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가례의절 역주 2

가례의절 역주 2

  • 구준
  • |
  • 세창출판사
  • |
  • 2025-07-15 출간
  • |
  • 396페이지
  • |
  • 152 X 225 X 14mm
  • |
  • ISBN 9791166844119
판매가

32,000원

즉시할인가

31,68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68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가례』는 관례, 혼례, 상례, 제례 등 가내에서 시행하는 예식의 제도와 절차를 간명하게 제시한 저작이다. 여러 종류의 『가례』 관련 저술들이 등장하였는데, 그중 가장 영향력이 큰 저작으로 구준(丘濬)(1420~1495)의 『가례의절(家禮儀節)』(1474)이 꼽힌다.
구준은 1469년 모친이 세상을 떠나자 1473년까지 상을 치르고 이후 1474년 『가례의절』을 완성하여 간행하였다. 『가례의 절』은 『가례』의 예의 규정을 구체적으로 절차화함으로써 『가례』의 시행과 보급에 크게 기여하였으며, 한국과 일본에도 전파되어 『가례』 실천의 중요한 참고자료로 활용되었다.
『가례의절』은 『가례』가 주희의 저작이 아니라는 주장에 대해 반박한 내용으로 잘 알려져 있다. 구준은 『가례』가 미완성작이라거나, 혹은 완성되었으나 주희 생전에 활용되지 못한 저작이라고 할 수는 있을지라도 애초에 그가 저술하지 않은 것이라고 볼 수는 없다고 단정한다. 다만 구준은 당시 통용되던 『가례』 판본에 대해서만은 날카롭게 문제제기 한다. 그는 특히 ‘첫 권에 실려 있는 그림들’ 즉 관혼상제 시행과 관련한 각종 사항을 도상화한 그림들이 『가례』의 본문과 부합하지 않음을 지적하며, 이 그림들은 분명 주희와 무관하다고 말한다.
구준은 「가례의절서」에서 예를 지키고 『가례』를 실천하는 것이 유가의 가르침을 진작시키고 이단을 물리치는 핵심적인 방법이라고 역설한다. 그는 기존의 예서가 이해하고 실천하기에 너무 어렵기 때문에 예가 시행되지 못한다고 파악하고, 『가례의절』에서 『가례』의 본주(本註)를 구체적인 시행 절차, 즉 ‘의절(儀節)’로 만들어 사람들이 쉽게 보고 따를 수 있도록 하였다고 말한다. 『가례』는 기본적으로 예의 절목을 간결한 문장으로 명시한 본문(本文)과 그에 대한 보충설명인 본주로 이루어져 있는데, 『가례의절』은 『가례』의 본문을 그대로 따르면서 본주의 내용을 행례 절차의 형식으로 바꾸어 서술하고 ‘의절’이라고 표기하였다.
‘의절’에는 행례의 절차 및 예 시행에 관련된 제반 사항들이 총괄적으로 갖추어져 있다. 따라서 『가례의절』을 통해 예식을 행할 때 어떠한 동작과 행위를 하고 어떠한 말을 해야 하는지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황에 적합한 문장을 쓰는 방식, 준비해야 하는 기물, 주요 물품의 표준적인 양식 등 실용적 정보를 종합적으로 얻을 수 있다.
한편 『가례의절』에서 일정한 의례 단위 뒤에는 ‘여주(餘註)’라는 항목이 이어진다. ‘여주’는 ‘의절’로 변환되고 남은 『가례』의 본주를 따로 모아 놓은 부분인데, ‘여주’에 속한 것은 대부분 예식 절차와는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내용들로서 주로 관혼상제의 예의와 관련한 일반 원칙, 예속에 대한 기술 혹은 비평이다. 『가례』에서 이러한 내용들은 사마광(司馬光)의 『서의(書儀)』나 정이(程頤)의 견해를 인용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여주’에는 “사마온공왈(司馬溫公曰)”, “정자왈(程子曰)”로 시작하는 문장들이 많다.
또한 ‘여주’의 뒤에는 일반적으로 ‘고증(考證)’의 항목이 뒤따른다. ‘고증’은 『가례』의 내용 혹은 구준 자신의 입장에 대하여 경전을 중심으로 근거를 갖추어 놓은 부분이다. ‘고증’에서는 주로 『의례(儀禮)』, 『예기(禮記)』 등 삼례서(三禮書)를 비롯한 경전의 내용과 사마광, 정이, 주희 등의 예설을 나열하고, 이에 대해 정현(鄭玄), 공영달(孔穎達), 가공언(賈公彦) 등의 고례 주석, 후대 학자들의 예설, 명대 당시의 예제와 습속 등을 인용하여 비교하고 있다. 또한 구준은 경전의 내용 및 여러 예설들에 대한 자신의 해석과 의견을 제시하며 기존의 논의에 비판적으로 참여한다. 권두에 열거된 40여 종의 인용 문헌들은 대부분 ‘고증’ 부분에서 다루어지고 있어서, 구준이 문헌을 폭넓게 고찰하였음을 알 수 있다. ‘고증’은 『가례의절』의 예의 규정과 구준의 입장을 이론적으로 뒷받침할 뿐만 아니라, 『가례』와 관련된 다양한 쟁점들을 소개한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구준은 『가례의절』에서 『가례』를 상세하게 구체화하고 관혼상제에 관한 실용적, 이론적 정보를 풍부하게 제공하였다. 이처럼 많은 내용을 다루고 있는 만큼 『가례의절』은 분량이 많고 체제가 복잡하다. 따라서 『가례의절』은 『가례』 실천을 위한 편리한 저술일 뿐만 아니라 가정의례 전반에 관한 포괄적 자료를 담은 참고서라고 할 수 있다. _해제 中

목차

차례_

■2권 차례


◎ 일러두기_9


가례의절 권4文公家禮儀節卷之四_상례喪禮[1]

초종初終 13
목욕沐浴, 습襲, 전奠, 위위爲位, 반함飯含 33
영좌靈座, 혼백魂帛, 명정銘旌 40
소렴小斂 46
대렴大歛 55
상례여주喪禮餘註[1] 64
상례고증喪禮考證[1] 71
성복成服 99
상복제도喪服制度 123
상복고증喪服考證 154
상례도喪禮圖[1] 175
상례도喪禮圖[2] 182


가례의절 권5文公家禮儀節卷之五_상례喪禮[2]

조석곡전朝夕哭奠, 상식上食 189
조弔, 전奠, 부賻 196
문상聞喪, 분상奔喪 204
상례고증喪禮考證[2] 219
치장治葬 232
천구遷柩, 조조朝祖, 전奠, 부賻, 진기陳器, 조전祖奠 244
견전遣奠 251
발인發引 254
반곡反哭 266
상례여주喪禮餘註[2] 269
상례고증喪禮考證[3] 279
상례도喪禮圖 [3] 304


가례의절 권6文公家禮儀節卷之六_상례喪禮[3]

우제虞祭 319
졸곡卒哭 331
부제祔祭 337
소상小祥 347
대상大祥 354
담제(禫) 365
가례여주家禮餘註 370
상례고증喪禮考證[4] 373
【보충】개장【補】改葬 379
개장고증改葬考證 399
【보충】반장返葬 의절【補】返葬儀 39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