄가 성립된 사례를 만든다면, 이 땅의 모든 생물학적 여성에게는 실로 ‘전가의 보도’가 주어지는 셈이 된다. 그래서 나는 끝까지 버텼다.”_142p.
페미니즘 그 너머의
인권을 바라보다
이 책은 단지 개인의 고백을 넘어, 한국 사회가 ‘법과 정의’ ‘고통과 증명’ 사이에서 수많은 피해자에게 던져왔던 질문을 스스로에게 되물으며 자신의 신념을 지켜내야 했던 고통의 기록이기도 하다.
저자 권윤지는 꾸준히 개인전을 열어온 화가이자, 칼럼과 방송을 통해 사회적 목소리를 내온 작가다. 이른바 ‘진보 반페미’라는, 진보와 보수 양쪽 모두에게 결코 환영 받을 수 없는 입장임에도 불구하고, 그는 줄곧 자신만의 방식으로 질문을 던져왔다. 이 책에서도 페미니즘을 진보나 보수 어느 진영의 도구로 사용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명확히 이어가고 있다. 《이 모든 것을 사랑이라 부를 수 있다면》은 이념과 해석을 내려놓고 인권을 제대로 바라보기 위해, 자신의 삶의 고통을 담담하게 마주하며 단단한 언어로 써내려간 용기 있는 고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