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순 엄마의 마지막 5년을 함께한 딸의 애도 일기
“그때 알았더라면 한을 남기지 않을 수 있었을까?”
살림 잘하고 순하고 헌신적이던 엄마가 85세 무렵 알츠하이머 진단을 받는다. 엄마는 1년 반을 작가인 딸의 집에서, 3년 반을 요양원에서 지내다가 구순 생신을 며칠 앞두고 세상을 떠난다.
이 책은 사위어가는 엄마의 마지막 5년을 함께한 딸의 애도 일기이자 노년의 삶과 죽음에 대한 고민과 지혜가 담긴 에세이다.
부모의 죽음을 애도하는 책은 많다. 이 책은 상실의 슬픔을 이야기하는 데서 한발 더 나아가 어떻게 노년의 삶을 지혜롭게 살다가 죽음을 맞이할 것인지를 질문하고 대답을 찾아간다.
1년 반 동안 집에서 엄마를 돌보면서 작가는 온갖 감정의 파고를 맞는다. 같은 말을 무한 반복하는 엄마에게 공연히 짜증을 내고 나서 후회하기도 하고, 직립보행이 불가능해진 엄마가 기저귀를 거부해서 1시간마다 화장실을 기어서 다니는 모습을 봐야 할 때는 죽은 아들을 안고 우는 ‘피에타’를 떠올리기도 한다.
백세 시대에 환갑이 넘은 자식이 말년의 부모를 온전히 돌보기란 현실적으로 어렵다. 작가의 엄마도 마지막 3년을 시설에서 지내게 된다. 평생을 가족을 돌보는 데 최선을 다한 엄마는 “자식이 여럿이니 나 하나 건사 못하겠니?” 하는 말씀을 종종 하셨다. 하지만 이미 몸의 여러 기능이 쇠퇴해 음식을 삼키지도, 배설도 못하는 상노인을 어느 자식이 집에서 제대로 돌볼 수 있을 것인가.
요양원 침대에 누운 엄마가 딸도 못 알아보면서 “누군지 모르지만 나 좀 데려가”라고 애원할 때 딸은 억장이 무너진다. 어찌할 수 없는 결정이었지만 ‘엄마를 버렸다’는 자책감에 시달리는 딸에게 “나 좀 데려가”라는 엄마의 말은 비수가 된다.
“아아, 이 순간을 어찌 잊을까. 산다는 게 꼭 농담 같았다. 평생을 쓸고 닦고, 먹이고 키우고, 웃고 울고, 노심초사하고 베풀며 살아온 노고의 끝에 이런 장면이 기다리고 있다니….”
시설에 계신 엄마를 자주 찾아뵙는다고 해도 4시간을 걸려 달려와서 30분 면회하고 돌아서 나올 때마다 가슴이 먹먹했다. 그러던 차에 ‘ㅇㅇ에서 한 달 살기’가 유행하는 것을 보고 작가는 아예 요양원 옆 모텔에서 며칠 살기를 두 차례 실행한다. 덕분에 작가는 엄마와 연애라도 하듯 충만한 시간을 보낼 수 있었다.
“며칠을 머물며 날마다 엄마를 만나다 보니 훨씬 편안해져서 이제 엄마를 보아도 슬프지 않았다. 죄송한 마음에서도 어느 정도 벗어났다. ‘엄마, 내일 또 올게’ 하고 말할 때의 안도감이 나를 사로잡은 덕분이다. 내일이 있어서 얼마나 다행인지! 내일을 기약할 수 있는 한 우리는 다시 만날 수 있다.”
꺼져가는 엄마의 숨결에서 받은 선물
“엄마를 보내며 내 마지막 이야기는 엄마와 다르게 쓰고 싶어졌다.”
엄마와 영영 이별을 하고 딸은 책부터 집어 든다. 엄마를 돌보면서 노년의 삶과 죽음에 대한 책을 읽으며 공부를 했지만 상황을 구체적으로 알고 나니 그 느낌이 더 생생하게 전달되었다. 작가는 책을 읽으며 엄마의 죽음을 받아들일 수 있었다고 말한다.
이 책의 각 장 끝에는 작가가 죽음에 대해 공부하면서 읽은 책 중에 독자에게 추천하고 싶은 책을 소개하는 글이 나온다. 작가의 경험과 책 내용이 충실하게 버무려져 책 소개 글만 읽어도 노화와 죽음에 대한 공부로 충분하다. 아울러 작가는 엄마를 잃은 이들에게 글을 쓰기를 권한다. 그것이야말로 가장 좋은 애도 방법이라고 강조한다.
“제가 그랬듯이 읽는 것은 고즈넉한 애도를 가능하게 해줍니다. 한발 나아가 글로 쓴다면 의미가 더욱 깊어지지요. 글은 솜씨로 쓰는 것이 아니라 이 말을 꼭 하고 싶다는 간곡함으로 쓰는 것이기에 엄마에 대한 글은 누구나 쓸 수 있습니다. 제가 위로를 받은 책들, 그리고 제 이야기를 통해 그대가 엄마에 대해 글을 쓰고 싶어졌으면 좋겠습니다. 생판 모르는 사람들의 이야기가 나에게로 와서 한없이 다정하게 스며드는 것을 느낄 때면, 나와 엄마의 시간도 그렇게 너울대며 달빛 속으로 흘러갈 것만 같네요. 어디로 영영 가버리는 게 아니라.”
60대 딸에게 죽음은 이제 남의 일이 아니다. 작가는 엄마를 돌보면서 말년을 선체험하는 기분이 들었다고 한다. “한 번 가본 길이라 오래 살고 싶다는 욕심이 흐려졌고, 훨씬 담대해졌습니다. 인간의 마지막이 정해져 있다면 엄마처럼 순응적으로만 살 이유는 없지 않을지요. 저는 엄마를 보내며 내 마지막 이야기는 엄마와 다르게 쓰고 싶어졌습니다.”
엄마 이야기를 쓰고 나서 작가는 엄마와 다른 이야기를 쓰기로 마음을 먹는다. 독자는 이 책을 통해 자신의 남은 이야기를 어떻게 쓰고 싶은지 고민하고 준비하는 계기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