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층적 읽기와 쓰기의 시대
현대인은 하루 대부분을 읽고 쓰며 살아간다. 문자, 숫자, 이미지, 영상, 소리 등 다양한 기호를 통해 의미를 구성하고 이를 실천하는 과정은 일상적이며 사회적 활동이다. 읽기는 더 이상 단순한 문자 해독을 넘어, 상황과 맥락에 따라 다양한 기호를 이해하고 적용하는 역량이다. 하지만 독서율 저하와 문해력 격차는 ‘읽지 않는 시대’라는 우려를 낳고 있다. 기술의 발달로 다양한 리터러시가 등장하며, 현대사회는 텍스트를 해석하고 소통하며 문제를 해결하는 실천적 능력을 요구한다. ‘읽고 쓸 줄 아는 것’은 지식을 넘어서 삶을 이해하고 성장해 나가는 기반이 된다.
다중 리터러시의 필요성
이 책은 리터러시 학습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지식, 기능, 사고, 문제 해결 차원에서 끊임없이 변화하고 성장하는 기반이 될 수 있음을 주지하고 실제 삶에서 여러 리터러시 역량이 유기적으로 융합되어 적용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에 주목했다. 이에 따라 이 책에서 제시하는 다중 리터러시(multiple literacies)는 학습자의 성장과 발전을 도모하는 학습의 방법론적 논의다. 리터러시의 사회문화적 관점과 새로운 재개념화에 기반하여 급변하는 환경 속에서 리터러시에 관심 있는 학생, 교사, 그리고 사회 구성원으로 잘살고자 하는 이들에게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성을 제시한다. 서로 다른 다양한, 각각의 리터러시 교육을 넘어 다중 리터러시 관점에서 사고하고 학습하는 능력을 키우는 방법을 제안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