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4회 눈높이아동문학상 단편 부문 대상 수상작
대교 눈높이아동문학상은 아동문학의 새로운 기틀을 다지고, 역량 있는 아동문학가를 발굴하고자 제정되었다. 그 동안 여러 명망 있는 작가들이 눈높이아동문학상을 통해 등단하였고, 우리 아동문학계를 살찌우는 데 큰 역할을 해 왔다. 《버릇없는 노랑이를 신고합니다》는 제24회 눈높이아동문학상 단편 부문 대상을 받은 작품이다. 《버릇없는 노랑이를 신고합니다》에는 다섯 편의 단편이 실려 있는데, 모두 길 고양이를 소재로 하고 있다. 하지만 단순히 고양이에 대한 이야기가 아니라 고양이와 인간 사이의 관계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저자는 고양이와 사람의 마음 사이에서 균형을 맞추기 위해 노력한다. 그 가운데 인간과 동물 사이의 균형을 찾고, 서로 머리를 맞대고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고민하는 것이다.
‘이 작품은 서사성이 두드러진다. 이야기로서의 풍부함과 역동성이 잘 나타난다는 것이다. 그런 바탕 위에 동물 캐릭터를 통해서 어린이들이 가닿을 수 있는 마음의 감수성을 잘 건드리고 있다. 우화적 구성에 현실주의 의식이 잘 녹아들게 한 점, 무엇보다도 공동체적인 삶의 가치와 정신을 어린이 눈높이에 맞추어 부각시킴으로써 주제가 선명하고 그 울림이 독특하다. 어린이들과 정서적으로 친숙한 고양이를 매우 역동적으로 형상화함으로써 작품의 효과를 얻도록 한 점도 인상적이다.’ ?심사 위원의 말-
*인간과 더불어 살아가는 고양이들의 세상
[뻔뻔한 얼룩이]는 배고픈 고양이 가족과 최 영감 사이의 갈등과 화해를 담은 단편이다. 현실에서 누구나 쉽게 겪을 수 있는 상황으로 인간과 동물 사이의 소통을 보여준다. [버릇없는 노랑이를 신고합니다]는 고양이와 인간이 법정 다툼을 벌이는 재미있는 상상의 산물이다. 현실에서는 일어날 수 없는 상황이지만 인간과 동물 사이의 갈등을 잘 보여주고 그 해결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통조림 공장의 어린이날]은 주말에도 공장에서 일을 해야 하는 고양이들의 이야기이다. 어쩌면 이것은 수많은 비정규직의 희생을 바탕으로 돌아가는 우리 사회의 단면이기도 하다. [파란 대문 앞 삼색이]는 고양이의 힘든 삶을 그린 작품이다. 길 위에서의 고단한 삶을 통해서 동물 보호라는 주제를 명확하게 느낄 수 있다. [카오와 마루의 봄]은 도시화와 개발 논리의 한가운데 던져진 우리의 삶을 돌아보게 하는 작품이다. 개발 우선의 논리 속에서 살고 있지만, 새로운 희망을 품을 수 있게 한다.
이 작품에 나오는 고양이들은 모두 사람처럼 행동을 한다. 인간과 대화를 하고, 같이 일하기도 하고, 심지어 소송을 벌이기도 한다. 고양이와 인간 사이에서 벌어지는 여러 가지 사건을 통해, 동물과 인간과의 소통, 화해뿐만 아니라, 우리 사회에서 벌어지는 여러 가지 갈등과 배려, 화해, 사랑까지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