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가 사랑했고, 사랑하며, 사랑할 세계적 작가들의 빼어난 산문,
그 경이로운 문장을 옮겨 적다 보면 인생은 새롭게 쓰인다.”
영미와 유럽, 그리고 일본어권을 아우르는 세계적 작가 32인의 빼어난 산문 51편에서 엄선한,
각 작품의 정수가 담긴 52개의 단락과 함께하는 풍성한 필사 노트
카프카, 헤세, 울프, 헤밍웨이, 소세키, 오사무 등 한 명 한 명이, 이름 하나하나가 각자의 나라와 각자의 문화권을 넘어 그 자체로 세계 문학사인 작가들의 작품을 한 권의 책으로 만날 순 없을까? 그들 각자의 내밀한 삶과 그들 문학의 수수께끼를 풀어줄 열쇠가 담긴 산문들을? 꽃피는책의 ‘인생 산책자를 위한 밤과낮 에디션’은 이 바람을 충족해줄 이제껏 없던 풍성한 구성의 세계 고전 산문선으로 영미, 유럽, 일본어권을 아우르는 세계적 작가 32인의 산문 51편을 밤 에디션과 낮 에디션 두 권으로 나눠 엮은 책이다. 여행 중에서든 침대 맡이든 언제 어디서나 가까이 두고 읽을 수 있기를, 먼저 인생을 산책한 대가들의 산책길을 함께 하는 즐거움을 온전히 누릴 수 있길 바라며.
‘인생 산책자를 위한 밤과낮 에디션 3’ 『안온한 밤과 빛나는 낯의 문장들 필사 노트』에는 F. 스콧 피츠제럴드, 나쓰메 소세키, 너새니얼 호손, 니이미 난키치, 다자이 오사무, 데라다 도라히코, 로버트 루이스 스티븐슨, 로베르트 발저, 맥스 비어봄, 미야자와 겐지, 버지니아 울프, 베아트릭스 포터, 스튜어트 화이트, 시마자키 도손, 아쿠타가와 류노스케, 알도 레오폴드, 알베르 카뮈, 알퐁스 도데, 어니스트 헤밍웨이, 오리쿠치 시노부, 오스카 와일드, 윌리엄 포크너, 장 자크 루소, 조지 기싱, 조지 오웰, 찰스 디킨스, 카렐 차페크, 폴 부르제, 페르난두 페소아, 프란츠 카프카, 헤르만 헤세,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산문 51편에서 엄선한 52개의 단락이 수록되어 있다.
각 단락은 원문을 누구보다 깊이 이해하는 역자들과 번역 원고를 여섯 번 이상 읽은 편집자들이 머리를 맞대고 가려 뽑은 것으로 각 작품의 깊이와 아름다움을 함께 담고 있는 정수들이다. 달빛 빛나는 안온한 밤을 돌이키게 해주고 빛나는 낮을 되새겨주는 52개의 단락을 읽고 옮겨 쓰다 보면, 어느새 각 작품 전체를 그려볼 수 있는 즐거움까지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위대한 인생 산책자들과 함께 산책하는 또 다른 인생 산책자가 되는 황홀한 경험도 함께.
밤의 죽음애서 낮의 사랑까지 12개의 주제, 52개의 단락 속에 담긴
세계적 작가들의 진지한 사유와 삶을 바라보는 시선을 비교하며 옮겨 쓰는 새로운 경험
꽃피는책 산문선 ‘인생 산책자를 위한 밤과낮 에디션’은 우리가 사랑했고, 사랑하며, 사랑할 세계적 작가들의 산문을 밤과 낮이라는 두 개의 시공간으로 나눠 엮은 새로운 구성의 책이다. 밤과 낮은 단순한 시간 구분을 넘어 추상적 차원에서 보면, 일생을 사는 동안 우리 삶을 관통하는 여러 주제를 그 온도와 명암에 따라 담고 있는 상징적 개념이라 할 수 있다. 이는 그래서 시간이자 공간이고, 공간이자 시간이 된다. 그리고 그 시공간에는 한편에는 불면, 죽음, 산책, 쓰기, 고독 같은 것이, 다른 한편에는 공간, 계절, 여행, 사랑, 반려 같은 것이 담길 수 있을 것이다. 우리 삶을 관통하는, 다른 온도와 다른 명암을 가진 주제들 말이다.
밤 에디션인 『왜 달빛을 받으며 잠시 걸어보지 않았을까』는 불면, 죽음, 산책, 쓰기, 고독 등 다섯 가지 주제로, 낮 에디션인 『빛은 등 뒤에 있어』는 공간, 계절, 여행, 사랑, 반려 등 다섯 가지 주제로 나눠 구성해 세계적 작가들의 작품을 담았다. ‘인생 산책자를 위한 밤과낮 에디션 3’ 『안온한 밤과 빛나는 낯의 문장들 필사 노트』는 이들 10개의 주제 외에 기억과 추억이 더해져 총 12개의 주제로 재구성하였고, 이 각각의 주제에는 산책, 사랑, 반려, 죽음 또는 불면, 공간, 쓰기, 계절, 추억, 여행, 기억, 고독의 작품에서 가려 뽑은 52개의 단락이 담겨 있다. 이들 각 단락에는 또한 단락의 핵심과 단락이 담긴 작품의 주제를 아우르는 인상적인 제목이 더해져 있다. 위대한 인생 산책자의 마음을 더 가까이, 더 깊이 느낄 수 있는 이 제목을 이정표 삼아 각 주제에 속한 단락들을 옮겨 쓰다 보면 삶을 바라보는 너무도 다른 시선과 그 안에 담긴 작가마다의 진지한 사유를 비교하며 느껴보는 새로운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한 달에 한 번 ‘이달의 인생 산책’을 적어보는 창작의 경험, 그 은밀한 즐거움도 함께 담은 필사 노트
‘인생 산책자를 위한 밤과낮 에디션 3’ 『안온한 밤과 빛나는 낯의 문장들 필사 노트』에 담긴 단락 52개는 1년 52주를 의미하는 숫자이며, 이 52개의 단락이 나뉘어 담긴 12개의 주제는 1년 12개월을 의미하는 숫자이다. 12개의 주제에 담긴 단락이 4편 또는 5편인 것은 각 주제가 1개월의 시간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매주 한 편씩 네 편 혹은 다섯 편을 한 달 동안 필사하고 나면 ‘이 달의 인생 산책’과 만나게 되는데, 거기엔 필사했던 작가 중 한 명의 깊고 넓고 빛나는 한 문장과 함께 그달의 주제와 관련된 질문이 담겨 있다. 이를테면 이런 문장과 질문이다.
“아름다움은 그것을 볼 수 있는 사람에게는 세상 어디에나 존재한다.” - 헨리 데이비드 소로
문득 세상의 소음을 멈추고 당신의 마음을 쉬게 한 건 무엇이었나요?
첫 번째 달, 첫 번째 주제 끝에 담긴 ‘이 달의 인생 산책’에서 만날 수 있는 문장과 질문이다. 이런 문장과 질문들을 통해 우리는 단순한 필사를 넘어 나만의 인생 산책을 적어보는 창작의 은밀한 즐거움을 한 달에 한 번씩 느껴볼 수 있을 것이다.
“시간은 우리 위를 날아가지만, 그 그림자를 남긴다.” - 너새니얼 호손
올 한 해 당신의 하루 중 가장 긴 날은 언제였나요? 그날의 기쁨은 여전한가요? 그날의 아픔은 치유되었나요?
열두 번의 즐거움 끝, 이런 문장과 질문이 적혀 있는 ‘올해의 인생 산책’을 만날 때쯤이면 모두는 창작자가 되어 있을지도.
작가와 작품을 더 가까이 더 생생히 더 온전히 만날 수 있는 충실한 번역,
그 뜻밖의 멋진 선물까지 더해진 필사의 즐거움
‘인생 산책자를 위한 밤과낮 에디션’을 기획하며 꽃피는책은 젊은 번역가, 그중에서도 문학 연구나 출판 관련 일을 함께하는 번역가를 찾았다. 원문을 더 충실하게 옮겨줄 수 있을 것이어서였고, 원문에 숨겨진 수수께끼까지 충실히 풀어줄 수 있을 것이어서였다.
꽃피는책은 우선, 단락 분량의 통일성이나 내용 전달의 용이성을 위해 긴 단락을 자의적으로 쪼갬으로써 작가의 문체와 원문의 단락이 지닌 호흡을 조정하는 것부터 시작, 작가의 의도를 접어두고 더 쉬운 전달을 위해 원문에 없는 단어를 넣거나 원문에 있는 단어를 빼는 것을 거쳐 우리말 쓰임에 맞추려 원문의 언어가 지닌 다름을 지우는 번역이 아닌, 쉼표 하나까지 온전히 살려 작가의 문체와 호흡, 정확한 의도, 원문 언어의 다름을 그 어떤 번역보다 충실히 담아 전하는 번역을 요청했다.
다행히도 세 젊은 번역가 겸 연구자 겸 출판인은 이 요청에 흔쾌히 응해줬다. ‘인생 산책자를 위한 밤과낮 에디션 3’ 『안온한 밤과 빛나는 낯의 문장들 필사 노트』에 담긴 단락 52개 모두는 무척이나 오래 걸릴 수밖에 없는, 더 까다로울 수밖에 번역 작업을 몹시도 꼼꼼하게, 하지만 즐거운 마음으로 해준 세 번역가가 전해주는 뜻밖의 멋진 선물이다. 옮겨 쓰다 보면 작가와 작품을 더 가까이 더 생생히 더 온전히 만나는 황홀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기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