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북몽쇄언 2

북몽쇄언 2

  • 손광헌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25-05-30 출간
  • |
  • 713페이지
  • |
  • 128 X 188 X 33mm
  • |
  • ISBN 9791143004628
판매가

34,800원

즉시할인가

31,3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1,32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천년의 세월을 넘어 생생하게 부활한 역사의 기록, 《북몽쇄언》 세계 최초 완역!
《북몽쇄언(北夢瑣言)》은 "몽택(夢澤) 북쪽에서 기록한 자질구레한 이야기"라는 겸손한 제목과 달리, 당나라 말부터 오대십국을 거쳐 북송 초에 이르는 격동기의 중국사를 생생하게 담아낸 귀중한 역사서다. 문인 손광헌(孫光憲)이 직접 보고 듣고 수집한 399조의 방대한 이야기는 당시의 정치적 격변, 문인들의 풍류와 고뇌, 그리고 생생한 사회 풍속까지 아우르며 1000년 전의 세상을 우리 앞에 펼쳐 보인다.
이 책은 단순한 일화집을 넘어선 깊이 있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구오대사(舊五代史)》,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고이(資治通鑑考異)》, 구양수(歐陽修)의 《신오대사(新五代史)》 등 정통 역사서들이 《북몽쇄언》의 기록을 인용하며 그 신뢰성을 입증했다. 또한 당나라와 오대의 유명 문인들의 흥미로운 이야기와 작품 배경을 알려 주는 문학사적 보고(寶庫)이기도 하며, 후대 소설과 희곡 창작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현존하는 20권본에 실리지 않은 90조의 귀중한 일문(逸文)을 《태평광기(太平廣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사라질 뻔했던 역사의 조각들을 복원하는 데 기여한다.
손광헌은 단순한 기록자를 넘어, 날카로운 관찰자이자 비판자였다. 그는 환관의 전횡, 과거 부정, 관리들의 부패와 같은 사회 부조리를 가감 없이 폭로하며 후세에 경계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했다. 그의 "보광자왈(葆光子曰)"이라는 평어는 사건의 이면을 꿰뚫는 통찰을 보여 주며, 역사를 통해 현재를 성찰하게 하는 힘을 지닌다.
이번에 선보이는 《북몽쇄언》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운 최초의 완역본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대중적 의미가 매우 크다. 옮긴이 김장환 교수는 청대 《운자재감총서(雲自在龕叢書)》본을 저본으로 해서 본문 20권 327조와 《태평광기》에서 집록한 일문 4권 90조, 그리고 저본에 실리지 않은 일문보(逸文補) 1조까지 충실히 번역하고 상세한 주석과 교감을 더했다. 또한 역대 서지 기록과 서문, 발문 등을 부록으로 실어 독자들의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다. 자얼창(賈二强)의 교점본을 주요 참고 자료로 활용해 학술적 완성도를 높였다. 혼란과 변화의 시대를 기록한 이 귀중한 문헌을 통해, 독자들은 과거의 지혜를 배우고 현재를 살아가는 통찰을 얻게 될 것이다.

목차

권11
11-1(193) 장직방이 배휴를 칭찬하다(張直方譽裴休)
11-2(194) 설 시랑이 종이로 새매를 싸다(薛侍郞紙裹鷂子)
11-3(195) 진사단의 담당 관리가 오히려 최 장원을 벌주다(進士團所由倒罰崔狀元)
11-4(196) 정하가 최아를 위해 상복을 입다(程賀爲崔亞持服)
11-5(197) 태위 고병이 남만의 재상을 붙잡으라고 청한 일(高太尉騈請留蠻宰相事)
11-6(198) 하후 상이 방중술로 인해 죽다(夏侯相以術而殂)
11-7(199) 장금오가 위세로 법술을 취하다(張金吾威勢取術)
11-8(200) 채전이 황당무계한 일을 하다(蔡畋虛誕)
11-9(201) 신도 별가의 법술이 부른 화(申屠別駕術禍)
11-10(202) 종소자의 단약이 부른 재앙(宗小子藥妖)
11-11(203) 상서 이벽이 율승을 처형하다(李璧尙書戮律僧)
11-12(204) 최현량이 구름과 학을 내려오게 하다(崔玄亮降雲鶴)
11-13(205) 관삼랑이 관으로 들어오다(關三郞入關)
11-14(206) 바라고 흠모하며 벼슬길에 나아가길 구하다(希慕求進)
11-15(207) 피눈물을 흘리다(垂血淚)
11-16(208) 정신병도 문장을 방해하지 못하다(心疾不妨文章)

권12
12-1(209) 노반의 신혼이 뛰어나다(盧潘神俊)
12-2(210) 양수가 선도를 배우지 않다(楊收不學仙)
12-3(211) 장씨 아들이 좀 벌레를 본받다(張氏子斆壁魚)
12-4(212) 유 대부가 글값을 받지 않다(柳大夫不受潤筆)
12-5(213) 양인이 관상술을 의심하다(楊寅疑相術)
12-6(214) 양표가 대고신의 배필이 되다(楊鑣偶大姑神)
12-7(215) 유씨 아들의 복두각(柳氏子幞頭腳)
12-8(216) 철보궐이 올곧고 담박하다(鐵補闕貞澹)
12-9(217) 장임이 농담을 많이 하다(張林多戲)
12-10(218) 심 상서가 비명횡사하다(沈尙書非命)
12-11(219) 사도 왕잠이 지전을 태우다(王潛司徒燒紙錢)
12-12(220) 최 종사가 사당 신에게서 약을 받다(崔從事爲廟神賜藥)
12-13(221) 장경이 사당 신을 위해 상주문을 지어 주다(張璟爲靈廟草奏)
12-14(222) 산수의 신이 정직하다(滻水神正直)
12-15(223) 두씨의 산언덕을 파낸 일(塹杜氏山岡事)
12-16(224) 족제비의 지혜(鼠狼智)

권13
13-1(225) 비적이 영공을 겁살하다(草賊刼令公)
13-2(226) 왕중영이 두 절도사를 축출하다(王重榮逐兩帥)
13-3(227) 정문공이 은혜에 보답하다(鄭文公報恩)
13-4(228) 한간이 강론을 듣다(韓簡聽書)
13-5(229) 맹방립이 고향에 대한 예를 표하다(孟方立陳桑梓禮)
13-6(230) 천둥과 번개가 왕용을 구하다(雷電救王鎔)
13-7(231) 이전충의 집에서 세 마디의 갈대가 자라다(李全忠蘆生三節)
13-8(232) 장건장이 바다를 건너다가 선녀를 만나다(張建章泛海遇仙)

권14
14-1(233) 이무정이 군주를 위협하고 재상을 죽이다(李茂貞脅君殺宰相)
14-2(234) 세 진장이 병사를 이끌고 와서 두 재상을 죽이다(三鎭擁兵殺二相)
14-3(235) 유장의 성패(儒將成敗)
14-4(236) 번진의 종사가 조정의 본성에서 상서하다(外藩從事於東 一作本 省上事)
14-5(237) 한건의 시말(韓建始終)
14-6(238) 공위가 염철인을 아까워하다(孔緯惜鹽鐵印)
14-7(239) 신이 나홍신에게 고하다(神告羅弘信)
14-8(240) 연왕 유인공의 특이한 꿈(燕王劉仁恭異夢)

권15
15-1(241) 털옷을 걸치고 궁전 문에 이르다(披褐至殿門)
15-2(242) 주전충이 봉상에서 어가를 영접하다(朱全忠迎駕於鳳翔)
15-3(243) 한건이 이거천을 팔아넘기다(韓建賣李巨川)
15-4(244) 천자가 훈신에게 시를 하사하다(天子賜勳臣詩)
15-5(245) 주 영공이 소종을 위해 말을 끌다(朱令公爲昭宗攏馬)
15-6(246) 소종이 시해당하다(昭宗遇弒)
15-7(247) 덕왕을 죽이길 청하다(請殺德王)
15-8(248) 조정 신하를 모해하다(謀害衣冠)
15-9(249) 하 태후를 무고하다(誣何太后)
15-10(250) 당숙모를 위해 병시중을 들다(爲堂叔母侍疾)
15-11(251) 진종권이 모반하지 않았다고 호소하다(秦宗權訴不反)
15-12(252) 이마운이 바리때를 내던지고 군대에 종사하다(李摩雲擲鉢從事)

권16
16-1(253) 술로 화를 부르다(以酒致禍)
16-2(254) 전촉의 사신이 통 크게 술을 마시다(蜀使洪飮)
16-3(255) 주근이 형을 살해하다(朱瑾殺兄)
16-4(256) 마경이 속임수를 펼치다(馬景設詐)
16-5(257) 주연수의 부인 왕씨는 열녀다(朱延壽妻王烈女)
16-6(258) 목성이 남두성으로 들어가다(木星入斗)
16-7(259) 나무 속의 특이한 글(木中異文)
16-8(260) 설이구의 화찬(薛貽矩畫讚)
16-9(261) 용마채(舂磨寨)
16-10(262) 양조가 위난에서 벗어나다(梁祖脫難)
16-11(263) 양조가 정회의 꿈을 꾸다(梁祖夢丁會)
16-12(264) 궁전의 용마루가 부러져 떨어지다(殿棟折墜)
16-13(265) 양조가 조강현을 포위한 일(梁祖圍棗強事)
16-14(266) 구은을 불러 점을 치다(仇殷召課)

권17
17-1(267) 양조가 고용살이하다(梁祖爲傭保)
17-2(268) 양조의 장 부인(梁祖張夫人)
17-3(269) 주야의 선대(朱邪先代)
17-4(270) 친왕이 번후에게 배례하다(親王拜蕃侯)
17-5(271) 이습길이 황하에 빠지다(李襲吉溺黃河)
17-6(272) 주식이 양조를 저지하다(周式抗梁祖)
17-7(273) 환관의 음모(宦官陰謀)
17-8(274) 진왕이 상원역에서 위난을 만나다(晉王上源驛遇難)
17-9(275) 유심이 옛 주군에게 충성하다(劉鄩忠于舊主)
17-10(276) 소종의 시호를 논박하다(駁昭宗謚號)
17-11(277) 진 세자가 입조해 황제를 알현하고 물새 술잔을 하사받다(晉世子入覲賜鸂酒器)
17-12(278) 업왕의 《투강동》 시(鄴王《偷江東》詩)
17-13(279) 위박의 아군(魏博衙軍)
17-14(280) 나귀에 인형을 묶고 깃발을 꽂다(縛驢戴旗)

권18
18-1(281) 양천랑(楊千郞)
18-2(282) 배 속의 태아가 말하다(娠子能語)
18-3(283) 명종이 자랑하지 않다(明宗不伐)
18-4(284) 명종 자신만의 견해(明宗獨見)
18-5(285) 장종의 여러 동생이 해를 당하다(莊宗諸弟遇害)
18-6(286) 유 황후가 아비를 볼기 치다(劉皇后笞父)
18-7(287) 명종이 여러 흉악한 자를 주살하다(明宗誅諸兇)
18-8(288) 한씨와 이씨 두 비(韓·伊二妃)
18-9(289) 공훈에 보답할 벼슬자리가 없다(無官酬勳)
18-10(290) 명종이 재상을 임명하다(明宗命相)
18-11(291) 명종의 의용(明宗睿相)
18-12(292) 명종이 탐관을 싫어하다(明宗惡貪吏)
18-13(293) 불효자를 주살하다(誅不孝)
18-14(294) 안중회가 임환을 억울하게 죽이다(安重誨枉殺任圜)

권19
19-1(295) 옥계척(玉界尺)
19-2(296) 주현표(周玄豹)
19-3(297) 늙을수록 더욱 탐욕스러워지다(老益貪)
19-4(298) 해원귀가 시를 바치다(解元龜進詩)
19-5(299) 사리를 쳐서 부수다(擊碎舍利)
19-6(300) 최협이 황제의 질문에 대답하다(崔協對敭)
19-7(301) 항룡 대사(降龍大師)
19-8(302) 물고기 눈으로 사리를 만들다(魚目爲舍利)
19-9(303) 요홍의 충렬(姚洪忠烈)
19-10(304) 좌주와 문생이 함께 한림원에 들어가다(座主門生同入翰林)
19-11(305) 소희보를 희롱하다(戲蕭希甫)
19-12(306) 명종이 풍도를 칭찬하다(明宗獎馮道)
19-13(307) 명종이 진왕을 훈계하다(明宗戒秦王)
19-14(308) 해학이 누가 되다(詼諧所累)
19-15(309) 명종이 말 진상을 좋아하지 않다(明宗不樂進馬)
19-16(310) 강징의 상소문(康澄章疏)
19-17(311) 명종이 맹곡을 풍자하다(明宗諷孟鵠)
19-18(312) 정연휘를 처형하다(戮丁延徽)

권20
20-1(313) 말을 보고 넓적다리를 치다(見馬撫髀)
20-2(314) 뇌물을 받아 법을 어기다(受賂曲法)
20-3(315) 일을 통해 간언을 받아들이게 하다(因事納諫)
20-4(316) 진왕이 경박하다(秦王輕佻)
20-5(317) 심휘의 〈곡강음〉(沈徽〈曲江吟〉)
20-6(318) 강지가 부친을 알아보다(姜誌認父)
20-7(319) 왕씨의 아들이 전생을 알다(王氏子知前生)
20-8(320) 서부가 세 번 쫓겨나고 세 번 대우받다(舒溥三斥三遇)
20-9(321) 박사 두하(杜何博士)
20-10(322) 위손이 나약하고 우둔하다(韋巽尪鈍)
20-11(323) 중령이 욕망을 참다(中令忍欲)
20-12(324) 하견귀(何見鬼)
20-13(325) 손난재(孫卵齋)
20-14(326) 풍견귀(馮見鬼)
20-15(327) 휴공이 진솔하다(休公眞率)

일문(逸文)
권1
일1-1(01) 양운외(楊雲外)
일1-2(02) 상은(向隱)
일1-3(03) 강신(強紳)
일1-4(04) 팽정근(彭釘筋)
일1-5(05) 정산고(鄭山古)
일1-6(06) 마처겸(馬處謙)
일1-7(07) 황만호(黃萬戶)
일1-8(08) 회준(懷濬)
일1-9(09) 심신(沈申)
일1-10(10) 위 처사(韋處士)
일1-11(11) 배원(裴垣)
일1-12(12) 공승통(公乘通)
일1-13(13) 호남 마씨(湖南馬氏)
일1-14(14) 고언랑(顧彥朗)
일1-15(15) 양정부(楊鼎夫)
일1-16(16) 우희제(牛希濟)
일1-17(17) 당나라의 윤달(唐國閏)
일1-18(18) 장 효자(章孝子)
일1-19(19) 허종예(許宗裔)
일1-20(20) 진경선(陳敬瑄)

권2
일2-1(21) 장경(張勍)
일2-2(22) 왕건(王建)
일2-3(23) 왕배우(王俳優)
일2-4(24) 주귀우(周歸祐)
일2-5(25) 허적(許寂)
일2-6(26) 정 수재(丁秀才)
일2-7(27) 한정사(韓定辭)
일2-8(28) 대병(大餅)
일2-9(29) 소증(蘇拯)
일2-10(30) 고계창(高季昌)
일2-11(31) 마처겸(馬處謙)
일2-12(32) 손광헌(孫光憲)
일2-13(33) 진주 철탑(鎭州鐵塔)
일2-14(34) 왕사성(王舍城)
일2-15(35) 고형(顧夐)
일2-16(36) 망령된 세 사람(三妄人)
거울을 알지 못하다(不識鏡)

권3
일3-1(37) 노덕연(路德延)
일3-2(38) 서천 사람(西川人)
일3-3(39) 위형과 설택이 고씨를 무시하다(韋·薛輕高氏)
일3-4(40) 노정(盧程)
일3-5(41) 왕선주가 멸시당하다(王先主遭輕薄)
일3-6(42) 손광헌(孫光憲)
일3-7(43) 주애(周藹)
일3-8(44) 정기(鄭起)
일3-9(45) 우 세존(于世尊)
일3-10(46) 불광을 붙잡은 일(捉佛光事)
일3-11(47) 대륜주(大輪呪)
일3-12(48) 장경(張璟)
일3-13(49) 최 종사(崔從事)
일3-14(50) 관승단의 처(關承湍妻)
일3-15(51) 마희성(馬希聲)
일3-16(52) 청태주(淸泰主)
일3-17(53) 벽산신(壁山神)
일3-18(54) 이재인(李載仁)
일3-19(55) 유조(劉璪)
일3-20(56) 이구(李矩)
일3-21(57) 도복(陶福)
일3-22(58) 승 언소(僧彥翛)
일3-23(59) 왕촉 선주(王蜀先主)
일3-24(60) 승 언선(僧彥先)
일3-25(61) 임한의 돼지(臨漢豕)
일3-26(62) 천공단(天公壇)

권4
일4-1(63) 진현(陳絢)
일4-2(64) 자랑(子朗)
일4-3(65) 장언(張彥)
일4-4(66) 세 송이 상서로운 연꽃(三朶瑞蓮)
일4-5(67) 독버섯(毒菌)
일4-6(68) 용을 불사르다(燒龍)
일4-7(69) 이선(李宣)
일4-8(70) 몽양의 못(濛陽湫)
일4-9(71) 염정의 용(鹽井龍)
일4-10(72) 장온(張溫)
일4-11(73) 곽언랑(郭彥郞)
일4-12(74) 안천룡(安天龍)
일4-13(75) 조관(曹寬)
일4-14(76) 무휴담(武休潭)
일4-15(77) 교룡을 베다(伐蛟)
일4-16(78) 주웅(周雄)
일4-17(79) 잡설(雜說)
일4-18(80) 미후(獼猴)
일4-19(81) 창저촌의 백성(滄渚民)
일4-20(82) 장악자(張蝁子)
일4-21(83) 손광헌(孫光憲)
일4-22(84) 청수지(淸水池)
일4-23(85) 근 노인(靳老)
일4-24(86) 황새(鸛)
일4-25(87) 남인(南人)
일4-26(88) 사부의 효능(砂俘效)
일4-27(89) 고계창(高季昌)

일문보(逸文補)
왕씨의 딸(王氏女)

부록
1. 손광헌전(孫光憲傳)
2. 역대 저록(著錄)
3. 역대 서발(序跋)

해설
지은이에 대해
옮긴이에 대해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