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 소설, 과학기술 시대의 상상력과 윤리를 잇는 교육 콘텐츠
SF 소설은 과학적 상상력을 바탕으로 한 허구로, 자연과학뿐 아니라 사회·인문과학 전반에 걸쳐 과학적 개연성을 갖춘 이야기다. 라투르는 현대 사회의 전략적 장소가 실험실이라 보며, 우리는 과학기술 산물 속에서 ‘변화 중인 삶’을 살고 있다고 본다. SF는 이 실험실의 산물들과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으며, 우회적으로 기술사회의 논쟁과 사회적 약자 문제를 드러낸다. 윤리적 논쟁과 삶의 가치에 대한 물음은 SF의 핵심이다. 좋은 SF는 과학적 상상과 문예적 상상을 결합해 윤리적 질문을 던진다. 기술은 인간을 구원하기도 하지만 억압하기도 하며, 독자는 SF를 통해 ‘좋은 삶’에 대한 담론을 비판적으로 탐색할 수 있다.
또 SF는 과학기술 문해력을 기를 수 있는 교육 콘텐츠로 기능한다. 과학기술이 주는 편리함과 함께 발생하는 사회·윤리적 문제를 SF는 비판적으로 조명한다. SF는 미래를 단순히 희망적으로 그리지 않고, 예언처럼 상상하며 성찰을 유도하는 텍스트다. 기술 낙관론과 비관론 사이에서 균형 잡힌 시각을 제공하며, 미래에 대한 무비판적 수용을 경계하게 한다. SF의 낯설게 하기 기법은 독자에게 익숙한 세계를 새롭게 바라보게 하고, 이는 비판적 이해와 좋은 삶에 대한 질문으로 이어진다. SF는 융합 교육의 도구로서, 문학·과학·사회·윤리적 관점의 통합적 사고를 가능하게 하며, 질문과 해석, 토론을 통해 독자의 창조적 사고와 윤리적 실천을 돕는다.
책의 구성과 실천적 활용
SF 소설은 융합적 사고를 훈련시키고, 과학기술 시대의 인간적 가치와 윤리적 실천을 교육 목표로 삼는다. 그리고 일반 문학과 다른 독법으로 읽어야 장르의 본질이 이해된다. 이 책에서는 SF 소설 읽기에서 비판적 질문과 다관점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리터러시 역량을 키우는 법을 살핀다. SF 소설의 개념과 역사, SF 소설을 읽어야 할 이유, SF 소설 읽기 방법, 지도 실천까지 폭넓게 다루어 청소년을 지도하는 교사들에게는 학생들의 동아리 활동 지도 또는 융합 교과 지도를 하는 데에 도움이 될 수 있고 학생들에게는 텍스트를 비판적으로 이해할 힘을 길러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