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자부 스토리엔 구단 역사를 소개하는 코너도 준비했다. 시즌별 레이스 기록과 함께 ‘V리그 히스토리’를 구성하는 씨줄과 날줄이기 때문이다. 구단 역사에선 구단별 실업배구 시절까지 함께 다뤘다.
한국전력은 V리그와 실업배구를 통틀어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와 연혁을 자랑하는 팀이다. 팀은 2005시즌부터 2008/09시즌까지 리그 초창기엔 공기업이라는 이유로 아마추어 초청팀으로 뛰다가 2008/09시즌 준프로팀을 선언했다. 팀은 2021/2022시즌과 2022/23시즌 두 시즌 연속으로 정규리그 4위로 준플레이오프에 진출해 두 번 모두 3위 우리카드를 꺾고 플레이오프에 나섰다.
‘새로운 왕조’ 대한항공은 한국전력에 이어 두 번째로 오래된 팀 역사를 갖고 있다. 신영철 감독이 정식 사령탑에 부임한 2010/11시즌 대한항공은 마침내 정규리그 1위에 오르는 성과를 내고 프로 출범 후 처음으로 챔피언결정전에 올라갔다. 박기원 감독 체제에서 대한항공은 오랜 숙원을 풀었다. 2016/17시즌부터 2018/19시즌까지 연달아 챔피언결정전에 진출하며 다시 강팀으로 자리매김했다. 그 기간에 ‘왕조’의 초석을 단단히 다졌다. 이후 2020/21시즌부터 2023/24시즌까지 ‘4시즌 연속’으로 통합우승을 달성했다.
KB손해보험은 팀 명칭이 운영 주체와 연고지 이전 등에 따라 여러 차례 바뀌었다. 1982년 금성사로, 1992년 럭키화재로, 1995년 LG화재로, 2005/06시즌 구미 LG화재 그레이터스로, 2006/07시즌 LIG손해보험으로, 2015/06시즌 구미 KB손해보험 스타즈로, 2017/18시즌 의정부 KB손해보험 스타즈로 바뀌었다. 그러던 중 케이타가 구단 최고 전성기를 맞이하는 결정적인 계기가 된다. 2021/22시즌 KB손해보험은 케이타와 세터 황택의를 앞세워 돌풍을 일으켜 정규리그 2위로 플레이오프에 직행했다. 11시즌 만의 봄배구 진출이었다.
남자부뿐 아니라 프로배구 전체의 인기를 주도한 구단을 꼽으라면 역시 현대캐피탈이라 할 수 있다. 라이벌 삼성화재가 2007/08시즌부터 2013/14시즌까지 ‘7시즌 연속’으로 우승하며 실업 시절에 이어 다시 한 번 왕조를 구축하는 동안 현대캐피탈은 2007/08시즌부터 2009/10시즌까지 ‘3시즌 연속’으로 준우승에 만족해야 했다. 2015/16시즌 현대캐피탈은 최태웅 감독 체제 아래 정규리그 1위를 차지하고 이후 2016/17시즌과 2018/19시즌 챔피언결정전에서 우승하는 성과를 냈다. 성적과 별개로 팀은 리그에서 남녀부를 통틀어 가장 적극적이고 친화적인 팬서비스를 하는 팀으로도 유명하다.
삼성화재는 1997년 슈퍼리그에 처음 참가하자마자 바로 정상에 올랐다. 이후 프로 출범 직전까지 ‘8회 연속’으로 슈퍼리그 우승을 차지하며 절대 1강 체제를 굳혔다. 프로에선 훌륭한 외국인 선수들을 선발한 덕에 전성기를 맞이했다. 안젤코와 가빈, 레오 등이 순차적으로 등장해 2007/08시즌부터 2013/14시즌까지 ‘7시즌 연속 챔피언결정전 우승’을 차지했다. 그때 최태웅과 유광우가 세터 자리를 안정적으로 지키고 여오현이 수비와 리시브를 든든히 책임졌다. 석진욱과 손재홍이 버티는 아웃사이드 히터진도 단단했다. 하지만 2018/19시즌부터 2024/25시즌까지 ‘7시즌 연속’으로 봄배구에 나서지 못하는 암흑기에 접어들었다.
우리카드는 리그가 출범한 뒤 첫 번째로 생긴 신생 팀이다. 2015/16시즌 개막을 앞두고 우리카드는 3년간의 아산 생활을 마치고 다시 서울로 돌아왔다. 팀은 2018/19시즌에 3위로 정규리그를 마쳐 마침내 팀 창단 10년 만에 처음으로 봄배구에 나섰다. 그리고 2019/20시즌에는 정규리그 1위에 올랐다. 그렇게 ‘6시즌 연속’으로 포스트시즌에 진출했다.
리그 역사상 가장 인상 깊은 팀을 꼽자면 OK저축은행이 빠지지 않는다. 2014/15시즌 그해 OK저축은행은 돌풍을 일으켰다. 외국인 선수로 영입한 시몬의 효과가 엄청났다. 이민규와 송명근, 송희채, 김규민, 정성현 등 패기 넘치는 젊은 선수들 사이에 시몬이 합류하자 제대로 시너지 효과가 났다. 그렇게 팀은 창단 2시즌 만에 챔피언결정전 우승 트로피를 들어 올렸다. 하지만 시몬이 떠난 뒤 성적이 곤두박질을 쳤다. 2020/21시즌 5시즌 만에 다시 봄배구에 진출하지만 이후 다시 봄배구와 거리가 멀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