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구성
____제1부 격자 블록과 세장 필지에 그려진 모던 유토피아
도시의 대표적 특성인 격자형 도로체계와 도시 블록 위에서 성장해온 대도시 도시마을 사례들을 살펴본다. 특히 좁고 긴 세장형(細長形) 필지 위에 시공된 건축물의 특성을 고층 고밀화와 상업화 과정 그리고 마을 공공시설의 조성 과정 중심으로 소개한다.
(1) 구릉 위에 주민들이 설립한 도서관과 클럽하우스인 아테네움(Athenaeum)을 중심으로 형성된 영국의 비컨힐(Beacon Hill), 그리고 찰스강변 간척지에 들어선 블러바드형 선형 공원인 커먼웰스애비뉴(Commonwealth Avenue)를 중심으로 성장한 도시 블록 주거지인 보스턴 백베이(Back Bay), (2) 중세 도심 외곽에 독특한 정사각형의 스퀘어 블록(Illa Quadrat)으로 형성된 신도심이자, 중층 규모 도시 주택의 상업화에 대응해 블록야드(Pati d’lla)를 공공화하고 스퀘어 블록들을 모아 조성함으로써 슈퍼 블록(Superilla)의 보행 중심화를 추진한 바르셀로나 드레타 데 레이삼플레(Barcelona Dreta de l’Eixample), (3) 바다 습지를 매립한 격자형 도시 블록 위에 조성되었던 직주(직장과 주거지) 일체의 상공인 구역이 메이지유신과 간토 대지진 후 직주 분리의 현대적 도시계획 아래 주거가 배제된 도시 상업 구역으로 변화해온 도쿄 긴자(銀座)와 마루노우치(丸の内)가 그 주인공이다.
____제2부 스퀘어와 보행체계로 이어진 저층 주택과 고층 주거 타워
지배 세력이 소유한 대규모 토지가 지속적인 개발을 통해 중규모, 다시 소규모 필지 중심의 주거지로 변화하고, 마을의 역사성과 상징성을 보유한 정원 공원(square garden)을 중심으로 저층 주택, 종교시설, 종합병원, 대학교 등의 교육ㆍ문화시설과 새로 개발된 고층 주거 타워가 보행체계로 연결되면서 성장해온 도시마을들의 변화 과정을 소개한다.
(4) 잉글랜드의 지배 거점(Westminster)과 상업 거점(City of London) 사이 귀족 소유의 미개발지였던 웨스트엔드(West End)가 가든스퀘어(garden square)를 중심으로 대규모 테라스하우스군으로 개발되고, 인접한 박물관, 대학교, 극장 등과 더불어 지식인, 작가, 예술가의 공동체로 성장해온 런던의 블룸스버리(Bloomsbury), (5) 정사각형 형태의 리튼하우스스퀘어(Rittenhouse Square)를 중심으로 형성된 타운하우스군(Rittenhouse Low)과 저택들, 그리고 그 저택들이 교외로 이전해나가면서 그 자리에 조성된 직주 근접형 업무ㆍ상업ㆍ공공시설과 아파트ㆍ콘도미니엄 주거 타워군이 현대 고층형 도시마을의 표준으로 자리 잡은 필라델피아 리튼하우스 네이버후드(Rittenhouse Neighborhood), (6) 직사각형 도시 블록 도시의 전형인 맨해튼을 배경으로, 해안선을 따라 이리운하(Erie Canal)가 개통되면서 항구 마을로 형성되어, 이후 대도시화와 상업화에 저항해 영국식 로우하우스 중심의 블록 구조와 필지 구획, 건축 형태를 보전하면서 대중교통 개통과 함께 도로 중심의 임대 아파트와 다양성 중심의 주거 환경을 유지해온 뉴욕 그리니치빌리지(Greenwich Village)가 그 주인공이다.
____제3부 상가ㆍ학교ㆍ종교ㆍ복지시설의 보전과 재개발
도시 성장을 주도한 상가 시설, 지배 세력을 양성한 교육시설 그리고 노약자와 병자를 위한 사회복지 거점의 종교시설을 중심으로 형성되었던 마을이 이후 도시 생산ㆍ소비 활동의 중심부로 기능하게 되고, 오래된 건축물의 보전과 재건축이 충돌하면서 도시가 확장되어온 과정을 소개한다.
(7) 일본 무로마치 시대 히가시야마(東山) 문화의 중심부로서 일본인의 정서적 지향점인 시라가와(白川)와 중국 황산의 운해를 명상과 차도의 공간으로 형상화한 건식 정원, 그리고 이를 상가 주택 내부로 흡수한 교마치야(京町屋)와 그 중심부인 히가시야마, (8) 12세기 무렵 북해를 면한 저지대에 베긴회수녀회(Beguines)의 집단 거주지로 형성되어, 도시의 생산 거점이자 인접한 구호소, 병원과 함께 대표적인 사회복지 거점으로 기능했던 브뤼헤(Bruges)와 암스테르담의 베긴회수녀원 블록, (9) 조선 시대 문묘와 성균관의 마을로 형성되어, 갑오개혁과 총독부의 조선교육령 시행 후 설립된 여러 학교와 병원, 도쿄에서 유입된 문화주택과 근대 한옥이 어우러져 지식인 마을을 이루고, 1970년대부터 서울이 확장되고 (대)학교들이 이전하면서 마을 경관과 정체성이 지속적으로 변화해온 서울의 명륜동-혜화동이 그 주인공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