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제국주의의 부상: 기술로 세계를 지배하는 새로운 권력의 탄생과 생존 전략
인류 역사에서 강대국은 항상 힘을 확장하며 제국주의를 추구해왔다. 군사·경제 중심의 전통 제국주의는 종전과 함께 종말을 맞았지만, 1990년대 사이버 공간이라는 신대륙의 출현과 함께 미국 중심의 사이버 제국주의가 부활했고, 알파고와 챗GPT 등 AI 기술의 발전으로 AI 제국주의로 전환되었다. AI는 데이터, 알고리즘, 컴퓨팅 파워라는 세 축을 바탕으로 기술적 우위를 점한 국가가 세계를 지배하는 시대를 만들었다. 미국은 이 3대 요소를 완벽히 갖춘 유일한 국가이며, AI 공룡 기업들을 통해 경제·사회·문화적으로 전 세계를 압도하고 있다.
중국은 방대한 내수와 기술력으로 미국에 도전하고 있으며, 한국, 유럽, 일본 등은 AI 독립국으로 살아남기 위한 고군분투 중이다. 그러나 AI 격차는 국가 간뿐 아니라 계층 간에도 심화되고 있다. 고소득 직군마저 자동화로 대체되며 일자리 멸종, 고용 없는 성장, 양극화라는 문제를 낳고 있다.
이러한 시대에 한국은 정보화 정책의 성공 경험을 살려 선택과 집중의 AI 전략, 규제 완화, 독자적 AI 모델 개발, 글로벌 진출을 통해 중심부 진입을 도모해야 한다. 이 책은 AI 제국주의의 역사, 특징, 세계 질서 재편, 생존 전략까지 총 10장으로 구성되어 AI 시대의 대응 방향을 제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