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NS 시대, 우리는 정말 행복한가?
자기노출·사회적 비교·심리적 피로까지, SNS 이용자의 심리 분석 보고서
스마트폰 보급 이후 SNS는 현대인의 일상에 깊숙이 자리 잡았다. 하루의 시작과 끝을 SNS로 여는 사람이 많고, 타인의 일상, 뉴스, 감정 표현까지 손안의 작은 화면을 통해 접한다. 정보 교환과 소통의 장으로서 SNS는 분명히 삶을 편리하게 만들었다. 그런데 문제는 SNS를 이용하면서 우리는 과연 행복한가다.
저자는 2010년부터 직접 SNS를 사용한 경험과 오랜 연구를 바탕으로, SNS가 긍정적 정서와 만족을 주는 도구인가를 묻고 있다. ‘SNS 피로 증후군’과 같은 부정적 정서를 유발하는 구조적 원인도 적었다. SNS 이용자의 3분의 1이 피로감을 호소하고 있으며, 특히 20~30대 여성에게서 피로감이 높게 나타난다는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SNS가 단지 즐거움을 주는 플랫폼이 아니라 상대적 박탈감과 심리적 부담을 유발하는 공간이 될 수 있다는 점을 경고하기도 한다.
이 책은 SNS를 단순히 기술이나 플랫폼의 관점이 아니라, 사람과 사람 사이의 ‘관계’와 그 안에 작용하는 ‘심리’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디지털 커뮤니케이션이 지닌 양면성을 날카롭게 파헤치며, 그 속에서 사용자가 어떻게 감정적으로 반응하는지를 체계적으로 설명한다. 나아가 단지 SNS 사용자의 상태를 묘사하는 데 그치지 않고, SNS 이용의 긍정적 가능성과 그 한계까지 조망함으로써 독자가 SNS를 더 성찰적이고 건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책은 SNS를 매일 사용하면서도 ‘나는 왜 SNS를 보고 나면 피곤할까?’, ‘왜 남의 일상이 부럽기만 할까?’를 고민하는 독자에게 유용하다. SNS 이용자의 심리적 특성을 이해함으로써, 보다 정교한 콘텐츠 전략과 사용자 접근 방식을 모색하는 마케터에게도 많은 도움을 준다. 교육자와 상담 전문가가 청소년과 청년층의 SNS 사용으로 인한 정서적 문제를 파악하고, 이에 따른 상담과 교육 전략을 마련하는 기초자료로 쓰일 수 있다. SNS 이용에 대한 무비판적인 낙관도, 과도한 비판도 아닌, 실증적 데이터와 균형 잡힌 시각을 통해 제공하는데 SNS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에게 꼭 필요한 질문을 던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