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완전한 AI를 다 믿을 수 있을까?
학생들이 가질 수 있는 현실적인 질문을 바탕으로 인공지능 시대의 공부와 학교생활의 의미를 되짚는다. AI가 많은 정보를 제공해 주더라도 공부는 여전히 필요하다. 그 이유는 첫째, AI는 완전하지 않기 때문이며, 둘째, AI를 잘 다루기 위한 지식이 필요하고, 셋째, 인간으로서 함께 살아가는 감성과 관계 역량은 AI가 대신할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책을 읽는 것이 왜 여전히 중요한지, 외국어는 AI 번역기로 대체 가능한지, AI로 공부할 수 있는데 학교는 왜 필요한지를 실제 사례를 통해 설득력 있게 설명한다. 저자는 AI를 활용하는 능력 자체도 공부를 통해 길러져야 한다고 강조하며, AI는 도구이지 목적이 아님을 분명히 한다. 또한 AI 시대에 교사가 무엇을, 어떻게 가르쳐야 할지를 다룬다. 교사는 더 이상 정보 전달자에 머무르지 않고, 학생의 학습을 이끌어주는 코치이자 조력자가 되어야 한다. 학생들이 AI를 잘 활용할 수 있도록 안내하고, AI가 제공하는 자료의 오류를 분별할 수 있도록 비판적 사고력을 길러주는 역할이 중요해진다. 또한 인공지능을 가르치기 위해 교사 자신이 무엇을 배우고, 교실 환경을 어떻게 갖추어야 하는지에 대한 구체적인 조언도 제시된다.
AI 시대 인간과 로봇이 공존하는 방안은?
AI와 로봇 기술이 결합해 만들어내는 사회 변화, 특히 직업과 노동의 변화, 윤리적 문제 등을 짚는다. AI와 로봇이 대체하는 일이 많아지면서 인간은 어떤 가치를 지녀야 하는지, 어떤 역량을 갖춰야 미래 사회에서 주도적인 존재가 될 수 있는지를 논의한다. AI 시대에 각광받는 직업, 법과 윤리 문제 등도 함께 다뤄져, 단지 기술이 아니라 사회 전체의 방향을 고민하게 만든다.
《우리 학교에 AI 선생님이 등장한다면?》은 AI 시대라는 거대한 파도를 마주한 오늘의 교육 현장을 위한 생생한 나침반이다. 챗GPT 같은 생성형 인공지능을 활용하면서도 비판적으로 이해해야 하는 청소년, 교사, 학부모들에게 현실적 조언과 성찰의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단지 기술의 소개서가 아니라, “우리는 AI와 함께 어떻게 살아갈 것인가”라는 교육적 질문에 대한 담론서이다. 인공지능을 기술이 아닌 인간의 문제로 다룬다는 점에서, 청소년 교양서 이상의 가치를 가진다.
인공지능이 교실 안으로 들어온다!
학생들은 말한다. “AI가 다 알려주는데, 왜 굳이 공부를 해야 하죠?”
그리고 어른들은 걱정한다. “이제 선생님의 역할은 어떻게 되는 걸까?”
이 책은 그런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두 아이의 아버지이자, 오랜 시간 교육과 진로를 연구해온 저자는 하루하루 빠르게 변화하는 기술의 흐름 속에서, 우리가 정말로 준비해야 할 교육은 무엇인지 고민하며, “지금 우리가 배우는 많은 것들이 당장에는 쓸모없어 보일지 모르지만, 그 배움이 쌓여야 미래의 기술도 이해할 수 있다.”라고 말한다. 예전에 배운 자동차 엔진의 구조가 스마트 모빌리티 강의를 준비할 때 실제로 도움이 되었던 것처럼 말이다.
인공지능 역시 마찬가지다.
이 책은 알고리즘, 컴퓨팅 파워, 빅데이터라는 AI의 기본 원리를 학생들도 이해할 수 있도록 쉽고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바둑 고수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결, 수십 년 전 슈퍼컴퓨터보다 수천만 배 빠른 스마트폰 이야기 등 흥미롭고 실제적인 예시를 통해 ‘AI는 그냥 되는 게 아니라, 배우고 훈련된 기술’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본격적으로 학생들의 질문에 답하기 시작한다.
“공부는 왜 해야 하나요?”
“책은 왜 읽어야 하죠?”
“AI로 번역하면 되는데 외국어는 왜 배워야 해요?”
“학교에 굳이 가야 하나요?”
저자는 이 질문들에 정면으로 답한다.
AI는 아직 완전하지 않으며, 비판적으로 정보를 바라보고, 윤리적으로 판단하며, 스스로 문제를 해결하려면 인간의 공부는 여전히 필요하다고 말한다.
책을 읽는 이유는 단순히 정보를 얻기 위해서가 아니라, AI에게 제대로 질문할 수 있는 힘을 갖기 위해서이며, 학교는 여전히 함께 배우고 성장하는 공간이기 때문에 절대 대체될 수 없다고 강조한다.
이 책은 단지 AI 기술을 설명하는 데서 그치지 않고, 오히려 그 기술이 인간의 삶을 어떻게 바꾸고, 그 변화 속에서 학생과 교사, 부모가 어떤 준비를 해야 하는지를 담담하면서도 따뜻하게 이끌어준다.
3장에서는 교사의 역할을 다시 묻는다.
“무엇을 가르치고,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
“AI 도구는 언제, 어떻게 학생에게 주는 것이 좋을까?”
여기서 저자는 교사는 더 이상 지식 전달자가 아니라, 학습을 설계하고, 학생을 코치하는 가이드이자 파트너가 되어야 한다고 말한다.
마지막 장에서는 더 깊은 질문을 꺼낸다.
“AI와 로봇이 모든 일을 대신한다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AI 시대에 인간의 일은 무엇이 남을까?”
그는 기술을 넘어 ‘인간다움’에 대해 이야기한다. 관계를 맺고, 공감하며,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내는 능력, 그것이 바로 우리가 계속해서 공부해야 하는 이유이며, 기술 시대에도 변하지 않을 배움의 본질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고.
이 책은 학생에게는 미래를 준비하는 눈을, 교사에게는 교실을 다시 바라보는 관점을, 부모에게는 자녀 교육의 방향을 제시해 준다. 단순한 AI 입문서도, 일반적인 교육 철학서도 아닌, AI와 인간이 함께 살아갈 시대를 위한 ‘교육 생활 안내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