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자의 글
1980년대부터 ‘Pedretti의 작업치료학’은 재활 임상가들과 작업치료를 전공하는 학생들에게 작업치료에 대한 전문서적으로 많은 도움을 주고 사랑을 받아 왔다. 1990년대
4판부터 2025년 9판에 이르기까지 ‘Pedretti의 작업치료’ 신체기능장애를 위한 실행기술은 재활의 한 분야인 작업치료에 필요한 이론과 임상실무지침을 갖춘 책으로서 작업치료사가 각 질환에 대한 작업치료 기술뿐 아니라 작업치료사가 갖추고 있어야 할 철학과 윤리적 사항에 대한 지침까지 고려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는 체계적인 이론과 실무적 사례연구를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얻을 수 있는 필독서이며, 임상 작업치료사에게는 작업치료 전문성에 대해 임상실무의 변화된 작업치료 접근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Lorreaine Pedretti의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 제1, 2, 3판은 우리나라에 아직 번역서가 출간되지 않았으므로 1970년대부터 원서 그대로 작업치료사 국가시험을 위한 준비서로 공부하였으나 제4판부터 본 대표역자가 번역에 참여하므로 임상에서도 작업치료를 쉽게 접근하고 학문적 토대를 세울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써 작업치료사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었다. 본 책은 작업치료 전문성에 대해 철학적인 배경을 바탕으로 작업치료 임상실무에 있어 변화된 이론들을 반영하여 그 내용을 구성하였고 근거기반의 실행과 최근 이슈가 되는 임상 분야를 강조한 [작업치료 실행체계: 영역과 과정-4(OTPF-IV)]에 이론적 구성으로 지침되었다.
작업치료학 제8판에서는 [49장 호스피스 및 완화치료]가 작업치료에 반영되어 추가되었으며, 제9판의 내용에서는 현대사회에서 이슈되는 인공지능을 기반으로 한 학습인 [31장 치료용 팔지지대와 로봇보조치료]와 [51장 작업치료에서 마음챙김 구현하기] [52장 작업치료에서의 원격의료서비스] [53장 라이프스타일의 재설계와 중재 및 자기관리]가 추가되어 최신 재활치료 경향을 반영한 작업치료 영역을 확대하여 정서심리적인 분야에도 작업치료의 중요성을 반영하였다.
재활에서 작업치료에 대한 중요성과 개념을 근거기반으로 한 클라이언트 중심의 작업치료에 대해 더 강조되었고 질환에 따른 사례연구를 작업치료에 적용하여, 다양한 질환을 이해할 수 있도록 각 장에 수록해 놓음으로써 새로운 임상에서는 치료기법과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리라고 생각한다. 또한 클라이언트에게 제공되어야 할 윤리적 사항과 문화적 요소 그리고 실무노트 등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철학적, 도덕적 치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작업치료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제9판까지 저술한 ‘Lorreaine Pedretti 교수’에게 한국 작업치료가 발전함에 있어 ‘Occupational Therapy’ Practice Skills for Physical Dysfunction는 지대한 공헌을 하여 깊은 감사를 표한다.
저자의 글
Pedretti의 작업치료학: 신체기능장애 실행기술 제9판 편집을 이어갈 수 있게 된 것은 큰 영광이었다. 닮기도 어려운 Lorreaine Pedretti의 발자취를 따라간다는 것에 경이로운 책임감이 느껴졌고 보답받는 여정이었다. 나름의 분야에서 앞서나가고 있는 저자들과 함께 작업했던 일은 일류 작업치료사들이 동 전문직의 미래 세대들에 대한 교육에 그들의 시간을 할애하고 그들의 학식을 희생적으로 쏟아붓는 이들의 특별한 능력을 보는 멋진 경험의 연속이었다.
제8판이 출간된 이후 동 전문직 내부 및 신체기능장애 클라이언트들을 위한 작업치료 임상실무 내부에 변화가 있었다. 이들 대부분의 변화 내용은 새로운 판의 구성에 쓰였고 각 장의 전후 관계 내에 반영시켰다. 우리의 임무와 의도는 이들 변화 내용을 포함시켜 과거 여러 판에서 얻은 본서의 기반이 되어왔던 작업의 탁월성을 지속적으로 고양시키는 것이다.
최신판인 제9판은 동 전문직의 핵심과 역동적 과정을 기술하기 위해 설계된 작업치료 실행체계: 영역과 과정-4(OTPF
-4)로서 구성되고 지침되었다. OTPF-4 핵심은 작업치료의 우선적 목표, 즉 생활 참여지지를 위한 작업에의 관여를 조감하는 것이다. 작업의 중요성에 대한 이 개념화는 본서 전체에 강조되고 있다. 과정과 실행, 평가와 중재, 수행기술과 패턴, 전후 관계와 활동수요, 클라이언트 요소, 그리고 중재적용의 개념들이 모두 철저하게 설명되었다.
작업치료 실행에서의 클라이언트 중심을 존중하여 각 장들은 사례연구로 시작하여 이어가며 그 정보를 통해 독자를 안내하고 그 내용을 특정사례 설명과 연관 시켜나갔다. 그리하여 독자가 본서를 저작한 전문 임상가의 임상적 추론과 의사결정의 기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였다. 개별 장의 저자들은 독자들의 호기심을 자극하는 여러 입증적 혹은 ‘비판적 사고’의 질문들을 하도록 하고 더 나가 그들의 주의를 끌어들이고 그 장의 내용에 대해 궁금하게 하여 결과적으로 학습 과정을 용이하게 하도록 사례연구의 초기 설명 내용을 따라가도록 부탁받았다. 이들 비평적 사고 질문에 대한 직접적인 답은 각 장의 중간 혹은 끝에 제공하고 있다.
석사학위 과정의 작업치료 학생용 그리고 실무 작업치료사의 참고서로서 저작된 본서는 항상 실무 적용을 인지하며 실무에 초점을 두었다. 이론과 근거 기반의 내용을 각 장에 설명하고 실행 기반으로 사례 설명을 적용하였다. 건강과 웰빙, 그리고 예방에 있어서의 작업치료사의 역할을 본서 전반에 걸쳐 규정하였다. 유사하게 작업치료사의 문화적, 윤리적 다양성 고려의 중요성에 대한 책임도 각 장에 반영하였다.
제9판은 대부분의 장에 강조된 ‘OT 실무노트와 윤리적 고려사항’ 박스를 계속 사용하고 있다. 해당 장의 내용에서 끌어낸 이들 상자에 포함된 정보는 학생들의 장래 실무분야, 가능성 있는 윤리적 딜레마에 대한 사고, 그리고 그들이 겪게 될 결정사항에 연관된 아이디어를 가져다준다.
내용과 형식을 기획하고 설계하며 저자를 섭외하고 입력내용을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 본서의 편집과정 내내, 우리의 클라이언트, 특히 신체적 장애를 가진 성인에 대하여 그들의 장래 작업치료사들을 훌륭히 준비시켜 작업적 복지를 높이는 우리의 책임을 잊지 않았다. 그 끝에서 주제별 전문적 인지도를 가졌을 뿐만 아니라 실무와 학문에서 작업의 탁월한 중요성을 받아들이고 있는 훌륭한 저자들을 찾아내었다. 우리의 목표는 신체기능장애 분야에서 작업치료에 대한 독자의 흥미를 야기시키는 반면 최신의 정보를 제공하고 최고의 실행모델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우리가 신뢰하는 작업치료 전문직에서의 우리의 해박한 임상 및 학문적 경력과 열심히 이룬 경험 그리고 우리의 최선의 노력에 대한 격려로 받아들여지는 클라이언트와 학생들의 고무됨은 본 서의 근거가 된다.
Heidi McHugh Pendleton
Winifred Schultz-Krohn
감사의 글
Pedretti의 책이 가진 우수성을 유지하기 위해 탁월한 공헌을 보여준 지난 판과 이번 판 저자 모두에게 진심으로 감사한다. 9판의 저자들은 국내외를 막론한 이 분야 전문가로서의 Pedretti의 명성을 유지시켜 주었다. 행정가, 교육자, 연구자, 임상가를 비롯한 새로운 저자들로부터 인상적인 공헌을 받을 수 있어 행운이었다.
또한 Elsevier의 헌신적인 편집자와 스태프들이 보여준 훌륭한 기여에도 감사를 드린다. 특히 길고 힘든 편집 과정 내내 인내심을 가지고 고통을 이겨내며 우리에게 조언을 해준 Senior 내용 전략가 Lauren Willis; Senior 내용개발 전문가 Tina Kaemmerer에게 감사한다. 그들은 정말 출중했다! 작업에 참여한 모든 사람들의 노력이 이 책에 충실히 반영되도록 세밀한 부분까지 신경 써준 senior project manager인 Jodi Willard에게도 감사한다.
자신의 출간물에 있는 자료에 대한 사용을 허가해 준 출판인들과 관계자들께도 감사를 표한다. 사진사와 삽화가를 비롯해 사진의 모델이 되어준 클라이언트들에게 감사한다. 생활참여의 중요성을 캡처한 적합한 사진을 찾는데 특별한 관용을 베풀어 준 기여자분들께도 감사한다.
마지막으로 우리의 동료, 친구, 가족들에게 진심으로 감사하다. 그들의 도움이 없었다면 이 작업은 완수되지 못했을 것이다. 이 과정에서 조력과 선의를 베풀어 주신 San Jose 주립대학 교수 및 직원들께도 특별히 감사를 드린다.
Heidi McHugh Pendleton은 남편인 Forrest Pendleton이 보여준 무한한 사랑과 도움에 감사하며, 일생 동안 자신을 지지해 준 동생들 Deirdre McHugh와 Kathleen McHugh에게도 감사를 전한다. 또한 모든 것을 가능하게 해준 Dar, Jim, Nicky, Elizabeth, Jimmy D, Megan, Kelsey, Jamie, Jessica, Katie 등 그녀의 조카와 자녀들의 사랑과 열정에 감사와 사랑을 전한다.
Winifred Schultz-Krohn은 평생의 조력자이며 인내심 많은 남편 Kermit Krohn에게 감사를 표한다. 그의 지치지 않는 사랑이 이 프로젝트를 가능하게 해주었다. 그녀는 또한 오빠인 Tom Schultz와 그의 아내 Barb Fraser, 조카 Sarah, 누이인 Donna Friedrich와 그녀의 남편 Don, 조카인 Brian과 Andrew, Andrew의 아내 Kirsten, 그들의 자녀인 Zachary, Nancy Yamasaki와 남편 Bryan이 보여준 지지와 격려에 감사를 표한다.
작업하는 동안 좋은 친구로서, 서로에게 힘이 되어주었고, 각자의 공헌을 바탕으로 우정을 유지시켜 주었으며, 작업이 끝날 때에는 친구 이상이 되어 있었던 동료들에게 서로 감사를 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