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국 아마존 베스트셀러 1위(신경학 분야), 뮤지션 오지은 강력 추천
“이거 내 얘기 아니야?”
나를 빼고 설계된 세상에서 오늘도 고군분투한 모두를 위한 위로
남들과 다른 행동을 했을 때 느껴지는 차가운 말과 눈빛 그리고 그 후에 온전히 감당해야 하는 좌절감과 수치심. 피트 웜비가 본인이 가진 자폐 스펙트럼과 ADHD 특징에서 비롯된 학교, 직장, 인간관계에서의 다양한 에피소드들은 스스로가 완벽하지 않다고 느끼는 신경 다양인이라면 누구나 공감할 것이다.
“어떻게 신문 구독 취소를 3년을 미룰 수 있어?” “제발 그 망할 신발 끈 좀 제대로 묶어.” “근무 일과 계획표를 쓰면 되잖아!” 어려운 시험은 쉽게 통과하고 에세이도 써내지만 남들은 다 하는 일상적인 일과들이 지독히 어려웠던 피트 웜비가 보여주는 리얼한 일상은 자폐 스펙트럼에 대한 낡은 오해를 깨트림과 동시에 지친 일상을 보낸 신경 다양인들을 다독인다.
이 책의 추천인이자 『우을증 가이드북』의 공저자인 뮤지션 오지은도 ‘남들과 패턴이 달랐고 그런 자신을 유난 떤다고 생각한’ 자신의 내밀한 과거 이야기를 들려주며 피트 웜비에게 공감을 전했다. 30년 넘게 나와 세상은 다르고, 안내자가 없는 위협이 도사리는 세계에 버려진 것 같이 느꼈던 피트 웜비. 이 책은 그가 비슷한 삶을 사는 이들에게 전하는 위로이자 34년 동안 영문도 모른 채 스스로를 미워하고 타인의 평가에 휘둘렸던 ‘과거의 나’에게 건네는 화해의 메시지이기도 하다.
눈물이 나려다가도 웃게 되고, 웃다가도 마음이 저릿해지는
유머러스하지만 단단한 자기고백
피트 웜비는 결코 재밌다고 소개하기 곤란한 신경 다양인의 여러 가지 특징들도 결국 독자가 피식 웃을 수밖에 없도록 매력적인 글로 보여준다. 자폐인의 의사소통과 사고 처리 특징인 ‘일방향성’과 집중력 터널’을 “옆집에 불이 나고, 고질라가 천장을 뚫고 들어와도 책에서 눈을 뗄 수 없는 슬랩스틱 코미디” 같은 유머러스한 표현으로 소개하며 단박에 독자를 이해시킨다.
피트 웜비의 글에 웃음만 남는 것은 아니다. 독자는 이렇게 매력적인 글로 풀어낸 작가의 모든 경험에 서서히 이입하고 공감하며, 작가의 정체성을 ‘신경 다양인의 특징을 가진 사람’에서 자신의 삶을 온전히 살아내고, 나와 타인을 사랑하고, 내가 이해한 ‘나’를 잃어버리지 않으려는 의지를 가진 우리와 똑같은 한 사람으로 탈바꿈하는 여정에 참여한다. 피트 웜비가 흔들렸던 지난날을 더는 미워하지도, 자폐인으로서 살아갈 앞으로의 날도 좌절하지 않겠다고 다짐하는 자기고백은 독자의 마음에 깊게 울린다.
이 책이 신경 다양인 당사자를 포함하여 그들의 주변 사람, 그들에 대해 전혀 몰랐던 사람에게도 삶을 긍정하는 자의 용기를 담은 책으로써 사랑받을 수 있는 이유다.
“누구나 최선의 삶을 살 자격이 있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어가기 위해 제시하는 안내서
피트 웜비는 신경 전형인 그리고 신경 다양인 두 세계에 모두 발을 들인 자신의 경험이 자폐인에 대한 온갖 괴담과 섣부르고 어설픈 이해를 바로잡을 수 있다는 믿음으로 이 책을 썼다. 자폐인에게 적대적인 세상을 바꿀 수 있다고, 아주 작은 것부터 실천하면 변화는 일어난다고 말하는 이 책은 그 시작을 함께할 가장 친절한 안내서다.
엄청난 소음과 폭력성이 당연한 교실, 명확한 이유 없이 ‘원래 그래’로 통용되는 직장, 만나서 한잔해야 하는 인간관계 안에서 자폐인들이 느끼는 괴로움을 독자는 이 책을 통해 이해할 수 있다. 피트 웜비는 이 책에서 비자폐인들이 해야 할 아주 작은 규칙들을 제시한다. 가령 신문 구독 취소나 신발 끈 묶기 같은 일상의 실행 과제를 어려워하는 사람이 주위에 있다면 싸늘한 눈빛과 수치심을 주는 말을 건네는 것이 아니라 동의를 얻은 후 함께 하거나 대신해줄 수 있다는 것. 여기에 이 제안을 거절할 수 있다는 합의까지 놓치지 말라고 저자는 당부한다. 자폐인은 그동안 도움을 거절할 기회조차 받기 어려웠다는 것을 잊지 말자.
저자의 바람처럼 자폐인과 비자폐인의 차이가 외향인과 내향인 차이처럼 모두가 당연하게 받아들이는 세상이 올 수 있을까? 이 책에 소개된 작은 규칙들을 하나하나 실천해보자. 자폐인들이 자신의 행동을 이상하거나 위험한 것이 아니라 정상적인 것으로 이해받고 적절한 지원이 따라올 때 그런 세상은 시작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