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화의 주제 : “같은 항로를 향한 목표를 만들기”
내향형 인물들, 수다 삼매경에 빠지다
다소 내향적인 인물들은 모임에 나가는 것이 늘 마뜩잖다. 목소리를 내는 순간, 수십개의 눈이 자신을 주목하는 것이 총알받이가 된 것마냥 불안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그런 13인이 ‘같은 항로’를 가진 한 배에 타니 상황이 달라졌다. 이 배의 목적지는 명확하다. 그러니 하나의 방향을 향해 하나의 목소리로 이야기하게 된다. 게다가 그 목소리는 힘이 있고 우렁차다.
배를 타기 전 이들의 목표는 ‘직장 생활에서 승승장구’, ‘업무에서 보람 찾기’, ‘삼성맨의 자부심에 먹칠하지 않기’ 등 무척이나 다양했다. 하지만 출항이 목적이 되니 방향성은 하나로 정해졌다.
‘우리를 따라 올 다른 작은 배들의 선두주자가 되어 난파됨 없이 안전하게 길잡이가 되기’ 이 웅장한 목적으로 뭉쳤고, 그 이야기들을 책으로 내고자 했다.
물론 책을 쓰는 건 처음이다. 하지만 어설프게 하고 싶지는 않았던 그들은 제대로 된 목차가 나올 때까지 끝없이 토론을 했고, 그렇게 해서 다섯 가지의 커다란 줄기를 만들었다. 가장 큰 이야기는 사회인이 되기 위해 준비한 과정부터 신입사원 때 좌충우돌 했던 시간들이다. 이제는 너무 익숙해져 버린 업무를 하면서 때로는 무기력해지는 이들에게도 꿈과 미래를 그리던 신입사원 시절이 있었다. 13명의 색깔이 다양한 만큼 신입사원의 시작도 각기 다르다.
지금 이 책을 읽는 독자들과 비슷한 상황이거나 다를 수도 있지만, 다양한 이야기를 들으며 공감대를 얻기도 하고 경험해 보지 못한 상황을 떠올려 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좋겠다.
두 번째 이야기는 성장 과정이다. 같은 회사에서도 승진 과정은 매우 다양했다.
일이 마음처럼 되지 않아 좌절하던 순간도 있고, 이를 기회로 삼아 더 도약한 적도 있다. 누군가는 생각지도 않던 시기에 갑자기 승진의 기회가 찾아오기도 했고, 마음의 준비가 되어 있지 않아 몇 번이고 고사했던 경험도 있다. 이들의 이야기를 통해 지금 혹시 자신의 자리가 의심스럽거나 승진이라는 절호의 기회에 오히려 두려움이 짓눌러 망설이고 있는 사람, 혹은 주변의 승승장구에 조금은 의기소침에 있는 사람이라도 반드시 언젠가 다시 기회가 올 수 있다는 것을 믿고 지치지 않았으면 좋겠다는 마음을 담았다.
세 번째 이야기는 여성이든 남성이든 기혼이라면 늘 논하게 되는 육아이다.
출산과 육아를 겪으면서 고비라고 느꼈던 것이 새로운 전환점이 된 이야기, 그리고 그 과정에서 더욱 성장한 이야기를 담았다. 여성과 남성 모두에게 육아가 부담이 아니라 자연스럽게 거쳐 가는 과정임을 이해하는 계기가 되면 좋겠다.
네 번째는 여전히 지속되고 있는 자기계발 이야기를 담았다.
회사 내뿐만 아니라 밖에서도 직장인들은 계속 무언가를 하고 있다. 끊임없이 새로운 것을 배우고 시도한다는 것은 회사 생활을 하는 데 긍정적인 동력이 된다. 정체되어 있지 않고 앞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느낌은 일을 마주할 때도 활력을 주기 때문이다.
20년 간의 직장생활 뒤에는 무엇이 남는지 궁금한 사회 초년생이라면 이 책을 보면서 상상을 해보는 것도 좋겠다. 물론 각자가 마주한 상황과 목표에 맞춰가며 보는 것이 좋다. 이들의 이야기를 읽으면서
당신들의 미래를 상상하고 계획해 보는 것도 책의 재미 중 하나다.
마지막 이야기는 이들 13인에게 ‘일은 어떠한 의미’인지 즉, 사회생활의 시작부터 지금까지 그들이 겪으며 생각하고 배운 것들에 대해,
‘우리가 했으니 당신들도 할 수 있다’는 마음의 이야기를 담았다.
회사 생활이 힘들 때, 그만두고 싶을 때, 경험해 보지 못한 것들에 대한 막연한 걱정과 두려움을 갖고 있는 사회 초년생들이라면
선배들은 어떤 마음으로 이러한 과정을 이겨냈을지에 대한 궁극의 노하우가 담겨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