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다중언어·다문화 사회에서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방향

다중언어·다문화 사회에서 한국어 교육의 역할과 방향

  • 정임숙
  • |
  • 공앤박
  • |
  • 2025-05-30 출간
  • |
  • 528페이지
  • |
  • 185 X 245mm
  • |
  • ISBN 9788997134700
판매가

35,000원

즉시할인가

33,9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3,9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본 논문집은 총 6부로 구성되었다. 1부에서는 다문화 및 다중언어 환경 속에서 한국어 교육의 과제와 가능성을 교육 현장의 생생한 사례들을 통해 제시하며, 2부에서는 문학·역사·문화와의 통합 교육을 중심으로 문화 간 이해를 심화하는 다양한 교수 전략을 소개한다. 3부에서는 언어의 구조적 요소에 주목하여 발음·문법·화용 등의 요소가 다양한 언어 배경을 지닌 학습자에게 어떻게 수용되고 변용되는지를 면밀히 분석하였고, 4부에서는 한국어 교재 및 교육과정 개발을 중심으로 유럽과 그 외 지역의 현장에 적합한 커리큘럼 및 자율 학습용 자료 개발의 실제를 담았다. 5부에서는 다중언어 사용자들을 위한 웹툰 번역 수업, 게임 기반 학습, 디지털 콘텐츠 활용 등 번역 교육의 실험적 실천을, 6부에서는 한자 교육을 중심으로 한 한국어 어휘 교육의 가능성을 조망하며 한자어 간 상호 이해력을 통한 학습 전략 및 한자 유래 어휘를 활용한 어휘 추론 교육 모델 등 다층적 어휘 교육의 방향을 제시한다.

이번 논문집은 단순한 학술 성과물의 차원을 넘어 한국어 교육을 둘러싼 담론이 세계 각지의 교육 현장에서 구체적으로 어떻게 실천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학문 공동체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지를 생생히 증언하는 기록이기도 하다. 나아가 한국어 교육이 단일 언어·단일 문화적 관점을 넘어 다언어성과 상호 문화성을 기반으로 학제 간 융합과 지역 간 연대를 실현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소중한 실천의 결과이다.


저자 소개

ㆍ 김정아_한국 이화여자대학교(Ewha Womans University)
ㆍ 최호중_미국 프린스턴대학교(Princeton University)
ㆍ 김태나_미국 프린스턴대학교(Princeton University)
ㆍ 김지영_한국 연세대학교(Yonsei University)
ㆍ 심주희_한국 연세대학교(Yonsei University)
ㆍ 최인나(Inna Tsoy)_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국립대학교(Санкт-Петербургский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университет)
ㆍ 강하나_미국 노터데임대학교(University of Notre Dame)
ㆍ 김인희_미국 노스웨스턴대학교(Northwestern University)
ㆍ 김혜란_러시아 모스크바고등경제대학교/국립인문학대학교(Национальный 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университет «Высшая школа экономики»)
ㆍ 홍정은_미국 로스앤젤레스시티칼리지(Los Angeles City College)
ㆍ 박찬영_미국 매사추세츠대학교 애머스트(University of Massachusetts Amherst)
ㆍ 공나형_한국 연세대학교(Yonsei University)
ㆍ 박손수민_스페인 살라망카대학교(Universidad de Salamanca)
ㆍ 원혜원_프랑스 리옹 3 대학교(Université Jean Moulin Lyon 3)
ㆍ 최은희_포르투갈 리스본대학교(Universidade de Lisboa)
ㆍ 김보경_핀란드 헬싱키대학교(Helsingin yliopisto)
ㆍ 류현숙_슬로베니아 류블랴나대학교(University of Ljubljana)
ㆍ 강신형_오스트리아 인스부르크대학교(Universität Innsbruck)
ㆍ 이보람_프랑스 소르본 누벨대학교/국립동양언어문화대학교(Université Sorbonne Nouvelle/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
ㆍ 권기현_프랑스 국립동양언어문화대학교(Institut National des Langues et Civilisations Orientales)
ㆍ 오아림_한국 이화여자대학교(Ewha Womans University)
ㆍ 이리나 숄레바(Irina Sholeva)_불가리아 소피아대학교(Sofia University)
ㆍ 이상숙_이탈리아 카포스카리 베네치아대학교(Università Ca" Foscari Venezia)
ㆍ 강순행_이탈리아 카포스카리 베네치아대학교(Università Ca" Foscari Venezia)
ㆍ 김혜진_한국 한국외국어대학교(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ㆍ 한이슬_한국 한국외국어대학교(Hankuk University of Foreign Studies)
ㆍ 이안구_일본 오카야마대학교(岡山大學)
ㆍ 응우옌 크리스티나(Krisztina Nguyen)_헝가리 외트뵈시로란드대학교(Eötvös Loránd Tudományegyetem)
ㆍ 메르베 카흐르만 외즈데미르(Merve Kahrıman Özdemir)_튀르키예 이스탄불대학교(İstanbul Üniversitesi)
ㆍ 이정덕_한국 서울대학교(Seoul National University)
ㆍ 이정화_한국 서울대학교(Seoul National University)
ㆍ 이채영_프랑스 파리 시테대학교(Université Paris Cité)
ㆍ 간세희_이탈리아 시에나외국인대학교(Università per Stranieri di Siena)
ㆍ 주경옥_우크라이나 타라스 셰우첸코 키이우국립대학교(Київський національний університет імені Тараса Шевченка)
ㆍ 이종원_영국 워릭대학교(University of Warwick)
ㆍ 정귀임_한국 경희사이버대학교(Kyung Hee Cyber University)
ㆍ 김경분_일본 메이세이대학교(明星大学)
ㆍ 마쯔자키 마히루(松崎真日)_일본 간세이가쿠인대학교(関西学院大学)
ㆍ 윤수미_일본 후쿠오카대학교(福岡大学)
ㆍ 고지마 다이키(小島大輝)_일본 긴키대학교(近畿大学)
ㆍ 윤재원_독일 보훔 루르대학교(Ruhr-Universität Bochum)
ㆍ 백영경_홍콩대학교(The University of Hong Kong)
ㆍ 이민경_네덜란드 레이던대학교(Universiteit Leiden)
ㆍ 알리예바 바하르(Aliyeva Bahar)_아제르바이잔 국립언어대학교(Azərbaycan Dillər Universiteti)
ㆍ 일라리아 라내(Ilaria Lanè)_이탈리아 시에나외국인대학교(Università per Stranieri di Siena)
ㆍ 파브리치오 마르쿠치(Fabrizio Marcucci)_이탈리아 시에나외국인대학교(Università per Stranieri di Siena)
ㆍ 키아라 팔룸보(Chiara Palumbo)_이탈리아 시에나외국인대학교(Università per Stranieri di Siena)
ㆍ 이상금_한국 부산대학교(Pusan National University)
ㆍ 이효진_이탈리아 카포스카리 베네치아대학교(Università Ca" Foscari Venezia)
ㆍ 최지지_영국 셰필드대학교(University of Sheffield)
ㆍ 명성욱_이탈리아 카포스카리 베네치아대학교(Università Ca" Foscari Venezia)
ㆍ 다니엘레 디 파스쿠알레(Daniele Di Pasquale)_이탈리아 사피엔차 로마대학교(Sapienza Università di Roma)

목차

머리말 - 4

I. 다문화 및 다중언어 환경과 한국어 교육
1. 다중언어 다문화 사회에서 제3언어로서 한국어 교육의 필요성 - 14
2. 다문화 사회에서 언어적 문화적 상호작용을 위한 한국어 교육-민화를 활용한 DEIB 중심 교수 - 30
3. 다문화 사회 한국어 교수자 제스처에 관한 교육적 제언 - 45
4. 다문화 교실에서 한국어 교육을 위한 은유적(메타포릭) 카드 사용 - 62
5. Navigating Identities: Motivations and Engagement of Generation Z U.S. College Korean Language Learners in Multifaceted Language Environments - 71
6. 한국의 다문화 사회 현상과 국제적 역량을 지닌 다문화 자녀 교육 발전 방향 - 90
7. Hangeul as Ideology for Accessibility and Equity - 106

II. 문화, 문학, 역사와 한국어 교육
1. 고급 한국어 수업에서 한국사 통합 교육 방안 - 116
2. Reinterpreting Korean Modern Novels for Ecological Identity Formation in Marriage Immigrant Women: A Focus on Hwang Sun-won’s Sonagi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 126
3. The Role of Culture in Learn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A Didactic Proposal - 140
4. 외국인 학습자의 한국 문화 인식과 스테레오 타입-프랑스 내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 154
5. 대학에서의 한국어 수업에 한국 대중문화가 미치는 영향-리스본대학교와 헬싱키대학교를 중심으로 - 167
6. 슬로베니아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어에 대한 이미지 분석-류블랴나대학교 한국어 수강생 설문 조사를 바탕으로 - 179

III. 문법, 발음, 화용과 한국어 교육
1. 다중언어 사회에서 한국어 발음 교육의 방법론 - 196
2. 프랑스인 한국어 L2 학습자의 평음, 격음, 경음의 발화 습득 과정과 패턴-음성 단서 가중치(Phonetic cue-weighting)를 중심으로 - 205
3. 한국어 문법 교육을 위한 이유 표현 의미 자질 연구-‘-아서/어서’, ‘-(으)니까’, ‘-기 때문에’를 중심으로 - 218
4. 불가리아인 한국어 학습자의 대화 함축 해석 능력에 대한 연구 - 230
5. 이탈리아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으)ㄹ 때’ 교육 - 243
6. E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the Korean Morphemes ‘-었’(-eoss) and ‘-었었-’(-eosseoss-) to Italian Learners - 253

IV. 한국어 교재 및 교육 과정과 한국어 교육
1. 그리스의 한국어 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 286
2. 일본 고등학교의 한국어 수업 과목명에 대하여 - 297
3. Current Trends of Korean Language and Culture Education in Hungary: Exploring Students’ Needs in Undergraduate Language Courses - 309
4. 튀르키예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확장형 읽기 교육 방법 연구-이스탄불대학교 한국어문학과 학습자를 중심으로 - 325
5. 상호문화 교육 관점의 한국어 문화 수업 모형 개발-《서울대 한국어 플러스》를 중심으로 - 339
6. 유럽의 취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독학용 여행 한국어 교재 개발 연구 - 353
7. 회화 관리 능력 육성을 위한 교재 개발 연구 - 365

V. 혁신적인 한국어 교육 방안
1. 다중언어 다문화 사회에 대응한 독일 보훔 루르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실천 사례-학생 개별 맞춤형 교재 개발 및 신진 작가 웹툰 번역 수업 사례 발표 - 376
2. 다중언어 사용자(Multilingual)의 기계 번역 사용 양상 연구-홍콩 내 학습자를 중심으로 - 389
3. 호칭어 및 지칭어로서 ‘선배’의 아제르바이잔어 번역 전략 - 401
4. Translating Korean Text: A Practice for Teaching and Learning the Language - 410
5. Korean Language Learning through Tabletop Role-playing Games in a Digital World - 422
6. The Publishing Industry in South Korea: Digital Education - 443

Ⅵ. 한자와 한국어 교육
1. 외국어로서 한국어 학습에서의 한자 교육 II - 460
2. 유럽 내 한국어 수업에서의 한자 교육에 관한 시범적 연구-이탈리아 카포스카리대학교 석사 과정 학생들의 한자 인식을 중심으로 - 475
3. Potential Applicability of Intercomprehension for Sino-Korean Words and Loanwords - 489
4. Exploring Effective Approaches to Sino-Korean Vocabulary Education in KFL: Hanja-derived Morphemes for Vocabulary Inferencing and Acquisition - 50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