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도 잘하는 아이는 무엇이 다른가?
공부의 기술, 행복의 기술
2024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에서 챗GPT 등 AI 모델을 활용해 예측한 결과, 역대 최대인 27.9조로 나타났다. 우리나라 사교육의 메카인 대치동 학원가에선 유치원생이나 초등학생에게 중고교 수학이나 대학 영어를 가르치는 과도한 선행학습이 판을 치고 있고, 입시 교육에 정평이 난 학원들의 경우 입학 경쟁이 치열해 웬만한 대학에 들어가는 것보다 힘든 지경에 이르렀다.
대한민국 부모는 단순히 자녀가 높은 성적을 받는 것만으로 불안감을 해소할 수 없다. ‘공부를 잘하는 것’과 ‘행복하게 잘 사는 것’ 사이에서 고민하는 많은 부모를 위해 11명의 교육 전문가가 모였다. 초등교사, 교과서 검토 위원, 학원 강사 등등 11명의 교육 전문가가 공부의 본질부터 아이들의 성장에 필요한 교육 방법과 지침을 이 책에 고스란히 담았다.
150년 교육 경력을 바탕으로 AI 시대에도 통하는, 우리 아이들의 행복한 성장을 위한 실천적인 학습법을 통해 어떻게 하면 내 아이가 경쟁에서 뒤처지지 않으면서도 행복한 공부를 할 수 있을지, 공부법을 넘어 아이의 인성과 감성까지 돌볼 수 있는 통합적 교육 접근법을 제시한다.
결국 해내는 아이들만의 비밀
내 아이에게 딱 맞는 학습 전략
4차 산업혁명과 함께 사회는 빠르게 변하고 있다. AI 시대에는 단순히 성적만 좋아서는 잘 살 수 없다. 창의력, 문제 해결 능력, 협업 능력과 같은 소프트 스킬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다. 특히 초등학교 시기는 이러한 미래 역량을 기르기에 가장 적합하다. 뇌 발달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이 시기에 다양한 경험과 활동을 통해 사고력과 창의력을 키우면 평생의 경쟁력이 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는 자유롭게 그림을 그리고 클레이로 만드는 ‘미술 활동’과, 다양한 장르의 책을 읽고 나서 주제에 관하여 이야기를 나누는 ‘독서와 토론’, 블록을 이용한 구조물 만들기 등 ‘문제 해결 놀이’를 들 수 있다.
특히 우리 아이들이 ‘AI를 이기는 경쟁력을 가진’ 아이들이 되려면 ‘공감력’과 ‘상상력’을 키워줘야 한다. AI는 데이터 기반으로 분석하고 예측하는 데 뛰어나지만, 인간처럼 타인의 감정과 상황을 진심으로 이해하고 공감하는 능력은 가질 수 없기 때문이다.
이 책에서는 공감력과 상상력을 키우는 방법과 함께 디지털 시대의 교육 전략, 아이들의 돈 공부까지 학습을 넘어 인생을 살아가는 데 꼭 필요한 것들을 배울 수 있게 정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