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일본이라는 풍경, 건축이라는 이야기

일본이라는 풍경, 건축이라는 이야기

  • 최우용
  • |
  • 따비
  • |
  • 2025-05-25 출간
  • |
  • 416페이지
  • |
  • 135 X 210 X 25mm
  • |
  • ISBN 9791192169507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2,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건축가가 도쿄국립박물관으로 향하는 이유

저자는 홋카이도에서 오키나와까지, 15개 현(도/도/부 포함) 26개의 건축물을 살펴본다. 이 중에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도 있고, 새로운 공법으로 지은 첨단 건물도 있다. 또한 공공을 위한 건물도 있고, 상업적 용도의 건물도 있다. 이 다양한 건축을 두루 살피기 위해, 저자는 네 개의 주제를 채택한다.
첫 번째 주제는 ‘서로 다름’이다. 서로 대립되는 혹은 조화를 이루는 여덟 개의 개념 쌍에 빗대 일본 건축을 바라보며, 일본의 건축가(현대의 유명 건축가든 이름을 남기지 않은 옛 기술자든)들이 어떤 생각으로 이런 건축을 했을까를 묻는다. 먼저 대비시킨 것은 일본의 두 고대 문명, 조몬과 야요이. 섬세하고 절제되어 있되 경직되고 정형화된 일본적 미(美)를 ‘야요이적인 것’으로 보면서 ‘조몬적인 것’, 즉 강한 야성미와 역동성 그리고 생명력을 되살리자는 전후(戰後) 일본 문화예술계의 목소리를 대변하는 건축가 시라이 세이이치(白井晟一)의 건축을 사세보(나가사키)에서 확인한 저자는 ‘일본적 미’의 또 다른 예시로 교토의 료안지와 킨카쿠지(금각사)를 비교한다. 한눈에도 화려한 킨카쿠지의 금각과 오래 관조하게 만드는 료안지의 돌 정원 모두 일본에서 느낄 수 있는 아름다움인데, 그중 어떤 아름다움에 끌리는지는 결국 삶의 태도를 반영한다 할 것이다.
두 번째 주제는 ‘일본의 역사 속 일본 건축사’다. 거의 30년 터울로 지어진 도쿄국립박물관의 네 개 전시동은 이를 압축적으로 보여준다. 1909년에 개관한 효케이관은 탈아입구(脫亞入歐)라는 시대정신으로 서구화와 근대화를 이루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당대 일본을 보여주며, 1938년 지은 (현재의) 본관은 탈아입구에서 탈구입아(脫歐入亞)로 진로를 변경하고 전통을 과시하려 했던 일본의 충만한 자신감을 반영한다. 1968년에 개관한 동양관은 보편으로서의 모더니즘과 특수로서의 일본성을 어떻게 결합하느냐를 고민하던 시대정신에 대한 건축적 대답이며, 1999년에 개관한 막내 호류지보물관은 더 이상 보편과 특수의 대비 또는 일본적 서사 등에 구애받지 않는 일본 건축의 수준을 보여준다. 도쿄국립박물관은 자체로 건축박물관이자 역사박물관인 것이다.
일본 근대 건축가 계보의 맨 위에 단게 겐조(丹下健三)는 일본 건축사를 이해하는 열쇠이기도 하다. 저자는 그의 건축물-히로시마평화기념공원, 가가와현청, 국립 요요기 실내종합경기장-을 통해 건축이 시대적 요구-패전의 피해 극복, 전통의 현대적 해석, 국력의 과시-에 어떻게 응답했는지 설명한다. 이 ‘시대적 요구’가 어떤 의도를 품고 있을 때 건축은 프로파간다의 도구가 되기도 하는데, 그 극명한 예를 히로시마평화기념공원의 공간 시퀀스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일본의 건축은 어떤 일본을 담고 있을까?

세 번째 주제는 ‘지역’이다. 아열대의 섬 오키나와부터 설국(雪國) 니가타까지, 일본의 자연 및 지역성은 건축에서 어떻게 반영되고 있을까? 나고시청(名護市役所)에서 콘크리트블록이라는 몰개성의 건축 재료를 남국의 자연에 맞게 풀어낸 동시에 오키나와의 전통과 접목시킨 건축가들의 고민을 엿보는 한편, 니가타의 큰눈에 버티기 위해 오래전부터 자연발생적으로 만들어진 목조의 뾰족지붕이 철근콘크리트조의 평지붕으로 바꾸고 있는 풍경에서 자연에 순응하거나 저항하는 건축과 기술을 성찰한다.
건축이 지역을 받아안는 방식이 그저 풍경에 안착하는 것만은 아닐 것이다. 저자는 한국 건축물도 여럿 설계한 구마 겐고(隈研吾)가 (아직 덜 유명했던 시절) 설계한 도치기현의 작은 뮤지엄들을 찾는다. 해당 지역에서 생산된 볏짚과 돌 등을 건축 재료로 적극 끌어들인 소박한 뮤지엄들은 건축이 지역에 녹아드는 새로운 방식을 보여준다.
네 번째 주제는 ‘만남’이다. 건축물은 만남이 이뤄지는 공간이자 다양한 만남의 결과물이기도 하다. 작은 운하 위에 세워진 나가사키현미술관의 다리는 기능적으로는 운하 이쪽과 저쪽을 연결하지만, 또한 사람과 사람의 만남을 의도하고 있기도 하다. 서로 다른 문명의 만남은 새로운 양식을 만든다. 하코다테의 의양풍(擬洋風) 건물 ‘구 하코다테공회당’은 그림과 사진으로만 서양의 석조건축물을 접한 일본의 목수들이 그 외양만 흉내 내 만든 과도기적 결과물이다. 저자는 이 의양풍 건물을 ‘짝퉁’으로 보지 않고, 한 문명이 다른 문명을 받아들일 때 나타나는 머뭇거림과 하이브리드적인 모습으로 적극적인 의미를 부여한다.
이런 ‘하이브리드’는 하코다테보다 먼저 서양을 만난 나가사키 데지마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데지마의 네덜란드 체류 상관원들을 위한 거주지, 사무 공간, 접대 공간, 식당 등은 대부분 나무로 구조의 골격을 만들고 다다미로 바닥을 깔았고 지붕은 기와를 얹었는데, 내부는 서양식 입식 가구들로 채워져 있다. 이런 이질적인 공간-생활방식의 동거는 이후 나타날 일본의 화혼양재(和魂洋才)를 먼저 보여준 것이 아닐까.


프리츠커상보다 중요한 것

1979년에 시작되어 건축계의 노벨상이라 불리는 프리츠커상이 있다. 2025년까지 매년 수상자를 발표해온 이 상에서 일본은 총 8회, 9명의 수상자(2010년 공동 수상)를 배출한 최다 수상국이다. 이 책에 소개된 건축물 중에도 이 프리츠커상 수상자의 작품이 여럿 있다. 그러나 저자는 대단한 건축가의 대단한 성취를 분석하기보다 다양한 건축물이 어떤 삶의 틀이 되고 있는지를 살핀다. 이렇게 살고 싶으면 이렇게 생긴 집을 짓고 저렇게 살고 싶으면 저렇게 생긴 집을 지으니, 건축을 관찰하면 삶이 나아가고자 하는 방향을 확인하게 된다.
그래서 저자에게 여행은 건축가로서의 공부이기도 하다. “일본 건축을 통해 동시대를 살고 있는 다른 삶을 본다. 그로써 내(우리) 건축을 비춰보고, 내(우리) 건축이 있는 자리를 더듬으며, 더 나아가 내(우리) 건축이 나가야 할 바를 가늠해”보기 때문이다.
일본을 배경으로 하는 많은 문학과 영화, 역사적 사실과 저자 자신의 일상을 엮은 이야기가 저자가 살필 건축과 어우러진 이 책은, 여행기이면서도 역사에 대한 성찰이고, 건축 비평이면서도 삶에 대한 에세이다. 건축에 관심 있는 독자는 물론, 일본 여행에 깊이를 더하고 싶은 독자에게 권한다.



이 책에서 살펴본 건축물을 지은 사람들

시라이 세이이치白井晟一
막스 힌델Max Hinder
구마 겐고隈研吾
알도 로시Aldo Rossi
단게 겐조丹下健三
가타야마 도쿠마片山東熊
와타나베 진渡辺仁
다니구치 요시로谷口吉郎
다니구치 요시오谷口吉夫
르코르뷔지에Le Corbusier
이토 도요伊東豊雄
팀 주TEAM ZOO
안도 다다오安藤忠雄
그 외 이름을 남기지 않은 수많은 목수 및 기술자

목차

여는 글 겐치쿠 스트레인저 10

1부 서로 다른 것들에 대한 이야기

조몬과 야요이
가이쇼칸 | 나가사키현 사세보시 20

자기소외와 자기본위
호류지 | 나라현 이카루가정 40

이런 아름다움과 저런 아름다움
료안지와 킨카쿠지 | 교토부 교토시 58

내용과 형식
가톨릭마쓰가미네교회 | 도치기현 우쓰노미야시 74

스펙터클과 반스펙터클
네즈미술관 | 도쿄도 미나토구 90

이성과 감성
규슈게이분칸 | 후쿠오카현 지쿠고시 102

보편성과 개별성
일 팔라초 | 후쿠오카현 후쿠오카시 114

밀물과 썰물
이쓰쿠시마신사 |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 128


2부 이런저런 건축에 대한 이야기

단게 겐조 그리고 피해의식
히로시마평화기념자료관 |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142

단게 겐조 그리고 전통
가가와현청 | 가가와현 다카마쓰시 160

단게 겐조 그리고 비주류
국립 요요기 실내종합경기장 | 도쿄도 시부야구 176

건축과 시대
도쿄국립박물관 | 도쿄도 다이토구 194

건축과 카타스트로프
센다이 미디어테크 | 미야기현 센다이시 228

건축과 마음
겐초지 | 가나가와현 가마쿠라시 242

건축과 계통 발생
마쓰야마성 | 에히메현 마쓰야마시 256


3부 지역에 대한 이야기

지역과 기억
슈리성 | 오키나와현 나하시 270

지역과 보편
나고시청 | 오키나와현 나고시 284

지역과 순응
설국의 집들 | 니가타현 유자와정 298

지역과 재료, 하나
나스역사탐방관과 돌미술관 | 도치기현 나스정 310

지역과 재료, 둘
히로시게미술관 | 도치기현 나카가와정 328


4부 만남에 대한 이야기

사람과 사람의 만남
나가사키현미술관 |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342

서양과 일본의 만남, 하나
데지마 |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356

서양과 일본의 만남, 둘
구 하코다테공회당 | 홋카이도 하코다테시 368

보수와 보수의 만남
시바료타로기념관 | 오사카부 오사카시 382

옛것과 새것의 만남
스타벅스커피 다자이후텐만구 오모테산도 | 후쿠오카현 다자이후시 394

닫는 글 겐치쿠라는 우리의 거울 408

도판 출처 413

감사의 말 41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