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수익과 환경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기획 상품
날씨가 좋은 봄과 가을엔 전국에서 다양한 행사가 열린다. 여기에 빠지지 않는 것 중 하나가 바로 플리마켓. 그러나 부스마다 붙어 있는 현수막은 한 번의 행사를 위해 생산되고 금세 버려져 심각한 환경 문제를 일으킨다. 저자는 현수막이 일으키는 환경 문제를 고민하다 헌 옷을 활용한 친환경 현수막을 만들었다. 이 업사이클링 현수막은 불필요한 쓰레기도 발생시키지 않을뿐더러 상점을 알리는 계기가 되어 대표 상품으로 자리 잡았다.
겨울은 여느 업종과 마찬가지로 제로웨이스트샵 또한 비수기를 맞는다. 저자는 비수기를 버티기 위한 상점만의 제작 상품을 고민하다 플라스틱 병뚜껑을 재활용한 키링을 만들기 시작했다. 기계를 다루는 것이 힘들고 모두가 말렸지만 꾸준히 홍보하고 판매한 결과, 단체 주문과 인터넷 주문이 늘어났고, 지금은 상점의 효자 상품이 되었다. 빠르게 변해가는 산업과 소비의 흐름, 저자는 남들이 시도하지 않는 것에 과감히 도전하면서 경제적 수익과 지속 가능한 가치를 동시에 이룬다는 목표에 한 발짝 가까워지고 있다.
▶ 새로운 분야에 도전하며 만들어가는 나만의 영역
제로웨이스트샵을 운영하며 친환경 시장의 흐름을 알게 되고 새로운 네트워크를 쌓았지만 저자는 더 나아가 환경 전문가가 되고 싶다는 갈증을 느꼈다. 환경에 대한 지식을 쌓고, 깊이 탐구해 자신만의 시각을 갖고 싶었다. 그래서 기업과 정부의 ESG 활동 가치를 찾아내 사람들에게 알리고 기업의 ESG 활동을 모니터링, 컨설팅하는 ESG 인플루언서에 도전했다. 그렇게 취득한 자격증은 인생을 바꾸거나 커리어에 대단한 효과를 남기지는 않을지 몰라도 커리어의 장기적인 여정 중 하나의 전환점이 되었다.
자격증 덕분에 저자는 동네의 한 기관에서 제로웨이스트 환경 강의를 제안받았다. 아직은 소수의 사람만이 실천하고 있는 제로웨이스트 생활 방식을 지속 가능한 것으로, 즐거운 것으로 전달하기 위하여 열심히 준비한 강의는 좋은 반응을 불러왔다. 무엇보다 앞으로 저자가 어떤 일을 해나가야 할지 확신하게 됐다. 주어지는 모든 기회에 하고자 하는 색과 방향을 잘 담아내 나만의 영역을 만들어내면 된다는 것을 배웠다.
▶ 많은 이들이 즐기고 공감하는 제로웨이스트 문화를 만들기 위하여
어떤 일을 하든 그 중심에는 문화가 있어야 한다. 문화를 만들어야 사람들이 즐기고 공감하며 일이 대중적으로 확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문화를 만들어내는 건 결코 쉬운 일이 아니다. 문화는 혼자서 만들 수 없으며, 복합적인 요소로 완성되는 것이다. 그렇기에 작은 상점에서 문화를 만드는 일은 어려운 도전이다. 특히 친환경 분야는 아직 제대로 자리 잡지 못했다. 환경 문제는 모두가 공감해야 할 전 지구적 과제이지만, 친환경 문화는 아직 주류가 아니다. 저자는 어떻게 하면 작은 상점에서 이 벽을 넘어 제로웨이스트 문화를 정착시킬 수 있을지 고민을 지속하고 있다. 상점을 방문하는 사람들과 대화하고 온라인에서 꾸준히 친환경 메시지를 전하고 그렇게 사람들과 연결되는 것. 그렇게 만들어진 이야기가 사람들의 마음에 작은 울림을 주고 공감을 얻게 된다면, 각각의 제로웨이스트샵이 하나의 거점이 되어 친환경 문화가 확산될 수 있으리라고 믿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