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캐드펠 수사 시리즈 소개
‘캐드펠 수사 시리즈’ 완간 30주년 기념 전면 개정판!
역사와 미스터리, 인간적 고뇌가 어우러진 역사추리소설
중세의 어둠 속 인간의 심연을 다루는 지적인 미스터리
“매번 자신 있게 추천하는 역사추리소설. 이 놀라운 이야기에 대해 말할 때 한없이 행복하다.”
_정세랑(소설가)
역사와 미스터리, 인간적 고뇌가 어우러진 역사추리소설의 고전, 캐드펠 수사 시리즈의 한국어판 개정판이 전권(21종) 출간됐다. 시리즈 원작 완간 30년을 기념한 이번 개정판에는, 스무 권의 장편소설에 더해 국내 초역 단편소설집인 『특이한 베네딕토회』가 추가로 포함됐다.
엘리스 피터스(Ellis Peters)의 ‘캐드펠 수사 시리즈(The Chronicles of Brother Cadfael)’는 12세기 중세 잉글랜드를 배경으로 펼쳐지는 역사추리소설로, 슈루즈베리 수도원의 캐드펠 수사가 세상과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와 통찰을 바탕으로 살인 사건을 하나씩 풀어나가는 추리소설 시리즈이다. 12세기 중세로 시간 여행을 하는 듯 생생한 몰입감을 경험하게 해주는, 세대와 언어를 뛰어넘는 역사추리소설의 마스터피스.
엘리스 피터스의 캐드펠 수사 시리즈는 약초를 이용한 범죄부터, 당대 사람들의 종교적 신념, 내전을 둘러싼 피비린내 나는 권력 다툼까지, 중세 유럽의 사회적 배경과 정치적 갈등을 손에 잡힐 듯 섬세하게 그려낸다. 고도의 지적 게임 같은 살인 미스터리의 성격을 지녔으면서도, 중세 시대의 복잡한 사회 구조와 인간의 존재 의미를 탐구함으로써, 추리소설을 탐독하는 독자에게 독특한 재미와 대체 불가능한 감동을 선사한다.
캐드펠 수사 시리즈의 가장 큰 매력은 역사와 추리가 절묘하게 조화를 이룬 작품이라는 데 있다. 소설의 시대적 배경은 스티븐 국왕과 모드 황후 사이의 왕위 계승 내전으로 혼란스러웠던 12세기 중세 잉글랜드로, 정치적 음모와 전쟁의 여파가 사회 전반에 스며들어 소설 속 사건들을 일으키고, 전쟁과 혼란 속에서도 평화와 정의를 추구하던 캐드펠은 각종 살인사건과 비극의 진실을 좇게 된다.
사건 해결을 주도하는 캐드펠 수사는 완전무결한 순백의 성직자라기보다는 인간으로서의 고뇌와 갈등을 지닌 인물로 등장한다. 치밀한 추리력과 과감한 행동력을 발휘하면서도 연민이 가득한 시선으로 인간 존재의 불완전함을 끌어안으며, 인간의 심리, 선과 악, 정의와 용서의 복잡한 본질을 탐구한다. 이러한 캐드펠 수사의 인간적 면모는 단순한 사건 해결을 넘어 죄와 용서, 정의와 자비 등 삶의 가치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캐드펠 수사가 신념과 연민 사이에서 매순간 갈등할 때마다 독자들도 그 고뇌를 함께 느낄 수밖에 없다. 캐드펠 수사 시리즈가 인문학적 성찰까지 아우르는 역사추리소설의 원형이자 ‘지적 미스터리’ 고전으로 자리매김되는 것은 이 같은 특성 때문이다.
‘캐드펠 수사 시리즈’는 미국, 프랑스, 일본 등 22개국에서 번역 소개된 밀리언셀러로, 영국 BBC에서 드라마화되기도 했다. 장장 18년 동안의 집필 끝에 1994년에 완성됐으며, 국내에선 1997년에 처음 소개됐다. 이번에 새롭게 출간되는 개정판은 쉽게 읽히는 문장, 긴박하게 전개되는 스토리, 치밀한 추리의 세계, 생생한 묘사 등 원텍스트의 묘미를 최대한 살려 편집하였으며, 세련된 디자인으로 역사추리소설을 사랑하는 독자들을 만족시킬 것이다.
* 『성스러운 도둑』 도서 소개
혼란을 틈타 사라진 유물, 그리고 살인 사건
성골함의 소유권을 둘러싼 사제들의 세속적인 갈등
1145년, 슈루즈베리에 전례 없는 폭우가 쏟아진다. 큰비의 피해를 막기 위해 수도원의 수도사들과 하인들은 성물(聖物)들을 옮기느라 분주한 시간을 보냈는데, 그 와중에 수도원의 보물인 성 위니프레드의 성골함이 감쪽같이 사라진다.
마침 램지 수도원에서 파견된 헤를루인 부원장과 투틸로 수사가 수도원에 와 있었던 터라, 슈루즈베리 수도원의 수사들 사이에 이 두 사제에 대한 불신이 커진다. 특히 투틸로 수사의 수상한 말과 뛰어난 음악적 재능은 그를 더더욱 의심스럽게 만든다.
그러던 중, 성물 도둑을 알고 있을지도 모르는 양치기 한 명이 살해당한다. 이로 인해 캐드펠은 사건의 배후에 단순한 도둑질 이상의 복잡한 동기가 숨어 있음을 깨닫는다.
수도원장 라둘푸스는 성골함의 소유권을 두고 논란이 커지자, 복음서를 펼친 뒤 손가락이 가리킨 구절을 읽는 ‘소르테스 비블리카’라는 중세적 신탁 방식을 제안한다. 이에 성골함의 소유권을 주장하는 사제들과 영주는 성경을 펴서 각자 구절을 뽑고, 이를 통해 성녀의 진정한 뜻을 해석하려 한다. ‘소르테스 비블리카’를 통해 소유권을 인정받은 곳은 슈루즈베리 수도원이었다. 그러나 마지막에 바람이 넘기고 꽃잎이 가리킨 복음서의 구절은 모두를 침묵하게 만든다. 그 구절은 다음과 같다. “형제끼리 서로 잡아 넘겨 죽게 할 것이며…….”
이 신탁은 뜻밖에도 사건의 결정적 전환점이 된다. 사제들의 권력 다툼과 감춰진 욕망, 그리고 인간 내면의 죄의식이 뒤섞이며, 범인은 의외의 방향에서 모습을 드러낸다.
『성스러운 도둑』은 종교와 신념, 죄와 속죄, 믿음과 욕망이 맞부딪치는 서사를 통해 중세라는 시공간을 생생히 재현하는 작품이다. 캐드펠은 이번에도 추리보다는 이해와 연민, 인간에 대한 성찰로 한 발짝 한 발짝 진실에 접근해 나간다.
또한 엘리스 피터스는 수도원이라는 폐쇄된 공간을 배경으로, 외부에서 들어온 인물들이 던지는 파장과 불균형, 그 속에서 싹트는 연대의 가능성을 세심하게 그려낸다. 음유시인과 수도사, 노예 신분의 여가수, 백작과 행정장관 등 계층도 다르고 입장도 다른 이들이 하나의 사건 안에서 엮이며, 인간 사회가 지닌 복잡다단함을 정면으로 마주하게 만든다.
성스러움이라는 이름 아래 일어난 도둑질과 살인, 그리고 성물(聖物)을 향한 인간의 욕망과 신념의 충돌. 『성스러운 도둑』은 ‘성녀 위니프리드는 정말 어디에 있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을 던지며 욕망으로 오염된 신앙에서부터 연대의 가능성까지, 인간 사회의 복잡한 관계와 윤리를 유려한 문체로 다루는 작품이다. 수도원 사제들 간의 미묘한 긴장, 귀족과 하인의 권력 관계, 여가수 달니와 젊은 수도사의 섬세한 감정선 등 얽히고설킨 이야기들이 정교하게 설계되어 있다. 성물 도난, 살인, 신념의 갈등, 그리고 캐드펠 수사의 인간적인 통찰이 어우러진 정교한 미스터리 작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