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반 세르게예비치 투르게네프는 러시아 리얼리즘 문학을 대표하는 대문호로, 한국 독자들에게는 소설 《아버지와 아들》, 단편 〈첫사랑〉, 《사냥꾼의 수기》 등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그의 희곡 역시 러시아 극문학사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한다. 특히 〈시골에서의 한 달〉(1850)은 가장 널리 연구되고 사랑받는 작품이다.
러시아 시골 영지를 배경으로, 대학생 벨랴예프가 가정교사로 머무는 한 달 동안의 사랑과 갈등, 오해와 이별의 이야기를 그린다. 작품 속 인물들은 지루하고 권태로운 시골의 일상에서 벗어나기 위해 사랑을 핑계 삼아 감정의 유희에 빠져든다. 그러나 끝내 누구도 원하는 사랑을 얻지 못한다. 사실상 모두가 제각기 다른 방향을 바라보는 ‘짝사랑의 연쇄 반응’ 속에 있다.
나탈리야는 젊은 가정교사 벨랴예프에게 연정을 품고, 그의 매력에 빠져든 양녀 베라와 미묘한 갈등을 벌인다. 나탈리야를 오랫동안 짝사랑한 라키틴은 그 옆을 지키지만 늘 소외감을 느끼고, 남편 이슬라예프는 이 모든 감정선을 이해하지 못한 채 점점 외곽으로 밀려난다. 투르게네프는 이 일련의 감정 소동을 진지한 비극이 아니라 ‘우스운 이야기’로 풀어낸다.
흥미롭게도 이 작품은 단 4일간의 사건을 다루면서 ‘한 달’이라는 시간 배경을 제목으로 내세우고 있다. 이런 설정에는 시골이라는 한정된 공간에 벨랴예프가 도착하면서 벌어지는 사건들을 통해 마치 밀폐된 실험실에서 벌어지는 감정의 화학반응처럼 인간관계를 실험하려는 투르게네프의 의도가 반영되어 있다. 투르게네프는 이 작품을 통해 당대 러시아 사회에서 변화하는 세대 감각과 지식인의 정체성을 예리하게 포착했다. 벨랴예프는 당시 ‘작은 인간’, 즉 하급 출신 지식인을 상징하며, 낡은 귀족 사회에 일시적이나마 변화를 몰고 오는 존재다. 그러나 “난 여기가 답답해요. 밖으로 나가고 싶어요”라는 그의 대사가 보여 주는 그는 다시 낡은 귀족 사회를 떠난다. 벨랴예프의 도착과 출발로 극이 시작되고 끝나는 구조는 작품을 유희적 소동으로 마무리 짓는 한편 이 드라마가 결국 현실의 변화라기보다 감정의 파문에 그친다는 점을 암시한다.
〈시골에서의 한 달〉은 투르게네프 자신의 연애 경험, 특히 유부녀인 오페라 가수 폴리나 비아르도와의 이루어질 수 없는 사랑을 반영한 자전적 작품이기도 하다. 라키틴의 무기력한 짝사랑은 작가 자신의 내면을 비추는 거울처럼 읽히며 그로 인해 이 작품은 더욱 감정의 깊이를 획득한다.
최초 창작 후 여러 차례 검열과 수정 과정을 거친 이 희곡은 1855년 잡지 《동시대인》에 실렸으며, 무대 초연은 1872년 모스크바 ‘말리 극장’에서 이루어졌다. 이후 20세기 초 체호프와 모스크바 예술극장을 통해 다시 조명받으며 러시아 희곡의 또 다른 전통으로 자리매김했다.
〈시골에서의 한 달〉은 단순한 삼각관계 연애극을 넘어, 현실과 욕망, 유희와 권태, 세대 간 인식의 간극을 조용하지만 치열하게 담아낸 작품이다. 투르게네프가 희극의 형식을 빌려 보여 준 이 ‘작은 드라마’는, 오늘날에도 우리 각자의 내면 풍경을 조용히 비춰 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