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민석, 대한민국 헌정회복 여정을 생생하게 기록하다!
“시민이 독재를 제도 안에서 무너뜨린 역사적 사례”_유엔인권위원회
“모든 권력은 국민으로부터 나온다.” 헌법 제1조 2항이 다시 현실이 된 순간이었다.
2024년 겨울, 윤석열 대통령은 전격적인 계엄령을 발동했다. 정권 핵심의 부패 수사와 김건희 씨 관련 비리, 대선 자금 추적 보도가 이어지자 정권은 최악의 방식으로 반응했다. 내란이자 친위 구테타였다. 국회를 막아선 군과 경찰을 뚫고 국회의원들이 담을 넘어 계엄을 해지했다. 하지만 그보다 먼저 계엄군의 장갑차를 막아선 사람은 시민이었다.
『다시, 민주주의』는 이 비극적 사건을 기록한 생생한 증언이다. 김민석은 계엄 가능성을 최초로 감지하고 국회와 군, 시민사회가 연합해 국정 위기 극복에 앞장섰고, 군 내부 문건을 입수해 국방부 장관 청문회와 언론을 통해 공개하며 계엄의 위험을 경고했으며, 12·3 계엄으로 발생한 내란사태 수습과 대통령 탄핵에 이르기까지 치열한 현장을 지켜냈다.
1부 ‘계엄 예고에서 내란 종식까지’는 이 사태 시작과 전말을 파헤친다. 김 의원은 국방부 장관 내정자에 대한 청문회를 직접 주도하며, 계엄이 사전 조율된 불법내란 시도임을 파헤친다. 또한, 계엄사령부 편성, 707특임단 배치 등 군사작전 수준의 움직임이 있었다는 사실도 증언과 문건을 통해 고발하고 경고한다. 이어 실제로 발생한 내란 사태 이후 숨가쁜 기록들이 이어진다. 일부 보수 야당은 계엄을 ‘불가피한 통치 행위’로 치환하려 했고, 친정부 유튜브 채널들은 “계엄이 곧 안보다”라고 주장하며 여론을 왜곡했다. 하지만 청년들이 광장에 나섰고, 시민들은 여당 당사를 직접 찾아가 “탄핵에 동참하라”고 외쳤다. 전국 62개 시민단체의 공동 성명과 전국 단위 온라인 행동은 내란의 명분을 무너뜨렸다.
2부에서는 윤석열 정권의 몰락과 정권 교체의 길을 구체적으로 조명한다. 탄핵 심판은 헌법재판소가 사상 유례없이 속전속결로 진행했으며, 정치권은 특검을 수용하고 공수처를 통한 철저한 수사를 요구했다. 계엄령이 실질적 ‘쿠데타 시도’였다는 정황은 군 관계자, 장성, 국정원 출신 실무자의 증언으로 확인된다. 김건희의 비리 의혹은 윤 대통령의 권력유지 목적과 밀접히 얽혀 있으며, 검찰총장 시절부터 이어진 ‘사적 권력화’의 정점이었다는 지적이 책 전반에 걸쳐 제시된다.
책의 마지막은 희망으로 끝맺는다. 절차에 따른 탄핵, 선거에 의한 정권교체, 그리고 시민의 각성은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위대한 복원력”이라는 평가를 받았다. ‘국민주권정부’를 탄생시킨 대한민국을 향해 〈뉴욕타임스〉는 “계엄을 이겨낸 유일한 아시아 국가”라며 한국을 조명했고, 유엔 인권이사회는 “시민이 독재를 제도 안에서 무너뜨린 역사적 사례”로 인용했다.
김 의원은 말한다. “국민이 아니었다면, 이 나라는 민주주의를 잃었을지도 모른다. 나는 단지, 국민이 시킨 일을 했을 뿐이다.”
이 책은 단지 정치인의 회고록이 아니다. 헌법이 무기였고, 국민이 방패였던 싸움의 기록으로 민주주의가 위협받을 때, 헌정의 시스템을 되살린 대한민국의 힘, 그 치열한 기록이자 살아있는 증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