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등 사회 베스트셀러 『사회는 쉽다!』 개정판 출간!
최신 교과 내용과 사회 이슈가 쏙쏙!
아침독서신문, 한우리 독서운동본부 추천 도서
초등학교 사회 교과서 속 핵심 지식을 쉽고 재미있게 담은 베스트셀러 「사회는 쉽다!」 시리즈의 개정판이 ㈜비룡소에서 출간되었다. 「사회는 쉽다!」는 정치, 지리, 한국사, 사회 문화 등 초등 사회 교과의 전 주제를 총망라한다. 새롭게 출간된 개정판은 최신 교과와 사회 이슈를 담고, 권별 제목을 핵심 키워드로 다듬었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맞춰 ‘1948년 대한민국 정부 수립’ 등 수정된 용어를 적용하고, 변화하는 가족의 모습과 성 평등 및 다양성이 강조되는 사회의 흐름도 빠짐없이 반영했다. 또한 초등 눈높이에 알맞은 새로운 시각 자료와 최신 정보를 첨부하였다. 『8권 도시와 촌락』에서는 1년 간격으로 같은 장소에서 찍은 서울 도심의 모습을 통해 미세 먼지의 문제점을 한 장의 사진으로 요약한다. 또 『9권 의사소통과 미디어』에서는 SNS와 유튜브가 일상화된 개인 미디어 시대는 물론, 코로나19로 원격수업이 활발해진 학교의 모습도 담아냈다.
개정판에서는 ‘민주주의와 정치’, ‘국토와 주권’ 등으로 권별 제목을 간소화하여 독자가 필요로 하는 주제 및 교과와 관련된 권을 더욱 쉽게 찾아볼 수 있다.
한편, 어린이 눈높이에 알맞은 재미도 놓치지 않았다. 교과서 속 주요 개념들을 어린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품어 봤을 법한 엉뚱하고도 기발한 질문으로 풀어낸다. ‘우리나라는 몇 살일까?’, ‘맨 처음 세상은 어떻게 만들어졌을까?’와 같은 질문은 하나의 주제를 역사 또는 신화 등 다양한 각도에서 생각할 수 있게 한다. 또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가며, 관련된 여러 정보와 개념을 통합적으로 이해하고 습득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역사를 거꾸로 되짚어 한눈에 파악한다!
대한민국부터 일제 강점기, 조선, 고려, 통일신라, 삼국시대, 고조선까지
이 책은 우리가 살고 있는 대한민국부터 시작된다. ‘대한민국’, ‘코리아’, ‘코레’, ‘코리’ 등 우리나라를 부르는 여러 이름이 있는 것처럼, 5천 년에 가까운 시간 동안 우리나라의 이름은 대한제국, 고려, 통일신라, 고조선 등으로 계속 바뀌었지만 결국 그 모두가 우리 민족의 역사임을 이야기한다. 흔히 역사 공부는 시대순으로 먼 옛날부터 현대까지 하기 마련인데, 이 책은 독특하게도 그 순서를 반대로 뒤집는다. 우리와 가까운 시대부터 살펴봄으로써 역사 속 사건들이 우리와 먼 지식이 아니라 우리 엄마와 아빠, 할아버지와 할머니, 그리고 우리 조상들의 실제 삶이었음을 느끼게 해 준다.
다음 장에서는 일본에 주권을 빼앗겼던 일제 강점기에 나라의 독립을 이루고자 애쓴 사람들을 만나 보고, 이어 ‘양반의 나라’로 불렸던 조선의 각종 제도와 풍습, 우리글 훈민정음에 대해 자세히 알아 본다.
고려는 우리나라의 영어 명칭인 ‘코리아’라는 말의 유래가 된 나라다. 빛나는 문화유산인 고려청자의 특징과 제조법을 알아 보고, 불교가 국교이기에 스님의 지위가 높고 남녀가 평등했던 고려 사회의 모습과 몽고의 침입에 맞서 만든 팔만대장경 이야기도 소개한다. 다음은 우리나라가 여러 나라로 나눠져 있었던 삼국시대다. 한강 유역을 가장 먼저 차지하고 꽃피운 문화를 일본에 전해준 백제, 한반도 북쪽과 만주 벌판에서 강인한 기상을 떨치며 중국의 침입을 여러 차례 막아 낸 고구려, 한반도 안쪽의 경주에 터를 잡고 조금씩 성장하여 결국 삼국을 통일하고 통일 왕국을 세운 신라까지 조목조목 접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우리 민족의 첫 나라인 고조선을 다루며, 최초의 국가가 생겨난 과정, 고조선의 철기 문화가 한반도에 준 영향, 원래 조선이었던 고조선이 지금의 이름을 가지게 된 이유 등 교과서에서 만날 수 없는 재미있는 교양 상식도 놓치지 않는다.
고조선까지 살펴 본 이 책은 우리와 같은 역사를 공유한 북한을 소개하면 끝을 맺는다. 현재부터 과거로 향했던 이야기가 다시 현재로 돌아오면서 과거의 모든 면면이 지금의 대한민국을 만들었으며, 지금의 우리 모습은 다가올 대한민국의 미래를 만들어 나갈 것임을 알려 준다.
※교과 연계 정보
사회 5-2 1. 옛사람들의 삶과 문화
사회 5-2 2. 사회의 새로운 변화와 오늘날의 우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