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의 구성
본 교재는 모두 3부 14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부는 회계의 기본 개념에 대해 설명한다. 제1장에서는 회계의 의의와 목적 및 사회적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고, 회계정보를 이용하는 이용자와 회계분야 그리고 회계정보의 개념적 틀에 대하여 간략히 소개한다. 제2장부터는 재무제표 작성에 기초가 되는 재무제표의 개념과 거래의 개념 및 측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봄으로써 회계의 인식과 측정과 자료의 처리 및 재무제표 작성이 어떻게 작성되는지를 학습한다. 제2장은 재무제표 즉, 재무상태표의 개념과 자산, 부채, 자본의 정의와 구성항목들을 소개하고, 포괄손익계산서의 개념 및 수익과 비용 항목 등을 소개한다. 또한 기타의 재무제표 구성요소 등에 대한 의의와 항목들을 소개한다. 제3장은 거래의 측정과 기록으로서 회계등식을 활용하여 인식과 측정 및 자료처리의 기능과 재무제표 작성을 예제를 통하여 학습한다.
제2부에서는 회계의 순화과정으로 회계에서 가장 중요시 되는 발생주의 기준과 현금주의 기준의 개념을 다룬다. 제4장에서는 회계의 순환으로 기업은 매 회계기간마다 재무제표를 작성하여 회계정보를 제공한다. 회계순환과정(accounting cycle)은 거래에 대한 분석에서 시작하여 재무제표를 작성하는 과정이 매 회계기간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는 일련의 체계적인 절차를 의미한다. 회계순환과정을 단계적으로 설명한다. 4장까지는 활동이 단순한 용역을 제공하는 기업의 사례를 이용하여 회계처리를 설명하였다. 그러나 용역을 제공하는 기업 이외에도 제조나 상품매매를 주요 활동으로 하는 기업도 있다. 기업의 유형은 기업이 수행하는 주된 영업활동에 따라 구분된다. 고객에게 용역을 제공하고 수익을 창출하는 서비스기업, 기업에서 제조한 제품을 생산 판매하여 수익을 창출하는 제조기업, 상품의 매입 및 판매를 통해 수익을 창출하는 상품매매기업으로 구분된다. 상품매매기업의 예로는 백화점, 홈쇼핑, 인터넷쇼핑 등이 있다. 제5장에서는 상품매매기업의 회계절차를 다룬다. 상품매매기업의 경우 상품을 매입하고 판매하기 전까지 상품을 재고자산으로 보유하기 때문에 서비스기업에 비하여 회계처리가 다소 진화된 모습이다.
제3부에서는 계정과목별 회계처리와 현금흐름표에 대하여 실제 자료를 활용하여 학습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6장은 재고자산의 회계처리에 대하여 소개하고, 제7장은 현금 및 수취채권과 지급채무, 제8장은 유형자산, 제9장은 무형자산과 투자부동산, 제10장은 금융부채, 제11장은 금융자산과 관계기업투자, 제12장은 기타채권, 기타채무, 제13장은 자본의 회계처리, 제14장은 현금흐름표 작성에 대하여 소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