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일본의 근대건축 1860-1945

일본의 근대건축 1860-1945

  • 후지모리 테루노부
  • |
  • |
  • 2025-06-10 출간
  • |
  • 648페이지
  • |
  • 150 X 210mm
  • |
  • ISBN 9791188679287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6,1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초판 출간 후 32년

일본어 원서가 ‘이와나미신서(岩波新書)’로 1993년 10월 출간된 지 32년이 지났다. ‘21세기의 교양신서’라는 이와나미신서의 다짐처럼 일본의 근대건축사를 이해하기 위한 필독서로서 건축 전공자는 물론 일반 대중도 쉽게 읽을 수 있는 교양서로서 꼽히는 책이다. 번역의 저본으로 삼은 2019년 출간본이 20쇄라는 것에서 근대건축 통사를 다룬 이 책의 독자층이 어느 정도로 두터웠고 지금도 여전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건축 역사·이론 연구자들도 대부분 이 책을 읽었거나 알고 있다.
저자인 후지모리 테루노부(藤森照信)는 도시와 건물의 이모저모를 탐색하는 ‘도시·건축 탐정’의 원조로 알려져 있다. 도쿄의 서양식 건축물 탐사 기록인 《건축 탐정의 모험(建築探偵の冒険)-도쿄 편》(1986), 거리에서 볼 수 있는 독특하지만 자연스럽게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패턴을 분석한 《도쿄 거리 박물지(東京路上博物誌)》(1987)가 출간되었을 때 많은 이들이 그의 탐정 여정을 흉내 내며 자신만의 도시 탐사 방법을 확장해갔다. 또한 나무 위에 올린 독특한 차실(茶室)이나 정형화된 틀을 벗어난 미술관, 주택 등을 디자인한 건축가로서도 잘 알려져 있다. 물론 그는 건축사를 주 연구 분야로 삼은 연구자이다. 현재는 에도도쿄박물관 관장으로 있다.
건축 잡지 《미로》의 박정현 편집장은 두 번째 호인‘일본’ 편을 엮으면서 “일본은 한국 헌대건축의 가장 큰, 동시에 가장 감추어진, 또는 감추고 싶었던 타자였다”고 밝히면서 지난 세기 한국건축의 주요한 분기점에는 일본의 그림자가 드리워져 있다고 말한다. 굳이 이 글을 인용하지 않아도 우리의 근대를 제대로 이야기하기 위해서는 일본의 흔적을 함께 언급할 수밖에 없다. 현존하는 건축물 가운데에서도 한국은행 화폐박물관(다쓰노 킨고, 1912) 문화역 서울284(남만주철도주식회사, 1925), 신세계 헤리티지(히라바야시 킨고, 1935) 등 일본인 건축가 손에 의해 지어진 건물이 여전히 우리 도시 여기저기에 남아 있다. 박동진이나 박길룡처럼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근대건축가로 꼽히는 이들 역시 일본에서 경성에서 설립한 경성공업전문학교 출신으로 일본에 의해 만들어진 건축 기술교육을 받았다.
이 책이 일본의 근대건축 통사이지만 우리의 근현대건축을 이해하기 위한 참고도서로 삼아야 하는 이유이다.


한국어판에만 있는 내용

상[바쿠후(幕末)·메이지(明治) 편], 하[다이쇼(大正)·쇼와(昭和) 편] 두 권으로 구성되어 있는 원서를 연속성이 깨지지 않도록 한 권으로 통합 출간했다. 그림 설명에서는 건물의 위치와 현존 여부, 건축 연도를 표기해 본문을 뒤적이지 않아도 어느 시대의 어떤 특징을 가진 이미지인지 바로 알 수 있게 했다. 또한 일본의 근대사, 정치 사회에 이해를 돕기 위해 세세한 부분까지 옮긴이 주 형태로 설명을 추가했다.
무엇보다 부록으로, ‘책에 나오는 일본의 근대건축’, ‘책에 나오는 주요 인물’을 표 형식으로 덧붙이고 언급된 쪽수를 명기하였다. 근대건축 부분에서는 현존 여부는 물론 현재 명칭, 주요 특징을 추가해 건물 정보를 한눈에 볼 수 있게 구성했다. 인물 부분은 일본인과 일본 이외 나라 인물로 구분해 생몰년과 교육 경력, 주요 역할을 정리해 놓아 부록 부분만으로도 일본 근대건축의 주요 건축물과 인물을 파악할 수 있게 했다.



일본인들은 이제 막 개항한 거류지에 처음 등장한 베란다 콜로니얼을 보았을 때, “이것이 서양인가?”라는 강한 인상을 지울 수 없었다. 이때의 기억은 130년이 지난 오늘날에도 여전히 이어지며, 대다수는 베란다가 딸려 있는 서양관을 유럽에서 건너온 멋진 건물이라고 생각하지만, 사실 그것은 파리나 런던에는 없다.
_29쪽에서

지구를 동쪽으로 돌아온 루트에서는 ‘베란다 콜로니얼’이, 서쪽으로 돌아온 루트에서는 ‘비늘판 콜로니얼’과 ‘목골석조’가 각각 상륙하며, 결국엔 베란다와 비늘판이 결합하여 ‘비늘판 콜로니얼’이 탄생한다. 이 네 가지 건축군이야말로 일본인이 처음 만난 서양관이다.
_79쪽에서

이제 막 에도에서 도쿄로 이름을 바꾼 이 도시에서 두 작품(쓰키지 호텔관, 제일국립은행)은 일본 기요우후우 건축의 출발점이 된다. 시미즈 키스케가 요코하마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도쿄에 내놓은 기요우후우의 영향은 결정적이었다. 이를 통해 도쿄 시민들은 새로운 시대의 이미지를 볼 수 있었다.
_122쪽에서

콘더가 일본 학생들에게 가장 중요하게 전하고자 한 것은 건축의 본질에 대한 통찰로, 그는 이를 ‘미’라고 보았다. 그리고 ‘미’는 고딕이나 클래식 같은 역사적 건축양식 속에 있으며, 그것을 제도판 위에 구현할 수 있는 자가 바로 ‘아키텍트’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_205쪽에서

1세대 건축가들은 각자 새로운 국가가 태어나는 과정을 내부에서 직접 체험한다. 그들에게 메이지 국가는 그들의 인생과 밀접하게 얽힌 존재였다.
_301쪽에서

2세대는 자신들의 기반과 내면을 주시하며 “건축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을 내성하는 것에서 출발한다. 그들은 ‘사회와 건축’, ‘기술과 표현’, ‘미국적 실용성’이라는 테마를 탐구하고 새로운 감성에 눈을 떠서 ‘아르누보’를 다룬다. 또한 전 세대로부터 이어받은 유럽건축의 갱신에도 매진한다.
_310쪽에서

메이지 말년 이후 일본의 역사주의는 유럽과 마찬가지로 모던 디자인의 등장에 의해 위협받기 시작하지만, 이 시기에 건축계의 주력인 2세대와 3세대는 모던 디자인의 동향을 강하게 의식하면서도 역사주의에 머물면서 어떻게든 새로운 활력을 얻기 위해 활기찬 미국으로 눈을 돌려 배운다.
_388쪽에서

모던 디자인이 진정으로 필요한 것은 2세대 이후 다이쇼에 등장한 청년 건축가들이다. 이들은 선행 세대가 아르누보에서 한 것처럼 단순한 감각만으로 모던 디자인에 무턱대고 뛰어들지 않았다. 그들은 건축을 축하는 마음의 본질부터 새롭게 바꾼다.
_477쪽에서

일본의 표현파는 독일과 네덜란드의 표현파를 비롯한 제체시온 등 유럽의 모던 디자인에서 많은 것을 배우지만, 단순히 흉내 내거나 베끼는 것이 아니라 그 정신까지 깊이 파고들어 공명하면서, 거의 동시에 진행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_487쪽에서

마치 세탁 후 다린 듯한 순백의 평탄한 벽이 빛을 반사하며 빛난다. 인테리어는 커다란 유리창을 통해 빛이 풍부하게 들어오도록 해서 하얗고 밝고 청결함만을 강조하고 있다.
_523쪽에서

목차

1. 지구를 동쪽으로 돌아 일본으로: 베란다 콜로니얼 건축
베란다가 딸려 있는 서양관
아시아 안에서 ∥ 유럽에는 베란다가 있을까 ∥무더위와의 싸움
일본에서의 개화
가지각색의 모습 ∥글로버 주택이 얘기하는 것

2. 지구를 서쪽으로 돌아 일본으로: 비늘판 콜로니얼과 목골석조
판재 마감의 하얀 서양관
지구상의 비늘판
홋카이도 개척과 미국
미국으로부터 배운 삿포로 ∥ 베란다와 비늘판의 만남
지구를 서쪽으로 돌아온, 또 하나의 콜로니얼 건축
나무에 돌을 붙이는 건축

3. 모험 기술자들의 서양관: 서양식 공장
일본의 산업혁명과 건축
시작은 나가사키제철소에서 ∥ 바쿠후와 사쓰마의 서양식 공장건축 ∥
모험 기술자가 가져온 것
워터스 이야기
모험 기술자의 인생 ∥ 긴자 벽돌거리의 탄생

4. 도목수들의 서양관: 기요우후우, 첫 번째 이야기
기요우후우의 탄생
목골석조계 기요우후우의 탄생
원조, 시미즈 키스케 ∥ 하야시 타다히로와 목조 관청건축
회반죽계 기요우후우의 융성
목골 석조계에서 회반죽계로 ∥ 후지무라식의 등장 ∥ 가이치학교가 완성되기까지

5. 문명개화의 꽃: 기요우후우, 두 번쨰 이야기
비늘판계 기요우후우의 출현
야마가타의 서양관 ∥ 야마가타와 미시마 미치쓰네 ∥ 전국으로 유포
문명개화 건축론
건축 정보의 네트워크 ∥ 도목수들의 내력 ∥ 기요우후우의 형태 ∥
기요우후우의 디자인론

6. 고용 외국인 건축가의 활약: 역사주의의 도입
최초의 본격파
앤더슨과 카펠레티 ∥ 보엥빌
콘더의 도일
작품 이력 ∥ 저택 작가로서 콘더 ∥콘더의 수수께끼
엔데&벡크만의 간섭
정치 문제 ∥ 독일건축의 표현과 기술

7. 일본인 건축가의 탄생: 역사주의의 학습
역사주의란 무엇인가
양식과 용도 ∥ 정형을 따른 디자인
영국파
건축계의 창출 ∥ 다쓰노 킨고의 디자인
독일파
국회의사당을 향하여 ∥ 쓰마키 요리나카의 디자인
프랑스파
가타야마 토우쿠마와 아카사카 이궁 ∥ 야마구치 한로쿠와 학교건축
국가와 건축

8. 메이지에서 다이쇼로: 신세대의 자각과 표현
건축언어에 대한 자각
건축론의 탄생 ∥ 건축론에서 창작론으로
전통과 격투
목조 절충 양식 ∥ 진화주의 ∥ 근대 와후우 ∥ 아시아주의
아르누보
실용의 대륙, 미국 발견
요코가와 타미스케 ∥ 미국식 오피스 빌딩

9. 신세기의 역사주의: 미국파의 전성기
미국파의 융성
아메리칸 보자르 ∥ 스페니시 저택 ∥ 방갈로와 거실식 주택
유럽파의 중흥과 역사주의의 도달점
영국 신사, 츄우죠 세이이치로 ∥ 고전주의자, 나가노 우헤이지 ∥ 튜더 양식의 주택 ∥ 일본 역사주의의 도달점
신감각파
자유 양식 ∥ 아르데코 양식

10. 사회정책파: 도시와 사회의 문제
내진 구조와 방화
사노 이론 ∥ 철근콘크리트 구조 ∥ 내진벽의 발명 ∥ 방화
지진재해 부흥계획
사회정책파 ∥ 지진재해 부흥계획
주택 문제
교외주택지의 계획적 개발 ∥ 도우쥰카이(同潤会)

11. 모던 디자인: 시작은 표현파에서
모던 디자인이란 무엇인가
아르누보에서 미스까지 ∥ 식물, 광물 그리고 수학 ∥ 모던 디자인의 성립
일본 모던 디자인의 출발점
다이쇼의 청년 건축가 ∥ 일본의 표현파 ∥ 시엔소우와 쵸우치쿠쿄 ∥ 라이트파
바라크 장식사와 후기 표현파
너무 일렀던 바라크 장식사 ∥ 지속하는 후기 표현파

12. 초기 모더니즘: 바우하우스파와 르코르뷔지에파
더스테일파, 더욱더 바우하우스파로
일본의 더스테일 ∥ 바우하우스파를 향하여
아웃사이더로서 르코르뷔지에파
레이몬드가 시작한 것 ∥마에카와 쿠니오와 단게 켄조
전쟁과 건축
모더니즘의 전시 표현 ∥ 일본 모더니즘의 도달점


저자 후기
옮긴이의 글
한글 번역본의 지각 출판에 대한 변(辨)
한국 근대건축 통사를 기다리며
부록
책에 나오는 일본의 근대건축
책에 나오는 주요 인물-일본
책에 나오는 주요 인물-일본 이외 나라
도판일람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