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군은 어떻게 만들어지고 몰락하는가
반정은 본래의 바른 상태로 돌아가는 것을 말한다. 1506년 9월, 폭군 연산을 왕위에서 몰아내고 이복동생 진성대군을 옹립하는 의거가 성공을 거두었다. 중종반정의 주역은 사대부들이었지만, 그 원동력은 미친 폭정을 청산하고 바른 정치를 해주기를 바라는 민심의 폭발이었다. 민심은 묘한 것이다. 폭군이 미쳐 날뛰자 오히려 모반의 기운이 피어올랐다. 민심이 폭발하자 사대부들의 공론도 들끓었다. 폭군에게 충성 맹세를 한 조정 대신과 왕의 측근들도 흔들리기 시작했다. 그렇게 반정의 불길이 타올랐다.
1506년 9월 1일부터 3일. 그날 역사는 뒤집어지고 바로 세워졌다. 폭군 연산을 왕위에서 몰아내는 거사가 이루어졌고, 그의 이복동생 진성대군을 새 국왕으로 옹립했다. 반정의 주역은 사대부들이었지만, 그 원동력은 미친 폭정을 청산하고 바른 정치를 바라는 민심이었다.
반정에 직면해 그들은 무엇을 선택하고 어떻게 행동했을까? 이 책은 역사적 사실을 바탕으로 폭군을 축출하고 새로운 시대를 연 중종반정을 서로 다른 관점을 교차하여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유배길에 오른 문인에서 중종반정의 주역들, 반정의 소용돌이 속에서 운명이 뒤바뀐 여인들, 아버지가 이룩한 성리학적 통치 체제를 무너뜨린 연산군, 그리고 백성이 바라보았을 반정의 얼굴을 새롭게 복원한다.
연산군은 아랫사람이 간언하는 것을 극도로 혐오했다. 신하가 바른말이라며 임금에게 쓴소리하는 것을 죽여 마땅한 죄악으로 보았다. 입을 틀어막기 위해 상상을 초월하는 사화를 일으켰다. 특히 1504년 갑자사화는 생모 폐비 윤씨의 죽음을 빌미 삼아 신하들을 마구잡이로 도륙한 참극이었다. 어머니를 내세워 사화를 일으켰지만 진정한 의도는 따로 있었다.
폭군은 위를 능멸하는 풍속을 고쳐 없애겠다고 선포했다. 임금을 업신여기는 죄를 엄히 다스리겠다는 것이다. 과거의 기록을 샅샅이 뒤져 왕에게 쓴소리한 대신과 바른말을 한 언관들을 모조리 잡아들이게 했다. 이 사화로 대소신료와 선비 240여 명이 화를 입었다. 조선에 지옥도가 펼쳐졌지만, 폭군은 태평성대를 노래했다.
지금, 우리는 왜 중종반정을 돌아보는가
연산은 12년간 재위하면서 무오사화와 갑자사화 등 두 차례 친위 쿠데타를 일으켰다. 직언하는 신하들을 용납하지 않았으며, 자기 뜻에 순종하지 않는 이들을 억누르고 봉쇄했다. 이를 통해 왕권을 강화하고 신권을 제압했지만, 독단과 폭정으로 이어진 시대는 반정으로 몰락했다.
노벨문학상 수상 작가 한강은 “과거가 현재를 돌보고 죽은 사람이 산 사람을 살린다”고 했다. 우리는 과거를 통해 현재를 되짚고 미래를 내다본다. 과거와 현재, 미래는 서로에게 빛을 비추며 빛이 된다. 비극적인 역사는 결코 반복되어서는 안 되며, 그러기 위해 지난 시대를 직시하고 잊지 말아야 한다. 서로 다른 관점으로 중종반정을 들여다본 《반정의 얼굴》. 이 책은 지난 역사를 새롭게 복원하면서도 바른 정치란 무엇이며 누구를 위한 것이어야 하는지 되짚어 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