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북몽쇄언 1 (큰글자책)

북몽쇄언 1 (큰글자책)

  • 손광헌
  • |
  • 지식을만드는지식
  • |
  • 2025-05-30 출간
  • |
  • 675페이지
  • |
  • 210 X 290 X 34mm
  • |
  • ISBN 9791143004604
판매가

49,000원

즉시할인가

44,1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4,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천년의 세월을 넘어 생생하게 부활한 역사의 기록, 《북몽쇄언》 세계 최초 완역!
《북몽쇄언(北夢瑣言)》은 ‘몽택(夢澤) 북쪽에서 기록한 자질구레한 이야기’라는 겸손한 제목과 달리, 당나라 말부터 오대십국을 거쳐 북송 초에 이르는 격동기의 중국사를 생생하게 담아낸 귀중한 역사서다. 문인 손광헌(孫光憲)이 직접 보고 듣고 수집한 399조의 방대한 이야기는 당시의 정치적 격변, 문인들의 풍류와 고뇌, 그리고 생생한 사회 풍속까지 아우르며 1000년 전의 세상을 우리 앞에 펼쳐 보인다.
이 책은 단순한 일화집을 넘어선 깊이 있는 사료적 가치를 지닌다. 《구오대사(舊五代史)》, 사마광(司馬光)의 《자치통감고이(資治通鑑考異)》, 구양수(歐陽修)의 《신오대사(新五代史)》 등 정통 역사서들이 《북몽쇄언》의 기록을 인용하며 그 신뢰성을 입증했다. 또한 당나라와 오대의 유명 문인들의 흥미로운 이야기와 작품 배경을 알려 주는 문학사적 보고(寶庫)이기도 하며, 후대 소설과 희곡 창작에도 큰 영향을 미쳤다. 특히 현존하는 20권본에 실리지 않은 90조의 귀중한 일문(逸文)을 《태평광기(太平廣記)》를 통해 확인할 수 있어, 사라질 뻔했던 역사의 조각들을 복원하는 데 기여한다.
손광헌은 단순한 기록자를 넘어, 날카로운 관찰자이자 비판자였다. 그는 환관의 전횡, 과거 부정, 관리들의 부패와 같은 사회 부조리를 가감 없이 폭로하며 후세에 경계의 메시지를 전하고자 했다. 그의 ‘보광자왈(葆光子曰)’이라는 평어는 사건의 이면을 꿰뚫는 통찰을 보여 주며, 역사를 통해 현재를 성찰하게 하는 힘을 지닌다.
이번에 선보이는 《북몽쇄언》은 국내는 물론 해외에서도 그 유례를 찾기 어려운 최초의 완역본이라는 점에서 학술적, 대중적 의미가 매우 크다. 옮긴이 김장환 교수는 청대 《운자재감총서(雲自在龕叢書)》본을 저본으로 해서 본문 20권 327조와 《태평광기》에서 집록한 일문 4권 90조, 그리고 저본에 실리지 않은 일문보(逸文補) 1조까지 충실히 번역하고 상세한 주석과 교감을 더했다. 또한 역대 서지 기록과 서문, 발문 등을 부록으로 실어 독자들의 깊이 있는 이해를 돕는다. 자얼창(賈二强)의 교점본을 주요 참고 자료로 활용해 학술적 완성도를 높였다. 혼란과 변화의 시대를 기록한 이 귀중한 문헌을 통해, 독자들은 과거의 지혜를 배우고 현재를 살아가는 통찰을 얻게 될 것이다.

목차

북몽쇄언서(北夢瑣言序)

권1
1-1(001) 선종이 진사라고 칭하다(宣宗稱進士)
1-2(002) 이 태위가 영민하고 준수하다(李太尉英俊)
1-3(003) 정광이 세금을 면제받다(鄭光免稅)
1-4(004) 다시 불교를 일으키다(再興釋教)
1-5(005) 정씨의 딸이 여막을 짓고 시묘살이하다(鄭氏女廬墓)
1-6(006) 일본국 왕자의 바둑 실력(日本國王子棊)
1-7(007) 두예를 논박하다(駁杜預)
1-8(008) 이 태위가 백 소부를 억압하다(李太尉抑白少傅)
1-9(009) 훌륭한 재주를 지닌 선비 우승유(牛僧孺奇士)
1-10(010) 영호호가 진사 응시자로 미리 선발되다(令狐滈預拔文解)
1-11(011) 유삼복이 삼생을 기억한 일(劉三復記三生事)
1-12(012) 뿔이 빠진 무소(禿角犀)
1-13(013) 위문정공의 홀(魏文貞公笏)

권2
2-1(014) 피일휴가 상소문을 바치다(皮日休獻書)
2-2(015) 재상이 은총을 믿고 권세를 부리다(宰相怙權)
2-3(016) 낙산인이 왕정주에게 알려 주다(駱山人告王庭湊)
2-4(017) 관리 임명을 잘못해 도적을 초래하다(授任致寇)
2-5(018) 고병이 바닷길을 개착하다(高騈開海路)
2-6(019) 빈한한 세 사람을 과거에 급제시키다(放孤寒三人及第)
2-7(020) 문종이 왕기를 중시하다(文宗重王起)

권3
3-1(021) 노조가 진사 장원이 되다(盧肇爲進士狀元)
3-2(022) 장난삼아 재상 필함의 이름을 고치다(戲改畢諴相名)
3-3(023) 단 상이 황금 연꽃 동이에 발을 씻다(段相踏金蓮)
3-4(024) 상국 이고언이 친척 유씨에게 골탕 먹다(李固言相國爲柳表所誤)
3-5(025) 두빈공이 친척을 구휼하지 않다(杜邠公不恤親戚)
3-6(026) 태사 이광안이 훌륭한 사윗감을 고르다(李光顔太師選佳壻)
3-7(027) 왕문공이 손을 모으고 잠들다(王文公叉手睡)
3-8(028) 하중에서 재상 유첨을 전별하다(河中餞劉相瞻)
3-9(029) 이씨의 상서로운 홰나무(李氏瑞槐)
3-10(030) 고 태위가 예불하는 중을 처결하다(高太尉決禮佛僧)
3-11(031) 중서령 왕탁이 황소를 막다(王中令鐸拒黃巢)
3-12(032) 노 시중의 두건(路侍中巾裹)
3-13(033) 상서 이훈이 발분하다(李勳尙書發憤)
3-14(034) 상서 정우의 비단 반소매 옷(鄭愚尙書錦半臂)
3-15(035) 재상 위주는 족곡옹이다(韋宙相足穀翁)
3-16(036) 상서 이당의 대바구니(李當尙書竹籠)
3-17(037) 오행로가 요강을 따뜻하게 하다(吳行魯溫溲器)
3-18(038) 최 시중이 형옥을 줄이다(崔侍中省刑獄)
3-19(039) 사인 유태가 선조에게 제사 지내지 않다(劉蛻舍人不祭先祖)
3-20(040) 두심권이 풍연을 배척하다(杜審權斥馮涓)
3-21(041) 못난 자식의 세 가지 변화(不肖子三變)
3-22(042) 설보손이 경박하다(薛保遜輕薄)
3-23(043) 진회의 〈당랑부〉(陳會〈螳蜋賦〉)
3-24(044) 유 복야의 〈여지도〉(劉僕射〈荔枝圖〉)
3-25(045) 조 대부를 무자비라 부르다(趙大夫號無字碑)

권4
4-1(046) 조 영공의 붉은 총채(趙令公紅拂子)
4-2(047) 설씨의 아들이 군대의 의용을 갖추다(薛氏子具軍儀)
4-3(048) 재상 손악이 대범하다(孫偓相通簡)
4-4(049) 대부 유빈이 모향을 칭찬하다(柳玭大夫賞牟黁)
4-5(050) 상서 손규가 거해당하다(孫揆尙書鋸解)
4-6(051) 재상 최윤의 겨드랑이에 생겨난 글자(崔胤相腋文)
4-7(052) 여러 대덕이 좋아하는 것(諸重德好尙)
4-8(053) 필함의 외숙이 분수를 알다(畢舅知分)
4-9(054) 사군 양위가 양원을 세 번 다스리다(楊蔚使君三典洋源)
4-10(055) 요망한 사람이 진 복야를 사칭하다(妖人僞稱陳僕射)
4-11(056) 조서를 끌어안고 곡한 유 사인의 일(哭麻劉舍人事)
4-12(057) 상서 채경이 고씨 형제를 발탁하다(蔡京尙書拔顧氏昆弟)
4-13(058) 재상 육의가 6월에 급제하다(陸扆相六月及第)
4-14(059) 시랑 오융의 문장(吳融侍郞文筆)
4-15(060) 천황해를 깨뜨리다(破天荒解)
4-16(061) 성 영공이 뱀에게 몸이 감기다(成令公爲蛇繞身)
4-17(062) 재상 장준이 반적을 격파하다(張濬相破賊)
4-18(063) 설 징주가 홀을 흔들다(薛澄州弄笏)
4-19(064) 서악신이 장거를 죽이다(西嶽神斃張簴)
4-20(065) 유중영의 여종이 개거원을 비웃다(柳婢譏蓋巨源)
4-21(066) 조 사유와 유 대부가 화창하다(趙師儒與柳大夫唱和)
4-22(067) 《조계도》의 진사 방문(《祖系圖》進士牓)
4-23(068) 온정균과 이상은이 이름을 나란히 하다(溫李齊名)
4-24(069) 최씨의 딸이 정조를 잃고 주보의 부인이 되다(崔氏女失身爲周寶妻)
4-25(070) 최우창이 소를 알지 못하다(崔禹昌不識牛)
4-26(071) 장서가 두순학을 놀리다(張曙戲杜荀鶴)

권5
5-1(072) 영호 공이 은밀히 상주하다(令狐公密狀)
5-2(073) 이원이 조당을 놀리다(李遠譏曹唐)
5-3(074) 중서성의 변방 이민족 사람의 일(中書蕃人事)
5-4(075) 서 상이 성 중령을 조롱하다(徐相譏成中令)
5-5(076) 위 상서가 노 상을 알아보다(韋尙書鑒盧相)
5-6(077) 설봉이 왕조를 칭찬하다(薛逢賞王助)
5-7(078) 진도의 《벽서》(陳陶《癖書》)
5-8(079) 양삭의 산수(陽朔山水)
5-9(080) 회해와 절서의 분규를 해결한 조서(淮浙解紛詔)
5-10(081) 오융의 천행(吳融天幸)
5-11(082) 심순과 장응의 출중한 인물(沈·蔣人物)
5-12(083) 장준·악붕귀와 전군용의 내외관의 일(張濬·樂朋龜與田軍容中外事)
5-13(084) 설 소사가 내외관을 거절한 일(薛少師拒中外事)
5-14(085) 양성의 양어머니(楊晟義母)
5-15(086) 성 영공의 화주재(成令公和州載)
5-16(087) 위 태위가 서천을 토벌하다(韋太尉伐西川)
5-17(088) 장노봉의 불행(章魯封不幸)
5-18(089) 배씨가 재가하다(裴氏再行)
5-19(090) 문을 닫고 남만을 피하다(閉門避蠻)
5-20(091) 고 태위의 속임수(高太尉機詐)
5-21(092) 장도고의 묘표(張道古題墓)
5-22(093) 《소거자》에 대해 서술하다(叙《巢居子》)
5-23(094) 나곤이 서천절도사[왕건]의 초징에 나아가지 않다(羅衮不就西川辟)
5-24(095) 고측의 계사(高測啓事)
5-25(096) 부재와 후핵이 돌아가 은거하다(符載·侯翮歸隱)

권6
6-1(097) 오상의 일(吳湘事)
6-2(098) 배상이 우전국에서 태어난 일(裴相生於于闐國事)
6-3(099) 위씨의 딸이 유겸의 배필이 된 일(韋氏女配劉謙事)
6-4(100) 상서 전포의 일(田布尙書事)
6-5(101) 이 태위가 적양공의 사당 중수를 청한 일(李太尉請修狄梁公廟事)
6-6(102) 동창 공주의 일(同昌公主事)
6-7(103) 후창업의 표문(侯昌業表)
6-8(104) 이 상시가 도술을 만나다(李常侍遇道術)
6-9(105) 육 상공이 술을 권한 일(陸相公勸酒事)
6-10(106) 배철과 정광도가 양왕을 옹립한 일(裴·鄭立襄王事)
6-11(107) 전 군용이 위 태위에게 격서를 보내다(田軍容檄韋太尉)
6-12(108) 주박과 이사망이 벼락 승진하다(朱·李驟進)
6-13(109) 이군옥의 경박한 일(李羣玉輕薄事)
6-14(110) 가사로 스스로 즐기다(以歌詞自娛)
6-15(111) 유태가 영호 상에 대해 상주하다(劉蛻奏令狐相)
6-16(112) 육구몽이 추증받다(陸龜蒙追贈)
6-17(113) 안 급사의 묘지명(顔給事墓銘)
6-18(114) 이계의 행장(李磎行狀)
6-19(115) 백 태부의 묘지명(白太傅墓銘)
6-20(116) 환관이 직무를 바꿔 새롭게 만들다(內官改創職事)
6-21(117) 나은과 고운의 부침(羅·顧升降)
6-22(118) 이기가 나뭇잎에 글을 쓰다(李琪書樹葉)
6-23(119) 두순학이 한림원에 들어가다(杜荀鶴入翰林)
6-24(120) 악공 관소홍(樂工關小紅)
6-25(121) 손 내자(孫內子)

권7
7-1(122) 맹호연과 조하가 시로 뜻을 잃다(孟浩然·趙嘏以詩失意)
7-2(123) 재상 정계의 시(鄭綮相詩)
7-3(124) 내붕의 시(來鵬詩)
7-4(125) 이 학사가 지은 부의 조짐(李學士賦讖)
7-5(126) 노연양의 시가 세 번 칭찬받다(盧詩三遇)
7-6(127) 이연의 행권(李渷行文卷)
7-7(128) 정준이 군중에서 지은 글을 모으다(鄭準集軍書)
7-8(129) 정준이 진영을 조롱하다(鄭準譏陳詠)
7-9(130) 왕초의 전주문(王超牋奏)
7-10(131) 이상은이 〈진검표〉의 초안을 잡다(李商隱草〈進劒表〉)
7-11(132) 상국 고숭문이 눈을 읊다(高崇文相國詠雪)
7-12(133) 동정호 시(洞庭湖詩)
7-13(134) 고섬이 시로 과거에 급제하다(高蟾以詩策名)
7-14(135) 위열과 두순학의 기개(韋·杜氣槩)
7-15(136) 양진이 관록이 없다(梁震無祿)
7-16(137) 하후생이 유 복야의 일을 말하다(夏侯生說劉僕射事)
7-17(138) 조상이 꿈에 삭발하고 승려가 되다(曹相夢剃度)
7-18(139) 현묘한 덕이 감응하다(玄德感)
7-19(140) 유도제가 그윽한 창에서 꿈을 꾸다(劉道濟幽牕夢)

권8
8-1(141) 이 태위가 단 소상에게 편지를 보내다(李太尉與段少常書)
8-2(142) 손 복야가 술을 붓고 고수레하다(孫僕射酹酒)
8-3(143) 두 조정 관리가 이름을 가지고 놀리다(二朝士以名取戲)
8-4(144) 장인귀가 저승에서 질책받다(張仁龜陰責)
8-5(145) 배 상국이 급제한 후 학업에 정진하다(裴相國及弟後進業)
8-6(146) 후영이 재상 두로전을 거스르다(侯泳忤豆盧相)
8-7(147) 노악이 미행한 선종을 만나다(盧渥遇宣宗私行)
8-8(148) 고비웅이 다시 살아나다(顧非熊再生)
8-9(149) 장서가 애도의 마음을 불러일으키다(張曙起小悼)
8-10(150) 상서 장석이 꺼리는 것이 없다(張裼尙書無忌諱)
8-11(151) 형십삼낭의 의협의 일(荊十三娘義俠事)
8-12(152) 상서 이당의 죽은 딸의 혼령(李當尙書亡女魂)

권9
9-1(153) 맹홍미가 조급하고 망령되다(孟弘微躁妄)
9-2(154) 재상 양수가 양현개에게 보복하다(楊收相報楊玄价)
9-3(155) 유산보가 천왕에 대해 시를 짓다(劉山甫題天王)
9-4(156) 위 현령의 공덕의 효험(韋宰1功德驗)
9-5(157) 피를 내서 불경을 쓴 승려(刺血寫經僧)
9-6(158) 성 영공이 점치는 도구를 던진 일(成令公擲杯珓事)
9-7(159) 흰 연꽃 여자가 소창원을 미혹하다(白蓮女惑蘇昌遠)
9-8(160) 유붕거가 오현금을 타는 기녀를 유혹하다(柳鵬擧誘五絃妓)
9-9(161) 운방자의 혼령이 이인을 섬기다(雲芳子魂事李茵)
9-10(162) 추령이 요사함을 부리다(芻靈祟)
9-11(163) 고연공의 신묘한 문필(高燕公神筆)
9-12(164) 어현기(魚玄機)
9-13(165) 이씨의 딸(李氏女)
9-14(166) 풍조가 과거 급제의 명성을 흠모하다(馮藻慕名)
9-15(167) 상서 이부가 《절운》을 개정하다(李涪尙書改《切韻》)
9-16(168) 목연회와 이항이 비명횡사하다(穆·李非命)
9-17(169) 왕 급사가 강직하다(王給事剛鯁)
9-18(170) 배탄과 양수의 절조와 지향(裴·楊操尙)
9-19(171) 낳기만 하고 길러 내지 못한 노 시랑(出腹不生養盧侍郞)
9-20(172) 장흥사가 문승을 처결하다(張興師決門僧)

권10
10-1(173) 적 우승이 자색 가사 입은 승려를 비루하게 여기다(狄右丞鄙著紫僧)
10-2(174) 장고가 경솔하고 오만하다(張翱輕傲)
10-3(175) 유아초와 이은형의 우둔한 조카(劉·李愚甥)
10-4(176) 이붕이 상도무를 만나다(李鵬遇桑道茂)
10-5(177) 공 시랑이 비옷을 빌리다(孔侍郞借油衣)
10-6(178) 전현들의 해학(前賢戲調)
10-7(179) 경조부에서 까마귀가 방울을 잡아당겨 치다(京兆府鵶挽鈴)
10-8(180) 천제가 바둑 둘 상대를 부르다(天帝召棊客)
10-9(181) 양신과 조악이 생각으로 치료하다(新·趙意醫)
10-10(182) 의심병을 치료하다(療疑病)
10-11(183) 뜻밖에 화를 당하다(非意致禍)
10-12(184) 최추가 용 새끼를 먹다(崔樞食龍子)
10-13(185) 설준이 저승의 벌을 받아 죽다(薛準陰誅)
10-14(186) 최옹이 아들의 인육을 먹다(崔雍食子肉)
10-15(187) 왕적이 수레바퀴에 밟힌 일(王迪車輾事)
10-16(188) 두유휴가 푸른 연꽃을 심다(杜孺休種靑蓮花)
10-17(189) 엄 군용의 고양이와 개의 괴변(嚴軍容猫犬怪)
10-18(190) 두씨 집안의 주자지(竇家酒炙地)
10-19(191) 이창부가 비복에 대해 읊다(李昌符詠婢僕)
10-20(192) 종 대부의 지명단의 효험(鍾大夫知命丹效)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