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도적의 사회사

도적의 사회사

  • 한희숙
  • |
  • 솔과학
  • |
  • 2025-06-27 출간
  • |
  • 418페이지
  • |
  • 150 X 225mm
  • |
  • ISBN 9791173790164
판매가

27,000원

즉시할인가

26,73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73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도적은 사유재산이 생겨난 이래로 존재해 온 범죄자 중의 하나이자 오랜 역사적인 산물이다. 굳이 고조선의 8조 금법까지 들지 않더라도 절도와 강도질을 기반으로 하는 도적질은 가장 오래된 범죄이다. 남의 물건을 훔치거나 빼앗는 도적질은 어느 시대든지 반사회적인 행위라는 점에서는 별 차이가 없다. 그렇지만 발생의 사회적 원인이나 활동 목적, 활동 양상, 사회와의 관계 등에서는 각 시대의 역사성을 반영한다.
새로이 조선시대 도적의 유형과 국가의 치도책(治盜策), 그리고 당시 크게 주목받은 이름난 군도들에 대해 글을 보태었다. 새로 정리한 이 책은 지금까지 조선시대 사회사 연구자들이 축적한 연구 성과에 힘입은 바가 크다.
본 책의 구성과 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다. 먼저 서장에서는 조선시대 도적에 대한 국가의 처벌을 이해하기 위해 기존의 연구 성과들을 중심으로 간략하게 조선시대 도적의 유형과 치도책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누가 도적이 되는지, 도적이 되는 원인은 무엇인지, 민과 도적과의 관계는 어떠했는지, 도적의 다양한 활동 형태와 다양한 칭호, 국가의 도적에 대한 처벌과 치도형, 도적을 잡기 위한 포도책과 포도청 설치 등에 대해 정리해 보았다.
1장에서는 우리에게 실체보다는 소설 때문에 훨씬 더 유명해진 연산군대 홍길동에 대해 소설 속 주인공이 아닌 실존 인물로서의 그의 실체를 살펴보았다. 그가 활동했던 연산군 시절은 어떠했는지? 그는 언제, 어디서 활동했는지? 그는 진짜 양반의 서자였는지? 그를 보호해 준 뒷배, 당상관 엄귀손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홍길동이 끼친 영향과 후대인의 평가에 대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명종대 조선을 공포로 몰아넣은 군도의 우두머리 임꺽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임꺽정은 단순한 도적이 아니라 민란의 우두머리였다. 먼저 그가 활동하던 명종대의 정치·사회상을 살펴보고, 이어 임꺽정의 신분과 출생지, 주요 활동지, 그리고 그가 황해도로 옮겨간 뒤 군도의 우두머리가 되어 자행한 다양한 활동, 그와 그 무리들을 소탕하기 위해 노력했던 국가의 토벌 작전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숙종대 역모 세력의 입에 오르내린 사나운 명화적, 장길산에 대해 살펴보았다. 지금까지의 선행 연구에서 장길산은 누구보다도 그 실체와 전설적 간극이 큰 군도의 우두머리였다. 따라서 그의 실체에 대해 다시 살펴보고자 했다. 먼저 그가 활동했던 숙종대의 특징, 즉 극심한 자연재해, 거듭된 환국(換局)과 정치적 갈등, 와언(訛言)·요언(妖言)의 유행과 민중사상의 변화, 명화적·극적(劇賊)의 활동 증가, 이영창 역모 사건 발생에 대해 살펴보고, 그의 출현과 신분, 활동 지역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장길산의 실체에 대한 선행연구의 오류를 다시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그를 잡기 위한 국가의 대대적인 소탕 작전과 그가 잡히지 않고 사라짐으로써 민간의 전설이 된 부분에 대해 살펴보았다.
4장에서는 홍길동, 임꺽정, 장길산 외에 조선의 이름난 군도들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았다. 먼저 예종·성종대 활동했던 수적(水賊), 12 도적의 사회사: 조선을 뒤흔든 3대 도적-홍길동·임꺽정·장길산장영기 집단에 대해 살펴보고, 다음으로 성종대 활동한 김일동과 그 무리들, 또 연산군 9년에 평안도 안주에서 활동했던 홍자관과 그 무리, 그리고 중종대 고위 양반 행세를 하며 활동한 순석과 그 무리 등에 대해 살펴보았다. 조선시대에는 조선을 크게 뒤흔든 3대 도적뿐만 아니라, 당대 이름을 떨친 크고 작은 군도들이 많이 출몰했었다.
필자는 이 책을 통해서 조선시대 민들의 처지와 생활이 어떠했는지를 살펴보고 싶었다. 도적이 수도 없이 발생하고 이를 잡기 위해 중앙과 지방이 온 힘을 다해 소탕 작전을 벌였던 시대적 상황에 대해 살펴보고 싶었다. 왜 민들은 불법적인 도적이 되었는가? 군도 활동 속에 담겨 있는 역사적 의미는 무엇일까? 자연재해 앞에서 속수무책으로 무너져 버리는 농민들, 그중에서 살고자 남의 것을 약탈하는 도적들의 발생, 그럼에도 자신들의 탐욕을 채우기 위해 탐학을 일삼았던 탐관오리들, 군도의 발생은 단순히 포악한 성격을 지닌 범죄자들의 문제가 아니라 국가와 사회와 경제의 모순 속에서 발생하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군도의 활동 속에는 사회적·경제적 억압 속에서 살기 위해 몸부침 쳤던 민들의 원초적인 저항이 깃들여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렇다고 도적활동을 합리화하거나 정당화하는 것은 절대 아니다. 그래서는 절대 안 된다.

목차

책머리에 ㆍ 4

서장 조선시대 도적의 유형과 치도책(治盜策)ㆍ 21

1. 누가 도적이 되는가? 23
1) 도적이 되는 원인 ㆍ 23
2) 민과 도적과의 관계 ㆍ 30

2. 도적의 활동 형태와 칭호 40
1) 절도·강도 ㆍ 41
2) 산적 ㆍ 43
3) 수적(水賊)·해적 ㆍ 45
4) 우마적(牛馬賊) ㆍ 48
5) 마적(馬賊)·기마적(騎馬賊) ㆍ 51
6) 화적(火賊)·명화적(明火賊) ㆍ 52
7) 토적(土賊) ㆍ 58
8) 무뢰배(無賴輩) ㆍ 59

3. 도적에 대한 처벌과 치도책 62
1) 『대명률(大明律)』과 『경국대전(經國大典)』의 도적 관련 형률 ㆍ 62
2) 조선시대의 치도형(治盜刑) ㆍ 74
3) 포도책(捕盜策) 마련과 포도청 설치 ㆍ 90

1장 연산군대 홍길동 ㆍ 99
- 실체보다 소설 때문에 유명해진 간 큰 강도

들어가는 말: 소설 속 주인공이 아닌 실존 인물 홍길동 ㆍ 101

1. 홍길동이 활동했던 시절 104
1) 폐비의 아들 연산군의 즉위 ㆍ 104
2) 훈구파의 사림 탄압, 무오사화의 발생 ㆍ 107
3) 기근 심화와 도적활동의 증가 ㆍ 112

2. 홍길동의 출현과 활동 117
1) 홍길동은 언제 활동했나? ㆍ 117
2) 홍길동은 양반의 서자였을까? ㆍ 122
3) 홍길동의 뒷배, 당상관 엄귀손 ㆍ 123
4) 홍길동의 활동 지역, 충청도 ㆍ 126

3. 홍길동의 영향과 후대의 평가 128
1) 홍길동 활동이 끼친 영향 ㆍ 128
2) 홍길동은 ‘나쁜 놈’ 혹은 ‘호걸’의 대명사 ㆍ 133

나오는 말: 홍길동은 지방 수령을 농락한 대도(大盜) ㆍ 137

2장 명종대 임꺽정 ㆍ 141
- 조선을 공포로 몰아넣은 군도의 우두머리

들어가는 말: 임꺽정은 단순 도적이 아닌 민란의 우두머리 ㆍ 143

1. 임꺽정이 활동했던 시절 147
1) 어린 왕, 명종의 즉위 ㆍ 147
2) 문정왕후의 수렴청정과 연속되는 옥사 ㆍ 151
3) 훈구와 외척·척신 세력의 부패 ㆍ 155
4) 총체적 부패, 흔들리는 국가 기강 ㆍ 161

2. 임꺽정의 출현 166
1) 임꺽정, 백정의 아들로 태어났나? ㆍ 166
2) 임꺽정의 출생지, 양주 ㆍ 178
3) 임꺽정의 활동 지역, 황해도·경기도·평안도 등 ㆍ 183

3. 임꺽정, 군도의 우두머리가 되다 191
1) 해주 구월산 기슭의 임꺽정 산채 ㆍ 191
2) 관리를 사칭하고, 훔친 재물을 팔다 ㆍ 195
3) 모이면 도적, 흩어지면 민(民) ㆍ 197
4) 임꺽정을 잡기 위한 국가의 대책 ㆍ 204

4. 국가를 위협하는 임꺽정의 활동과 그의 최후 210
1) 임꺽정, 한양 장통방에 나타나다 ㆍ 210
2) 관군의 패전, 두려움에 떠는 정부 ㆍ 213
3) 임꺽정을 배신한 참모 서림 ㆍ 222
4) 거듭되는 가짜 임꺽정 소동 ㆍ 225
5) 두려워하는 명종, 임꺽정을 꼭 잡아라 ㆍ 229
6) 남치근의 토벌 작전, 임꺽정의 최후 ㆍ 235

5. 임꺽정은 흉악한 도적인가, 의적인가? 239
1) 임꺽정의 눈물, 종친 단산수에 얽힌 이야기 ㆍ 239
2) 임꺽정 난을 보는 시각 ㆍ 241

나오는 말: 임꺽정은 부패한 지배층이 낳은 역사의 사생아 ㆍ 247
3장 숙종대 장길산 ㆍ 253
- 역모 세력의 입에 오르내린 사나운 명화적

들어가는 말: 장길산에 대한 진실과 오해 ㆍ 255

1. 장길산이 활동했던 시절 258
1) 연속되는 극심한 자연재해 ㆍ 258
2) 거듭된 환국(換局)과 정치적 갈등 ㆍ 264
3) 와언(訛言)·요언(妖言)의 유행과 민중사상의 변화 ㆍ 275
4) 명화적·극적(劇賊)의 활동 증가 ㆍ 285
5) 이영창 역모사건 발생 ㆍ 292

2. 장길산의 출현과 활동 298
1) 장길산의 출현 시기 ㆍ 298
2) 장길산의 신분, 광대 ㆍ 303
3) 장길산의 활동 지역, 강원도·황해도·평안도 등 ㆍ 307

3. 장길산의 실체에 대한 몇 가지 궁금증 311
1) 장길산 무리는 대대적으로 인삼을 판 마상(馬商)인가? ㆍ 311
2) 장길산은 승려 세력과 결탁했나? ㆍ 317
3) 장길산은 역모 세력과 결탁했나? ㆍ 322
4) 장길산 무리는 기병 5천과 보병 1천이었을까? ㆍ 328

4. 장길산을 잡기 위한 국가의 대책과 그의 최후 336
1) 대대적인 소탕 작전 ㆍ 336
2) 사라진 장길산의 최후와 그의 영향 ㆍ 345

나오는 말: 극악한 명화적에서, 전설이 된 장길산 ㆍ 352

4장 그 밖의 이름난 군도들 ㆍ 357

1. 예종·성종대 수적(水賊) 장영기 집단 359
1) 장영기의 출현과 활동 ㆍ 359
2) 장영기의 체포와 그의 영향 ㆍ 368

2. 성종대 황해도 대적 김일동과 그 무리들 377

3. 연산군대 홍자관과 그 무리들 385

4. 중종대 고위 양반 행세를 한 순석과 그 무리들 390

맺는 말 군도활동은 민의 일탈이 만들어낸 원초적 저항 ㆍ 394

참고문헌 ㆍ 40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