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급변하는 동아시아 정세와 한반도 안보 환경을 다각도로 분석한 『트럼프 2.0시대 동아시아와 한반도』가 출간됐다. 이 책은 미국 대선 결과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이 초래할 동아시아 역내 질서 재편과 한반도에 미칠 영향을 국내 최고 전문가들이 심층 분석했다.
이 책은 총 6개 장, 29개 핵심 주제를 통해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미·중 관계 재정립, 대만 문제, 한반도 정책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전망과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민정훈, 최필수, 신종호, 김재관, 문익준, 강석율 등 국내 저명 학자들이 참여해 각 분야 별 예상되는 변화와 한국의 전략적 대응책을 모색했다.
제1장에서는 2024년 미국 대선에서 트럼프 후보 승리의 배경과 표심 분석,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외정책 기조를 다룬다. 특히 대선 결과가 국제질서에 미칠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미국 국내 정치와 세계정세 간의 연관성을 조명한다.
제2장과 제3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의 대중국 정책을 경제통상과 외교안보 측면에서 심층 분석한다. 기술 봉쇄의 실효성, 글로벌 사우스 대응전략, 디커플링의 현황과 전망, 미중 간 3C(Competition, Confrontation, Cooperation) 균형, 대만 문제를 비롯한 핵심 쟁점들을 다룬다.
제4장에서는 인도-태평양 지역에서의 미·중 관계 변화와 우크라이나 전쟁을 둘러싼 미·중·러 삼각관계, 북·중·러 삼각관계의 형성 가능성과 그에 대응하는 한미일 협력체제를 조망한다.
제5장은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이후 가장 중요한 지정학적 리스크로 부상한 대만 문제를 집중 분석한다. 중국의 무력 침공 가능성, 미국의 대응 방안, ‘하나의 중국’ 원칙에 대한 전략적 모호성의 지속 여부, 양안 경제협력의 미래, 미국 주도의 반도체 공급망 재편 전략 등을 다룬다.
제6장에서는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이 한반도에 미칠 영향과 한미동맹의 현안, 북한의 위협에 대한 대응 방안, 한미일 협력의 지속가능성, 미북 비핵화 협상 재개 가능성 등을 심도 있게 분석한다. 이 책은 단순한 현상 분석을 넘어 각 분야 최고 전문가들의 통찰력을 바탕으로 한국의 전략적 선택지를 제시한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특히, 미중 전략경쟁 심화, 북한의 핵·미사일 도발 지속,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 한국이 직면한 복합적 도전 속에서 국가이익을 극대화할 수 있는 실질적 대응책을 모색하고 있다.
트럼프 2기 행정부의 정책 기조와 동아시아 정세 변화에 관심 있는 정책결정자, 외교·안보 전문가, 학계 관계자, 일반 독자에게 국제정세를 이해하고 한국의 대응 방향을 모색하는 데 유용한 지침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트럼프 2.0시대 동아시아와 한반도』는 현 정부 출범 이후 급변하는 국제정세 속에서 한국의 국익을 수호하고 전략적 자율성을 확보하기 위한 지혜를 담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와 대중국 강경책,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의 장기화, 북한의 핵 위협 고도화 등 복합적 안보 위기 속에서 한국의 생존 전략을 모색하는 이 책은 불확실성의 시대를 헤쳐 나가는 필수 지침서가 될 것이다.