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천주교 서적과 독서의 저항
오늘날 책은 넘쳐나지만, 우리가 읽는 책들이 진정으로 자유로운지는 의문이다. 권력은 항상 출판과 독서를 통제해 왔으며, 이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이어지는 서적 검열의 역사로 드러난다. 검열은 단순한 금지 행위를 넘어서, 정전 형성과 담론 통제, 나아가 자기 검열까지 낳는다. 조선 시대는 특히 성리학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독서를 유학 중심으로 제한했고, 서점조차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억압적 환경 속에서 등장한 천주교 서적은 조선을 뒤흔든 서학의 물결이자 새로운 지식과 사상의 창이 되었다. 하지만 이들은 유교적 질서에 반한다는 이유로 100여 년간 지속적인 검열과 박해를 받았다. 검열에도 불구하고 천주교 서적은 수많은 독자들에게 읽혔고, 이는 조선 후기 독서 문화의 변화를 이끈 주요 요인이었다. 권력자들은 책을 도끼로 보았고, 이는 곧 사유의 자유를 위협하는 검열로 이어졌다. 그러나 독자들은 이를 넘어서며 검열 속에서도 저항의 독서를 실천했다.
금지된 책, 꺼지지 않는 사유
책은 그 시대에 살고 있는 사람들의 생각이 담긴 것이고, 그 생각들은 그들이 살고 있는 사회 속에서 형성된 것이다. 다시 말해 독서는 그 시대의 사회문화적인 산물이다. 그래서 서적 검열에 대한 연구는 독서의 역사이면서 인간 역사 연구라고도 볼 수 있다. 이 책에서는 서적 검열에 주목하여 조선 후기 천주교 서적 검열과 천주교 서적을 읽던 독자를 탐색한다. 천주교 서적은 100여 년 동안 지속된 검열로 독서 문화사에 영향을 미친 대표적인 사례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서적 검열로 인해 금서가 된 책들은 권력자들이 외면하고 싶은 내용, 외면해야 할 사람들의 삶을 알려 주는 내용들일 것이다. 권력자들이 만든 삶의 패러다임에서 벗어난 내용은 무엇이었으며, 독자들이 추구했던 삶은 무엇이었는지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라는 우물을 벗어나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또 우리는 금지된 책 읽기에 도전했던 사람들의 삶을 통해 독서의 본질적 의미를 성찰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