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지표를 볼 수 없다면 절대로 투자하지 마라!
당신의 기술적 분석과 실전 트레이딩을
한층 단단하게 만드는 7가지 경제지표 이야기
시각화된 모식도를 통해 직관적으로 이해하는 경제지표
투자자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거시경제의 흐름을 파악하는 법
이 책은 금리, 물가, 환율, 경기, 고용, 안전자산과 위험자산, 원자재의 7가지 거시경제지표를 다룬다. 이와 같은 거시경제지표들은 자산시장에 유입되거나 이탈하는 ‘돈의 흐름’을 결정짓는 중요하고도 급격한 변수다. 어떤 트레이더들은 거시경제지표의 흐름을 강의 본류에, 차트와 데이터를 지류에 비유하기도 한다. 거시경제의 흐름을 이해하고 트레이딩하면 적어도 물줄기를 역행하는 어려운 행위를 하지 않아도 된다는 것이다. 그 때문에 자신의 트레이딩 간격이 짧은 스캘퍼이든 장기 투자를 주로 하는 가치투자자이든 리스크 관리를 위해 최소한의 거시경제 흐름을 이해하고 예측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이 책은 ‘안정적인 수익을 창출하는 실전 트레이더’가 되기 위해 반드시 알아야 할 최소한의 거시경제 지식과 주요 지표들을 실전 투자자의 시각에서 현실적으로 접근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치과 치료를 앞두고 겁먹은 환자에게 어렵고 낯선 의학 지식을 친절히 풀어 설명하며 안심시키듯, 이 책도 투자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을 덜어주고, 독자 여러분이 보다 자신감을 갖고 투자 여정을 시작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실전 투자에 바로 써먹을 수 있는 경제지표 해설서를 찾고 있는 투자자라면 이 책은 ‘최소한’이자 ‘최고의’ 선택이 될 것이다.
이 책을 가장 효과적으로 활용하는 법
《최소한의 경제지표》는 먼저 투자와 관련된 거시경제(Macro)를 구성하는 가장 기본적인 개념들인 금리, 물가, 환율, 경기, 고용, 그리고 안전자산과 위험자산에 대한 내용을 다룬다. 이 개념들에 대해 먼저 1장에서는 크고 가독성이 좋은 한 페이지 정도의 모식도와 함께 기본적인 정의를 소개했다. 하지만 모식도와 그에 따른 세부적인 정의를 보았을 때 이해가 가지 않거나 모르는 개념이 있다고 해도 걱정할 필요는 없다. 이후의 내용을 거치며 자연스럽게 이해하고 자신의 것으로 체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2장에서는 이 모식도와 정의를 바탕으로 상세하게 투자자들이 알아야 할 기초적인 거시경제 개념에 대해 짚어낸다. 대부분의 내용은 시간이 지나더라도 거의 변하지 않는 개념에 해당하는 내용이다. 2장을 통해 기초적인 거시경제 개념을 모두 익혔다면 모든 거시경제 개념들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알게 될 것이다. 3장에서는 이러한 기초 개념들을 실제로 어떻게 적용할 수 있는지에 대해 다룬다. 실전 투자자들이 꼭 참고해야 하는 주요 경제지표들에 대해 설명했으며, 이 지표들이 어떤 순서로 발표되는지, 그리고 경제지표들을 해석함에 있어 꼭 알아두어야 하는 경제지표들의 특징에 대해 소개했다. 4장에서는 치과아저씨 팀에서 심혈을 기울여 제작한 모식도를 통해 앞에서 다루었던 이 모든 거시경제 개념이 어떤 흐름을 가지고 연결되는지 한눈에 알아볼 수 있다. 4장의 모식도는 실제 투자에 있어서도 각종 지표의 발표 시마다 펼쳐놓고 볼 수 있는 나침반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도록 제작했다.
《최소한의 경제지표》는 구성의 특성상 앞에서부터 흐름대로 이해가 될 때까지 충분히 정독하는 것이 좋다. 이 책을 가까이 두고 실제 거시경제 이슈가 발표될 때 발췌독하여 필요한 부분을 찾아 읽는다면 실전 투자에 더 없이 유용할 것이다.
★★★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상위 1% 최우수 채널
★★★ 네이버 프리미엄 콘텐츠 유료 구독자수 [1K+] , 재구독율 90% 달성
★★★ 투자 플랫폼 트레이딩뷰(TradingView) 최다 에디터즈픽 저자상 수상(2022)
★★★ 크립토퀀트 공식인증 온체인 분석 작가(Verified author)
이 책의 핵심 포인트!
1 "경제지표"를 처음 공부하는 투자자에게 꼭 필요한 입문서
- "금리가 오르면 자산 가격이 왜 떨어질까?", "물가가 오르면 어떤 자산을 사야 할까?" 등을 알기 쉬운 사례 중심으로 해설
2 어려울 수 있는 개념은 가독성 높은 ‘모식도’로 한층 알기 쉽게
- 금리, 물가, 경기 흐름 등을 한눈에 보여주는 알기 쉬운 모식도로 머릿속 정리 완성!
3 ‘경제지표=뉴스 스크랩’이 아닌 진짜 투자 전략으로 전환
- 단순한 교과서적 정의가 아니라 ‘언제, 어떤 지표가, 어떤 자산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설명
4 역사 속에서 찾아낸 투자의 인사이트
- ‘치과아저씨의 경제지표 특강’을 통해 역사적 변곡점을 만들어낸 흥미로운 거시경제 이야기까지 습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