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실무를 접하기 전까지는 이에 대해 학습할 만한 마땅한 리소스가 부족한 실정입니다. 마치 옆에서 선배 또는 사수가 친절하게 IT 인프라의 근본 요소를 알려 주는 것과 같이 구성된 책이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요. 바로 이 책은 그러한 역할을 온전히 수행하는 도서이며, 초보 인프라 엔지니어가 업계에 발을 들이고 나서 성장하는 과정에 반드시 필요한 도구입니다.〈/p〉〈p style="text-align:right;"〉〈strong〉- 이종원, 시스템 엔지니어〈/strong〉〈/p〉〈p〉 〈/p〉〈p〉이 책은 물리 서버의 기본 구조와 부품 설명부터 클라우드 환경과 데이터 센터의 구성 요소, 그리고 자체 서버룸을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까지 방대한 인프라 지식을 항목별로 일목요연하게 정리해 놓았습니다. 여러 자료를 찾아가며 흩어진 정보를 이어 붙이던 과정을 이 책 한 권으로 차례차례 정리할 수 있어서 무척 유익했습니다. 인프라 및 네트워크 관련 정보를 처음부터 끝까지 읽어가며 자연스럽게 정리하고 싶다면, 꼭 한 번 읽어 보기를 권하고 싶습니다〈/p〉〈p style="text-align:right;"〉〈strong〉- 조재욱, 사랑모아금융서비스 백엔드 개발자〈/strong〉〈/p〉〈p〉 〈/p〉〈p〉요즘에는 클라우드 환경이 주류가 되면서 하드웨어에 대한 내용은 상대적으로 소홀히 다뤄지기 쉬운데 이 책은 하드웨어에 대한 내용도 잘 다루고 있어 더욱 흥미롭게 읽었습니다. 또한 책의 전체 내용을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게 설명하고 있어 부담 없이 읽어 나갈 수 있었습니다. 인프라의 전체적인 그림을 그리고 싶은 초보 개발자나 신입사원에게 좋은 출발점이 되어 줄 이 책을 추천합니다.〈/p〉〈p style="text-align:right;"〉〈strong〉- 장기석, 조선비즈 인프라 엔지니어〈/strong〉〈/p〉〈p〉 〈/p〉〈p〉이 책을 서버와 인프라에 관심이 많은 입문자에게 적극 추천합니다. 이 책 한 권만 읽어도 서버와 인프라 분야의 면접을 볼 때 질문에 답을 하는 데 막힘이 없을 겁니다. 다만, 책을 읽기 전에 네트워크 지식을 요구하니 먼저 숙지하고 읽기를 권장합니다. 대학교 전공 서적으로 선정하기에도 좋다는 생각이 들 만큼 뛰어난 인프라 교과서입니다. 〈/p〉〈p style="text-align:right;"〉〈strong〉- 추상원, 대구대학교 사이버보안전공 대학생〈/strong〉〈/p〉〈p〉 〈/p〉〈p〉이 책은 제목 그대로 인프라 엔지니어를 위한 교과서입니다. 실제 물리 서버, 네트워크 장비, 스토리지 등도 사진과 함께 내용을 소개하고 있어 IDC에 근무하는 사람을 위한 내용도 많다고 생각합니다. 이 책에서 언급하는 모든 내용은 매우 핵심적이고 기본적인 것이기 때문에, 책에 나온 개념은 반드시 알아 둔다는 생각으로 읽는 것을 추천합니다. 그렇다면 업무에 큰 도움이 될 겁니다.〈/p〉〈p style="text-align:right;"〉〈strong〉-이장훈, 데브옵스 엔지니어〈/strong〉〈/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