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우리를 향한 메시지로 재탄생한
역대기의 다윗 왕조 이야기
“역대기는 독자들을 빈손으로 돌려보내지 않을 것이다.
하나님을 구하는 자가 그분을 찾을 것이라는
확신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_“서론” 중에서
시공을 넘나들며 연결되는
과거와 현재 하나님의 백성들
우리는 구약성경 여러 책에서 다윗 왕조의 이야기를 접한다. 사무엘서, 열왕기, 역대기가 바로 그 책들이다. 그 가운데 역대기는 사무엘서와 열왕기 내용에 기초하여 기록된 또 하나의 역사서로, 오랜 시간 포로 생활을 한 이스라엘 백성이 예루살렘으로 귀환한 후에 그들에게 새롭게 대두된 필요에 따라 기록되었다. 고향으로 돌아온 이스라엘 백성들은 여전히 가난과 정치적 반대, 종교적 신념의 충돌 등을 마주하며 힘겨운 생활을 해야 했다. 역대기 저자는 불안하고 황폐한 이 시대에도 하나님을 따르고자 한 이스라엘 백성을 향해, 하나님이 다스리시는 나라의 비전을 잃지 않도록 권면하고 격려해야 했다. 그리고 이러한 노력의 결과가 바로 ‘역대기’다.
캐롤 카민스키는 역대기 저자의 이러한 노력에서 현대 그리스도인을 위한 통찰을 발견한다. 귀환 후 이스라엘 백성이 마주한 환경처럼, 오늘날 탈기독교(post-Christendom) 세계에서도 그리스도인들이 자신이 믿는 바를 따르려면 수많은 장애물이 따르기 때문이다. 지금 역대기를 읽는 독자들에게도 신앙생활의 격려가 필요하다. 하나님이 온 세상을 다스리신다는 비전이 필요하다. 이러한 독자의 상황을 염두에 두고 ‘하나님의 이야기 주석’(Story of God Bible Commentary) 두 번째 책 『SGBC 역대기』는 오늘을 고심하며 살아가는 우리에게 말을 건넨다. 이를 통해 역대기 본문은 다윗 왕조 시기의 왕국 백성, 귀환 후의 이스라엘 백성, 오늘날의 하나님 백성이 한자리에서 만나는 장으로 확장된다.
“역대기 이야기의 목표는 영광스럽고 영원한
하나님 나라에 대한 비전을 포착하고,
그분이 어떻게 섭리 가운데
역사하시는지를 분별하는 것이다.”
_“서론” 중에서
오늘날 영광스럽게 재현되는
하나님 나라 백성의 비전
과거 이스라엘 백성의 모습을 통해 오늘 우리에게 전해지는 메시지는 무엇일까? 캐롤 카민스키는 최고의 성서학 연구에 기반하여 역대기 본문을 섬세하게 해설함으로써, 하나님 나라의 모습을 선명하게 포착한다. 우선 그 나라는 하나님이 다스리시는 나라다. 하나님이 왕국의 흥망성쇠의 열쇠를 쥐고 이스라엘 역사 가운데 개입하셨다는 사실이 본문을 통해 여실히 드러난다.
이와 동시에 우리는 하나님 나라 백성이 살아가는 삶에 대한 비전을 발견한다. 이 비전은 초라한 현실을 뛰어넘어 우리로 하여금 하나님 나라 백성이라는 정체성에 뿌리내리게 하고, 그 나라를 추구하게 한다. 서론에서 카민스키는 역대기 본문의 신학적 주제를 요약하며 ‘하나 됨’, ‘예배’, ‘회개와 겸손’, ‘증거’를 하나님 백성의 비전으로 제시한다. 그리고 이 주제들은 저자가 지닌 문화적 감수성을 거쳐 우리의 삶에 적용할 수 있는 예리한 통찰로 확장된다. 이를 통해 하나님 나라는 추상적인 세계가 아니라 지금 이곳에서 구체화된 실제로 나타난다.
이 책의 특징
ㆍ역대기의 청중(귀환 공동체)과 오늘날의 독자를 잇는 배경 설명
ㆍ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하면서도 이해하기 쉬운 해설
ㆍ역대기의 예배적 어조를 극대화시키는 찬송가의 삽입
ㆍ오늘날 삶에 구체적으로 해석·적용하는 역대기의 통찰
시리즈 소개
‘하나님의 이야기 주석’ 시리즈는 독자들이 성경 본문을 이해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하나님 말씀의 영향을 받아 오늘날 그리스도인다운 방식으로 살아가도록 돕기 위해 기획되었다. 신실한 성서학자들이 자신의 전문 지식뿐 아니라 예수님에 대한 헌신과 현대 문화에 대한 통찰을 성경에 접목해, 장대한 하나님의 이야기에 비추어 본문을 경청하고 이해하며 살아내도록 요청한다. 이 시리즈는 실질적이고 실천적인 지침을 찾고 있는 목회자와 성경 공부 인도자를 비롯한 수많은 그리스도인들에게 도움을 줄 것이다.
※구약 총괄 편집자: 트렘퍼 롱맨 3세 ※신약 총괄 편집자: 스캇 맥나이트
시리즈 특징
ㆍ성경 전체 이야기 속에서 충실히 읽어 내는 본문
ㆍ목회자, 신학생, 교사, 평신도 누구에게나 친절한 해설
ㆍ최신 신학적·역사적 연구의 신중한 반영
ㆍ그리스도인의 삶을 위한 문화적 통찰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