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철학은 반란이다

철학은 반란이다

  • 이종철
  • |
  • 디프넷
  • |
  • 2025-06-23 출간
  • |
  • 216페이지
  • |
  • 150 X 220mm
  • |
  • ISBN 9788994574677
판매가

17,000원

즉시할인가

15,3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5,3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에세이 철학’이 무엇인가 라는 질문에 대해 필자는 여러 곳에서 답변을 한 적이 있다. 이에 따르면 ‘에세이 철학’은 자신의 삶과 시대 그리고 사회를 반성한 자신의 생각을 자신의 일상언어로 표현한 철학이다. 어찌 보면 너무나 상식적인 이야기지만 실상을 돌아보면 그리 간단한 문제가 아니다. 현대는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서 학문성과 과학성이라는 미명하에 각주와 레퍼런스에 묻혀서 자기 생각을 표현하기가 힘들다. 자기 생각이 없다 보니 자기 언어를 갖기도 힘들어서 철학은 추상 개념을 남발하게 되고, 대중들의 철학적 관심으로부터 완전히 소외되어 소수 전문가들의 비밀스런 코드로 전락하는 경우들이 많다. 남의 사상에 올라탈 수 밖에 없는 형국이다 보니 자신들의 삶이나 사회 그리고 시대와 전혀 동떨어진 이야기, 말하자면 자다가 봉창 두들기는 이야기들이 태반인 경우가 많다. 오늘 날 점점 인문학의 위기 담론이 넘치는 현상은 전문 철학자들과 철학들이 이처럼 대중으로부터 소외된 데 기인한 바 크다.


그런 의미에서 자기 생각과 자기 언어, 자신들의 삶과 시대 등을 강조하는 에세이 철학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하지만 에세이 철학이 생각처럼 만만한 것은 아니다. 여기서 말하는 일상적 삶과 일상 언어, 후썰 식으로 말하면 생활세계(Lebenswelt)나 분석철학에서 말하는 일상언어(ordinary language)의 본질과 맥락, 전체성과 깊이 등을 통찰하고 기술하는 일이 쉽지 않은 것이다. “밥짓고 물긷는 데 도(道)가 있다.”고 임제 선사가 말씀하셨지만, 이 ‘일상’을 제대로 이해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렵다. 왜냐하면 일상은 그야말로 온갖 이데올로기들의 전쟁터이고, 이념의 장막 속에서 은폐되고 곡해되어 있는 경우가 많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 맥락에서 일상을 드러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비판의 정신’이 필요하다고 본다. 필자는 이런 비판의 정신을 독일 관념론의 비판 철학 이상으로 당나라 선사들의 사무라이같은 언사들에서 찾고 있다. 임제(臨濟) 의현(義玄) 선사는 깨달음을 구하는 과정에서 란 ‘부처를 만나면 부처를 죽이고, 조사를 만나면 조사를 죽이라’(殺佛殺祖)고 일갈 했다. 말하자면 어떤 권위도 인정하지 말고 스스로 깨달아야 한다는 것이다. 일반 대중이 이 말을 지키기란 쉽지 않겠지만, 그런 정신을 결코 잊지 말하야 할 것이다. 에세이 철학은 다른 어떤 철학보다 이 살불살조의 정신에 충실하고자 하는 철학이다. 필자는 이런 문제의식을 배경으로 에세이 철학 관련 글을 지속적으로 발표를 해왔다. 덕분에 지난 몇 년 동안에 〈철학과 비판〉(수류화개, 2021)와 〈일상이 철학이다〉(모시는 사람들, 2023)을 출판했고, 2025년에는 에세이 철학으로 단련된 문체를 가지고 〈그대에게 가는 먼 길〉(중앙미디어, 2025)도 썼다. 〈철학은 반란이다〉도 기존에 출간한 책들의 연장 선상에 있지만, 특별히 여기서는 논쟁과 비판, 반란과 전복의 문제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할 것이다.

이 책은 총 3부로 구성되어 있다. 1부는 〈한국인들의 자화상〉이란 제목하에 한국인들의 특성과 개성, 그리고 문제점 등을 비판적으로 기술했다. 2022년 대선 때 썼던 정치 담론 2편도 파탄과 탄핵으로 얼룩진 윤석열 정부의 실상을 정확히 예측해 놓았기 때문에 이 책에 끼어 놓았다. 2편은 〈해석과 비판〉이란 제목으로 최근의 한류 현상, 이른바 K-Philosophy과 인문학의 위기 등을 기술했다. 아울러 여기에는 인문학과 철학 분야에서 많이 알려진 이어령, 송재윤, 신윤복, 이한우, 김상봉, 김훈, 김민웅, 이승만, 박정희 등에 대해 실명으로 비판하고 기술했다. 실명 비판은 한국 사회에서 금기와 같지만, 필자는 이들에 대해 인식 공격 보다는 인문학과 철학에서의 논쟁을 진작하기 위해 썼다. 오늘 날 인문학과 철학이 점점 위기담론 뒤로 몸을 가리면서 축소되는 현상은 허구헌 날 외국의 사상과 철학을 수입하느라 정작 우리 시대, 우리 사회, 우리 사상의 문제는 완전히 뒷전으로 물러난 데도 큰 원인이 있다. 마지막으로 제 3부는 〈철학과 사상 비판〉이라는 제목으로 사상과 철학의 문제를 좀 더 깊이 있게 논의하고 비판해보고자 했다. 여기에는 포이어바흐의 종교 비판에 대한 마르크스의 재비판, 한국인의 사유와 일본인의 사유의 차이와 비판, 한나 아렌트의 유명한 ‘악의 평범성’ 비판, 서구의 개인주의 비판을 다뤘다. 또 공자를 통해 한국사회에서의 세대 변화도 비판해보았다. 마지막으로 흔히 생각하는 불립’문자와 말할 수 없는 세계로 통칭되는 깨달음’의 문제를 언어의 차원에서 냉정하게 비판해 보았고, 성철 선사의 지눌 선사에 대한 비판에서 제기된 ‘돈오돈수(頓悟頓修)와 돈오점수(頓悟漸修)’ 문제를 비판적으로 검토해보았다.

이처럼 목차에서 드러난 이 글의 내용은 한결같이 논쟁과 비판으로 일관되고 있다. 철학자들은 ‘언어’라는 도구를 매개로 사무라이 이상으로 싸움을 좋아하는 존재라고 생각하는데, 끊임없는 비판을 통해 반란과 전복으로 점철된 철학사만 보아도 그것을 금방 알 수가 있다. 필자는 이런 비판의 정신이 한국 철학계에서 실종된 현상에 대해 아쉬움을 느끼는 한편 그런 정신을 다시 부활시키기 위해 〈철학은 반란이다〉는 제목을 달아본 것이다.

목차

서문을 대신하여 ; 왜 철학은 반란인가? 5

Ⅰ. 한국과 한국인 비판 10
1. 한국인들의 무례 12
2. 한국인들의 불행 16
3. 한국인들의 거짓말 22
4. 한국인들과 칭찬 26
5. 한국인들의 극단적 사고 30
6. 한국인들과 종교 34
7. 한국인들의 자기감정 41
8. 한국인들과 공부 46
9. 한국인들의 서구 콤플렉스 51
10. 조선과 북한의 ‘초록이 동색’ 62
11. 획득형질이 유전되는 괴이한 사회 67
12. 어떻게 일으켜 세운 나라인데 75
13. 사랑은 아무나 하나? 80

Ⅱ, 해석과 비판 86
1. 언필칭 K-Philosophy가 존재하는가? 88
2. 최근의 한류 현상을 둘러싼 논쟁 비판 93
3. 한류 현상과 인문학 97
4. 인문학의 위기 담론 비판 100
5. 주입식 암송교육과 사대주의 106
6. 이어령 교수의 〈제망매가〉 해석에 대한 비판 110
7. 송재윤 교수의 주자학적 관념성 비판 116
8. 이 한우의 논어 강의 비판 119
9. 신영복 선생의 “學而不思則罔 思而不學則殆”의 해석에 대한 비판 124
10. 우물안 개구리와 조선의 선비들 133
11. 뉴라이트의 열등 심리학과 컴플렉스 137
12.김상봉 선생의 『아리스토텔레스의 신학』 출간과 〈한겨레〉 인터뷰 139
13. 칸트와 이승만 145
14. 박정희의 5.16, 혁명인가 쿠데타인가? 152
15. 김훈과 김민웅 둘 다 틀렸다. 156

Ⅲ, 철학과 사상 비판 162
1. 포이어바흐의 기독교 비판에 대한 재비판 164
2. 헤겔과 청년 마르크스의 철학관 169
3. 한글 유감 173
4. 한국인의 사유와 일본인의 사유의 차이와 비판 177
5. 문제는 악의 평범성이 아니다. 182
6. 개인의 자유와 서구의 몰락 187
7. 공자와 나이 191
8. 향원은 덕의 적이다(鄕愿,德之賊也) 198
9. 깨달음이란 무엇인가? 202
10. 돈오돈수(頓悟頓修) 인가 돈오점수(頓悟漸修) 인가? 206

저자 프로필 21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